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알코올 의존증 환자에서 강박 음주와 관련된 미상핵의 형태 분석 연구 : Shape analysis of the caudate nucleus related with compulsive drinking in the alcohol dependenc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지영

Advisor
최석우
Major
자연과학대학 협동과정뇌과학전공
Issue Date
2014-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알코올 의존증형태 분석미상핵SPHARM-PDM강박 음주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뇌과학전공, 2014. 2. 최석우.
Abstract
국문 초록

연구 배경: 강박 음주와 갈망은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에서 높은 재 발률 및 나쁜 예후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실제 알콜리즘의 치료에서는 이러한 연관성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 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상핵은 알코올 의존증 환자의 병태생리에서 문제성 음주와 높은 연관성을 보이는 뇌구조물이지만, 미상핵의 구 조적 이상을 분석한 연구는 매우 적고, 이전 연구들도 부피 분석에 한정되어 있거나 몇몇 정신 질환에 제한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 다. 본 연구에서는 미상핵과 같이 매우 복잡하고 굴곡이 많은 표면 을 가진 뇌 구조물의 형태 분석에 최적화된 Spherical harmonic basis descriptions - Point distribution model (SPHARM-PDM)을 이용하여 알코 올 의존증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 간에 형태학적 차이와 함께 임상 척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21명의 알코올 의존증 환자군과 21명의 정상 대조군에 대해, 1.5-Tesla whole-body imaging scanner를 사용하여 뇌자기공명영상을 획득하였고, SPHARM-PDM 형태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두 군간 형태학적 차이를 측정하였다.

결과: 두 군간 미상핵의 부피 차이는 나이, 성별, 두개강내 부피를 보정하였을 때, 좌측과 우측 미상핵 모두 알코올 의존증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각각, F1,37 = 3.07, p = 0.028, F1,37 = 5.25, p = 0.002). SPHARM 분석에 의하면, non-parametric permutation test를 적용했을 때 알코올 의존증 환자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서 우측 미상핵의 내측 체부와 복측 미부, 좌측 미상핵의 내측 체부에서 현저한 형태 차이를 나타냈다. 특히, 우측 미상핵의 복측 미부 (R2 = 0.837, F = 5.116, p = 0.017)에서 형태 차이의 크기는 문제성 음주 척도 중에서 유일하게 강박 음주 척도와 양의 상관관계 (r = 0.254, p = 0.035)를, 알코올 강도와는 음의 상관관계 (r = - 0.017, p = 0.026)를 나타냈으나, 그 외 영역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SPHARM 형태 분석을 통해, 알코올 의존증 환자의 미상핵의 구조적 이상성을 부피 측정과 연계하여 분석한 최초의 연구이다. 이번 연구에서 알코올 의존증 환자의 미상핵은 좌우측 모두에서 전반적인 구조적 결함이 발견되었고, 우측 미상핵의 미부는 알코올 강도뿐 아니라 강박 음주 척도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미상핵의 행태학적 결함에 따라 알코올 의존증의 치료 반응과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신경해부학적 표지자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119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