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 Preliminary Study of Increased Taste Sensitivity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미각 역치에 관한 예비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이비

Advisor
정진우
Major
치과대학 치의과학과
Issue Date
2014-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Temporomandibular disorderTastePainSalivaUmami측두하악장애미각통증타액감칠맛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치의과학과(구강내과 ·진단학전공), 2014. 2. 정진우.
Abstract
미각과 통증 인지에 관련된 특정 뇌 영역이 겹친다고 제시한 여러 연구가 있었으며, 최근 만성 요통이나 섬유근통과 같은 만성통증 환자에서의 미각 예민성 증가가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의 미각 역치를 평가하여 만성 턱관절 통증과 미각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불안이나 우울 등의 심리학적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9명의 측두하악장애 환자와 성별과 연령을 일치시킨 17명의 건강한 대조군을 대상으로 만성통증척도(Graded Chronic Pain), Beck 우울지수(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Beck 불안지수(Beck Anxiety Inventory, BAI)와 비자극성 및 자극성 전타액분비율을 조사하였으며, 신맛과 감칠맛(umami taste)에 대한 감지역치(detection threshold)와 인식역치(recognition threshold), 단맛,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에 대한 초역치 미각강도(suprathreshold taste intensity) 및 미각 유쾌성과 불쾌성(pleasantness-unpleasantness perception), PROP의 초역치 미각강도를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ROP의 초역치 미각강도 공변량분석에서 측두하악장애 환자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감칠맛(umami taste) 감지역치와 인식역치를 보였다.
2. 측두하악장애 환자는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자극성 타액분비율을 보였다.
3. 실험 대상의 만성통증척도는 감칠맛에 대한 감지역치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4. 실험 대상의 만성통증척도는 자극성 타액분비율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5. 연령, 성별, BDI, BAI, 비자극성 타액분비율을 조절한 다중회귀분석결과 감칠맛에 대한 감지역치는 측두하악장애 유무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의 미각과 통증 감각과의 관련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향후 만성 통증을 호소하는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suggesting the overlap between specific brain regions involved in pain and taste perceptions, and the recent studies that the patients with chronic pain such as chronic back pain or fibromyalgia reported increased taste sensitiv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gustatory function in the patient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
Nine TMD patients with no high levels of anxiety and depression, and 17 age- and gender-matched control volunteers were evaluated. Detection and recognition thresholds for sour and umami taste, and ratings of both suprathreshold taste intensities and pleasantness-unpleasantness perceptions for sweet, sour, salty, bitter, and umami stimuli were evaluated in each subject. Graded Chronic Pain (GCP) scal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Beck Anxiety Inventory (BAI), and both resting and stimulated whole salivary flow rates were measure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MD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detection thresholds and recognition thresholds for umami taste than the control subjects.
2. TMD patients showed lower stimulated salivary flow rates than control subjects.
3. The GCP scales of th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etection thresholds of umami taste.
4. The GCP scales of th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timulated salivary flow rates.
5. The detection thresholds for umami tast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existence of TMD after adjusting the age, gender, BDI, BAI, and unstimulated salivary flow rate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patients with TMD reported increased sensitivities for umami taste, and suggested the possibilities of gustatory function changes in chronic TMD patients.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3112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