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울릉도 귀화식물의 특성과 공간 분포 연구 :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Naturalized Plants in Ulleung-do, Koreaa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은주-
dc.contributor.author이정현-
dc.date.accessioned2017-07-19T09:08:15Z-
dc.date.available2017-07-19T09:08:15Z-
dc.date.issued2015-08-
dc.identifier.other00000006708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1592-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생명과학부, 2015. 8. 이은주.-
dc.description.abstract울릉도는 온난다습한 해양성 기후를 가져 본토와는 구별되는 독특한 식생대를 형성하는 섬이다. 그러나 섬 지역은 제한된 면적과 고립된 특성상 외부 환경과 외래종에 대해 취약한 특성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울릉도 귀화식물의 특성 및 분포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관리 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 결과 울릉도에 서식하는 귀화식물은 18과, 53속, 77종, 4변종 총 81분류군이었으며 이 중 11종은 독도에서 역시 서식하는 귀화식물이었고, 6분류군은 본 조사에서 새롭게 기록된 식물이었다. 과 별 분석 결과, 국화과와 벼과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원산지는 유럽산이 43%로 가장 많았고, 북미를 포함한 아메리카 대륙산이 38%로 나타났다. 생활형과 휴면형은 일?이년생의 식물이 전체의 약 70%를 차지하였으며 목본성 귀화식물에는 아까시나무와 족제비싸리가 관찰되었다. 종자산포형을 살펴보면, 중력산포가 44.4%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귀화시기는 본토와는 달리 3기 귀화식물보다 1기 귀화식물의 비중이 높았으며, 귀화도의 경우 본토는 1도 귀화식물이 가장 많은데 반해 울릉도는 3, 5도의 귀화도를 가진 종이 많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가시상추, 돼지풀, 서양금혼초, 애기수영 등 4종이 발견되었으며 그 중 가시상추와 돼지풀이 서면 지역에 큰 개체군을 이루고 있어 향후 관리가 요구된다. 울릉도의 환경지수는 귀화율 11.82, 도시화지수 25.23, 교란율 33.33로 나타났다. 행정구역 별 패치의 환경지수 분석에서는 평균적으로 서면의 패치에서 가장 많은 종의 귀화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란율 또한 유의하게 높았다. 패치의 면적을 고려한 개량귀화율은 울릉읍에서 유의하게 컸다. 교란된 면적 크기에 따른 분석에서는 울릉읍과 북면에서 교란된 면적이 클 때 귀화종 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해안도로와의 거리에 따른 분석에서는 모든 지역에서 귀화종 수, 귀화율이 해안도로와의 거리가 멀 때 그 평균값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울릉도의 귀화식물 관리 방안을 제언하면 첫째, 서면에 존재하는 넓은 면적의 교란지를 중심으로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의 조사 및 관리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며 둘째, 해안도로로부터 근접한 교란지일수록 귀화종 수 및 귀화율 값이 높으므로 이들 지역에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찰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dc.description.abstractUlleung-do has a mild and humid maritime climate-
dc.description.abstractthus, the island has flora distinctive from that of the mainland. However an island is vulnerable to alien species because of resource scarcity and increased competition among endemic speci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management planning on naturalized plants by determining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naturalized plants in Ulleung-do. In this study, the number of naturalized plants included 81 taxa in total: 18 families, 53 genera, 77 species, and 4 varieties. Eleven of them inhabited Dokdo, and six taxa were newly recorded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analysis showed a high percentage of Compositae and Gramineae, and ratios of European-origin and American-origin plant species were high, at 43% and 38% respectively. About 70% of naturalized plants have annual and biennial life forms, and there are two woody plants (Robinia pseudoacacia L. and Amorpha fruticosa L.). As for seed dispersal syndromes, Barochory, which uses gravity for seed dispersal, showed a high ratio, at 44.4%. The 1st introduction period plant species were higher than the 3rd introduction period species, and the proportions of species that have three or five degrees of naturalization were higher than that of one-degree species, unlike on the mainland. In the study, four invasive alien species were found, and these were designated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as follow: Ambrosia artemisiifolia L., Hypochaeris radicata L., Lactuca scariola L., Rumex acetosella L. Among these, Lactuca scariola L. and Ambrosia artemisiifolia L. should be managed because they formed large populations in Seomyeon. The results of environmental assessment indices were 11.82 of naturalized index, 25.23 of urbanized index, and 33.33 of urbanized index. In the patch analysis by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the patches in Seomyeon had the greatest number of naturalized plants on average, and average disturbed index was the highest in Seomyeon by a significant margin. The advanced naturalized index that considers area size was significantly high in Ulleungeup. In the patch analysis by disturbed area size, large disturbed land had significantly more naturalized plant species than small disturbed land in Ulleungeup and Bukmyeon. In the patch analysis by distance from coastal road, the average number of species and naturalized index were small at long distance distances in every administrative district. A management plan of naturalized plants for Ulleung-do should (1) focus on large disturbed areas in Seomyeon and find management strategies of invasive alien plant species, and (2) continuously monitor disturbed areas close to the coastal road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초록 1
목 차 3
LIST OF FIGURES 5
LIST OF TABLES 7

Ⅰ. 서론 9
1. 용어 정리 9
2. 연구 배경 10
3. 선행 연구 11
4. 본 연구의 의의 및 목적 13

Ⅱ. 연구 방법 14
1. 연구지 개황 14
1.1 자연 환경 14
1.2 인문 사회 환경 18
2. 현장 조사 22
3. 분석 방법 24
3.1 귀화식물의 특성 별 분석 24
3.2 생태계교란야생식물 28
3.3 환경지수 29
3.4 울릉도 귀화식물의 분포 분석 30
3.4.1 연구 가설 및 연구 방법 30
3.4.2 토양 분석 33
3.4.3 통계 처리 34

Ⅲ. 연구 결과 및 고찰 35
1. 귀화식물의 분류 35
1.1 새롭게 기록된 귀화식물 40
2. 귀화식물의 특성 별 분석 45
2.1 분류단계(과) 45
2.2 원산지 46
2.3 생활형과 휴면형 47
2.4 종자산포형 49
2.5 귀화시기와 귀화도 51
3. 생태계교란야생식물 56
4. 환경지수 분석 60
5. 울릉도 귀화식물의 분포 64
5.1 조사 패치의 특성 64
5.1.1 물리적 특성 64
5.1.2 토양 환경 65
5.2 행정구역 별 환경 지수 66
5.3 교란 면적의 크기에 따른 환경지수 69
5.4 해안도로와의 거리에 따른 환경지수 71
5.5 울릉도 귀화식물의 분포 고찰 73

Ⅳ. 결론 76

참고문헌 80
부록 90
ABSTRACT 100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78855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귀화식물-
dc.subject울릉도-
dc.subject생태계교란야생식물-
dc.subject도시생태학-
dc.subject.ddc570-
dc.title울릉도 귀화식물의 특성과 공간 분포 연구-
dc.title.alternativeCharacteristics and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Naturalized Plants in Ulleung-do, Koreaa-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Jung Hyu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99-
dc.contributor.affiliation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dc.date.awarded2015-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