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한 제 1 유구치 기성금속관의 형태 비교 : Morphometry of stainless steel crowns for the first primary molar using three-dimensional scanner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지현

Advisor
현홍근
Major
치과대학 치의과학과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기성금속관제 1 유구치3차원 스캐너치관 형태계측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치의과학과, 2013. 8. 현홍근.
Abstract
기성금속관은 소아치과 영역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수복재료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두 종류의 pre-contoured형 기성금속관의 형태적 특성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3차원 스캐너(stereoSCAN3D 5M, Breuckmann, Meersburg, Germany)를 이용하여 상, 하악 제 1 유구치에 해당하는 KIDS CROWN (Shinhung, Seoul, Korea)과 3M ESPE Stainless Steel Primary Molar Crown ND-96 (3M ESPE, St. Paul, MN, USA)을 스캔하고 3차원 이미지로 통합하여 재구성하였다. 기성금속관의 계측은 Rapidform2004 (INUS Technologies Inc., Seoul, Kore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최대 풍융부와 치은 변연에서의 근원심 및 협설 폭경, 근심면, 원심면, 협면, 설면에서의 교합면 치경부 간 길이 등을 측정하고 치관 형태비(근원심 폭경에 대한 협설 폭경의 비율), 평활면 치관 높이비(최대 풍융부에서의 근원심 폭경에 대한 근심면, 원심면, 협면, 설면의 교합면 치경부 간 길이의 비율), 치경부 수렴도(치은 변연에서의 근원심 및 협설 폭경에 대한 최대 풍융부에서의 폭경의 비율)를 알아보았다.
이상의 계측값을 통해 상, 하악 제 1 유구치에 해당하는 기성금속관 두 제품의 크기와 형태를 독립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하악은 KIDS CROWN이 ND-96에 비해 협설로 긴 치관 형태비를 가지고 있었다(p < 0.05).
2. 평활면 치관 높이비는 상악은 근심면, 원심면, 협면, 설면의 네 부위 모두에서, 하악은 협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서 ND-96이 KIDS CROWN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 < 0.05).
3. 치경부 수렴도는 근원심과 협설측 모두에서 ND-96이 KIDS CROWN보다 큰 값을 나타냈다(p < 0.05).
4. 3차원 이미지로 중첩했을 때 상악에서는 KIDS CROWN이 ND-96보다 근, 원심설측 우각 부위가 풍융한 양상을 나타냈다. 하악에서는 ND-96이 KIDS CROWN에 비해 교두가 높고 협측의 발육엽이 두드러졌다.
Stainless steel crowns are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materials in pediatric dentistr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two types of stainless steel crowns for the first primary molar using three-dimensional scanner.
Two types of stainless steel crowns, KIDS CROWN (Shinhung, Seoul, Korea) and 3M ESPE Stainless Steel Primary Molar Crown ND-96 (3M ESPE, St. Paul, MN, USA) for the first primary molars were scanned using three-dimensional scanner (stereoSCAN3D 5M, Breuckmann, Meersburg, Germany). Mesiodistal and buccolingual diameters at the height of contour and cervical margin, occlusocervical diameters on mesial, distal, buccal, and lingual aspect were measured and crown shape ratio (ratio of buccolingual to mesiodistal diameter at height of contour), smooth surface crown height ratio (ratio of mesial, distal, buccal and lingual occlusocervical diameter to mesiodistal diameter at height of contour), and cervical convergence (ratio of mesiodistal and buccolingual diameter at height of contour to those at cervical margin) were calculated by Rapidform2004 (INUS Technologies Inc., Seoul, Korea) program.
The valu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In the crown shape ratio of mandibular stainless steel crown, KIDS CROWN was larger buccolingually compared with ND-96 (p < 0.05).
2. In the smooth surface crown height ratio, ND-96 was larger than KIDS CROWN in all aspects of maxilla and mesial, distal, and lingual aspects of mandible (p < 0.05).
3. ND-96 was more convergent to the cervical mesiodistally and buccolingually compared with KIDS CROWN (p < 0.05).
4. In superimposed images of maxillary stainless steel crown, mesiolingual and distolingual line angles of KIDS CROWN were more prominent compared with ND-96. In mandible, ND-96 demonstrated higher cusps and more obvious buccal developmental lobes than KIDS CROW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111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