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타액선 점액표피양암종에서 LOX 발현량과 예후 사이의 상관관계 : The Correlation Between LOX Expression and the Prognosis of Mucoepidermoid carcinoma of the Salivary glan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삼표-
dc.contributor.author강민지-
dc.date.accessioned2017-07-19T08:19:25Z-
dc.date.available2017-07-19T08:19:25Z-
dc.date.issued2016-02-
dc.identifier.other00000013226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0842-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 치의학대학원 치의학과, 2016. 2. 홍삼표.-
dc.description.abstract1. 연구목적
리신 산화효소(Lysyl oxidase, 이하 LOX)는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 안에 있는 교원섬유와 탄력섬유를 공유결합으로 교차시키는 과정을 촉매하는 효소이다. 이 단백질은 종양의 성장과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 목적은 타액선 점액표피양암종(salivary mucoepidermoid carcinoma)에서 LOX가 과발현 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LOX의 발현 정도와 여러 가지 진단병리학적 지표 및 예후관련 지표와의 상관관계도 분석하였다.

2. 연구대상 및 방법
점액표피양암종으로 진단된 35증례를 대상으로, 진료기록부를 통해 각 증례들의 나이, 성별, 종양 크기, 재발 여부, 임상적 TNM 단계, 조직병리학적 등급, 림프절 전이 및 원격 전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LOX의 발현도를 평가하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적 염색(immunohistochemical staining)을 시행하였는데, 두 명의 관찰자가 샘플이 기원한 조직에 대해 아는 바 없는 상태에서 샘플의 염색정도를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두 명의 관찰자가 합의에 이르도록 하였다. 대조군은 다형성선종으로 진단된 36증례로 설정하였다. 각 지표들 간의 관계는 t-test와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2013년 12월 31일까지 환자들의 생존 여부를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Kaplan-Meier 방법을 통해 생존곡선을 작성하였으며, log-rank test를 통해 이를 분석하였다. 유의수준은 P value < 0.05로 설정하였다.


3. 결론
35증례 중에서 성별분포는 남성이 14명이었고, 여성은 21명이었으며, 환자들의 평균연령은 42세였다. 국소 림프절 전이는 5증례에서 발생하였으며, 원격 장기로의 전이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재발은 오직 한 증례에서만 3년의 간격을 두고 발생하였다. 종양의 크기는 평균 2.9cm이었다. 임상적 TNM 등급으로 환자를 분류하면, 14명은 stage1, 8명은 stage2, 4명은 stage3, 9명은 stage4로 분류되었다. 조직병리학적 등급을 기준으로 환자를 분류하면 24명은 저등급이었고, 7명은 중등급이었으며, 나머지 4명은 특정한 등급으로 분류할 수 없었다.
2013년 12월 31일까지 환자 35명중 3명이 사망하였는데, 그중에 2명만이 타액선 신생물로 인해 사망하였으며, 나머지 1명은 노환으로 사망하였다. 평균 생존 기간은 5년으로 조사되었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결과, LOX 단백질이 다형성선종보다 점액표피양암종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게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t-test, P=0.000). 그러나 점액표피양암종에서 LOX 단백질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정도와 환자의 연령이나 종양 크기, 임상적 TNM 단계, 조직병리학적 등급 등과 같은 점액표피양암종의 임상병리학적 지표들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LOX 발현도와 환자의 생존율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염색군의 생존곡선과 저염색군의 생존곡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log-rank test, P=0.010), 고염색군에서 환자들의 생존율이 더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LOX는 다형성선종보다 점액표피양암종에서 더 높게 발현되었므로, 타액선 악성종양과 양성종양을 감별하는 진단학적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점액표피양암종의 발생과 진행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발현되는 정도가 점액표피양암종의 임상병리학적 양상들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LOX 발현도와 환자의 생존율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OX가 점액표피양암종의 예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를 뒷받침할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Ⅱ. 재료 및 방법 5
1. 연구대상 5
2. 임상적 지표 조사 5
3. LOX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5
4. 면역조직화학적 평가 6
5. 통계적 분석 6

Ⅲ. 결 과 8

Ⅳ. 고 찰 10

Ⅴ. 결 론 16

Ⅵ. 참고문헌 17

그 림 24
그림 1. LOX의 발현을 보여주는 면역조직화학 염색 사진 24
그림 2. Kaplan-Meier method를 통해 작성한 생존곡선 25

표 26
표 1. 35명의 타액선 점액표피양암종 환자들에 대한 임상병리학적 지표 분석 결과 26
표 2. 점액표피양암종과 다형성선종 사이의 LOX 발현도 차이를 검정하기 위한 t-test 결과 26
표 3. 성별에 따라 점액표피양암종에서 LOX 발현도에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기 위한 t-test 결과 27
표 4. LOX 발현도와 임상병리학적 지표들 사이의 선형회귀분석 결과 27

참고자료 28
참고자료. 환자군의 임상병리학적 정보-1 28
참고자료. 환자군의 임상병리학적 정보-2 29

영문 초록 31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3535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dc.subject타액선 점액표피양암종-
dc.subject리신 산화효소-
dc.subject면역조직화학염색법-
dc.subject임상병리학적 지표-
dc.subject생존 곡선-
dc.subject예후-
dc.subject.ddc617-
dc.title타액선 점액표피양암종에서 LOX 발현량과 예후 사이의 상관관계-
dc.title.alternativeThe Correlation Between LOX Expression and the Prognosis of Mucoepidermoid carcinoma of the Salivary gland-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ang Minji-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39-
dc.contributor.affiliation치의학대학원 치의학과-
dc.date.awarded2016-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