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타액선 발생의 분자기전에 대한 이해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나찬민

Advisor
이 진
Major
치과대학 치의학과
Issue Date
2014-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타액선발생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 치의학과, 2014. 2. 이진.
Abstract
타액은 타액선 등에서 분비된 분비물의 혼합체로서 다양한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어 여러 가지 기능을 복합적으로 나타낸다. 즉 타액은 구강조직의 표면을 덮고 있어 구강점막과 치아를 보호하고, 지속적으로 분비되어 연하작용을 일으킴으로써 음식물 잔사와 세균을 제거하는 자정작용을 하며, 타액에 함유된 특정 단백질들은 항균작용을 가지고 있어 구강세균과 독성을 제거하여 구강조직을 보호한다. 또한 타액은 음식물 섭취와 구강세균에 의해 생성되는 유기산에 대한 완충작용, 연하 및 소화작용에 도움을 주며 나아가 소리내어 발음하는 데 관여함으로써 인간의 의사소통에도 관여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타액선 재생의 학문적 이해와 기술적인 적용방법은 아직 완전하지 못하며, 널리 시행되고 있지 않다. 현재까지 타액선 발생과 관련된 신호전달체계에 대해서는 한정적으로 알려져 있다. Wnt, IGF, FGF, TGF-β, TNF, IL-6 등이 그것이며, 이 신호전달체계들은 정상적인 타액선 발생의 처음부터 끝까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여기에 더해,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도 구조적, 발생적, 형태학적으로 타액선 발생에 있어서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 microRNA의 일종인 miR-200c가 타액선 발생과 관련하여 정상적인 발달과 타액선 재생 및 수리에 중요하게 관여한다는 보고가 있다. 한편 타액선의 줄기세포와 관련해서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가 적으며, 타액선과 관련한 특정 줄기세포의 존재는 아직까지 보고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다만 최근에 salisphere 배양을 이용한 타액선 줄기세포의 추적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타액선 발생에서 Wnt, IGF, TGF-β, TNF, IL-6 FGF-8, miR-200c 각각의 신호전달체계와 세포외기질은 발생단계별로 상호유기적으로 연관되어 타액선 발생을 조절하고 있다. Wnt 신호전달체계는 타액선 간엽조직에서 처음으로 활성화되며, 이후 내강 형성시에 종뢰유선을 제외한 도관상피 내에서 활성화되어 타액선 발생을 유도함으로서 악하선 분기 형태발생을 조절한다. FGF-8은 배아기 발생에서 매우 중요한 발생조절자의 역할을 하며, 이러한 작용은 FGF-8 유전자의 발현 정도에 따라 조절되고 있다. 나아가 악하선 발생의 pseudoglandular 시기와 그 이후 단계들에서 악하선의 생존과 형태발생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악하선 발생동안 TGF-β, IGF, TNF, IL-6 신호전달체계들은 FGF-8 신호전달과 함께 발생단계별로 세포증식과 세포사멸, 조직분화를 유도하여 정상적인 분기수를 발생시키는데 관여하고 있다. miR-200c는 악하선의 분기형성과정 동안 세포증식을 증가시킨다. 상피세포 분열과 함께 miR-200c에 의한 FGFR2b의 발현은 VLDLR에 의존하고 있다. VLDLR은 궁극적으로 FGFR1b, FGFR2b, FGF1, ETV4의 전사를 유도하여 FGFR의 활성화와 더불어 MAPK 전사를 통해 상피 종뢰유선의 세포증식과 분화를 촉진시킨다. 세포외기질은 단순히 기계적 역할로 타액선의 발생에 관여하는 것은 아니다. 타액선 줄기세포 표면의 integrin-β1 은 잠정적으로 타액선 줄기세포의 비대칭적 세포 분열을 방지하고, 세포내부의 신호전달 물질의 농도를 유지시키며, 발생초기단계에서 줄기세포적소를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성인의 타액선세포 내에는 체세포분열을 마친 타액 생성 선세포가 있으며, 이들은 잠재적으로 분열, 분화가 가능하다. 타액선 줄기세포 혹은 간세포는 타액선내에서 자기재생과 분화능력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며, salisphere 배양을 통하여 여러 줄기세포 표지자들을 확인할 수 있다. 향후 stem/progenitor cell population를 활용한 타액선 재생이 기술적으로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로 미루어보아 타액선발생에 대한 포괄적 이해는 향후 치료목적의 타액선 발생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106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