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알렉산드리아 문법학자 트뤼폰의 『비유론』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윤재성

Advisor
강상진
Major
인문대학 협동과정 서양고전학전공
Issue Date
2016-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트뤼폰문법학수사학비유텍스트 전승필사본 전승비판 정본문헌학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서양고전학전공, 2016. 2. 강상진.
Abstract
본 논문은 고대 알렉산드리아의 문법학자 트뤼폰이 저술한 『비유론』의 저자 논란, 작품의 원천 및 분석을 다루고 있다. 이어서 트뤼폰의 『비유론』을 비롯한 다양한 판본들의 텍스트 전승 계보도, 트뤼폰 『비유론』의 필사본 전승 계보도를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비판 장치를 포함한 비판 정본을 제공한다.

오늘날 『비유론』 혹은 『시인들의 비유론』라는 제목으로 남아있는 희랍어 판본들은 총 일곱 종이다. 구체적으로 저자의 이름이 밝혀진 네 판본들과 익명의 세 판본들이 있다. 가장 오래된 판본은 약 BC 1세기에 활동했다고 전해진 알렉산드리아 학파의 문법학자 트뤼폰(Tryphon)의 것이다. 특별히 저자 논란이 발생한 이유는 트뤼폰의 이름으로 두 종류의 판본들이 전승되었기 때문이다. 일부 텍스트들은 문자적으로 동일하지만, 상이한 목차와 텍스트들이 존재한다. 그래서 일부 학자들은 트뤼폰의 이름으로 전승된 두 판본 중 하나는 진본이지만, 다른 하나는 12세기의 그레고리우스(Gregorius of Corinth)라는 문법학자의 저술에 트뤼폰의 이름이 덧붙여졌다고 주장했다. 반면 다른 학자들은 두 판본들 모두 트뤼폰이 저자라는 입장에서 동일 저자에게서 파생되었다고 보고, 트뤼폰1과 트뤼폰2이라는 호칭을 제안했다.

따라서 트뤼폰과 그레고리우스 사이에 벌어진 저자 논란을 조사하는 것이 우선적이다. 그레고리우스 저자 입장의 기원은 17세기 한 문헌학자의 기록이다. 그는 저자의 이름이 누락된 『비유론』 판본을 그레고리우스라고 보고했다. 이후 대다수 문헌학자들이 이 판본의 비판 정본을 그레고리우스의 이름으로 출판했다. 그러나 트뤼폰 저자 입장을 지지하는 근거들은 훨씬 풍성하고 구체적이다. 트뤼폰 저자설을 뒷받침하는 결정적인 전환점은 4-5세기로 추정되는 트뤼폰2의 『비유론』의 일부 텍스트가 포함된 파피루스의 발견이었다. 그레고리우스가 활동했던 시기보다 약 7세기 이전의 증거이다. 그런데도 일부 학자들은 별다른 근거를 제시하지 않은 채, 트뤼폰2 판본을 트뤼폰의 저술로 여전히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러나 트뤼폰이 저자라는 증거들은 파피루스 뿐만 아니라, 수많은 필사본들과 중세 문헌들을 비롯한 외적 증거들, 또한 그레고리우스의 다른 저술과 트뤼폰2의 『비유론』 사이의 결정적인 차이점들을 통해서 폭넓게 지지 받는다. 종합적으로 미루어 볼 때, 이 판본의 저자는 그레고리우스가 아니라 트뤼폰이 분명하다.

다음으로 트뤼폰2의 『비유론』 저술 자체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이 작품의 원천은 알렉산드리아 학파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아리스토텔레스, 알렉산드리아 학파이자 가장 오래된 고대 문법학 저술을 남긴 디오뉘시오스 트락스, 트뤼폰과 비슷한 시대에 활약했던 알렉산드리아 학파의 저술들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비록 알렉산드리아 학파의 문헌들이 대다수 소실되었지만, 『호메로스 스콜리아』에 방대하게 남아 있는 자료들을 통해서 『비유론』과 알렉산드리아 전통의 연속성이 충분히 드러난다. 또한 『비유론』의 구조는 개별 비유의 개념 정의와 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고대의 전형적인 기술 서적들의 양식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또한 여타 수사학 교본들처럼 『비유론』 역시 읽기 교육의 차원에서 『일리아스』나 『오뒷세이아』의 강독을 위한 도구로 널리 활용되었다.

저자 논란과 작품 분석 이후에는 『비유론』의 모든 판본들이 어떻게 전승되었는지 구체적으로 다루어진다. 내적 판독을 통해서 모든 『비유론』 판본들을 비교하면, 두 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비유론』 판본들은 궁극적으로 트뤼폰 전통에서 파생되었고, 후대의 판본들은 고대 전통과 그리스도교 전통으로 나뉘어진다. 개별 판본들 관계를 종합해서 텍스트 전승 계보도(Novum Stemma Textuum)를 구성할 수 있다.

지금까지 트뤼폰2의 『비유론』 판본에 활용되지 않은 필사본이 존재한다. 기존의 필사본들은 하나를 제외하면 대부분 15세기에 불과하지만, 이 필사본은 13세기에 만들어진 트뤼폰2의 가장 오래된 필사본 중 하나이다. 이를 반영해서 기존의 필사본과 어떤 관계에 놓이는지 분석한 뒤에, 새로운 필사본 전승 계보도(Novum Stemma Codicum)을 도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위의 필사본을 기초 저본으로 삼아서 새로운 비판 정본(Critica Editio)를 제안한다. 이 비판 정본에서는 기존의 편집본들에 수록되지 않은 『호메로스 스콜리아』와 퀸틸리아누스의 『수사학 교육』과 같은 관련 저술들의 병행 구절들과 함께(Loci Similes), 새로운 필사본에만 남아있는 고유한 텍스트들도 포함시켰다.
In this thesis, I study various issues about the 『περὶ τρόπων』(De Tropis) of the Alexandrian grammarian Tryphon. First of all, the authorship problem of the work is which I specifically review. The next thing is resources and attributes of the work itself. And I extract the novum stemma textuum from various editions written by several authors including Tryphon, and the novum stemma codicum applied by a new manuscript. Finally I furnish the critica editio, i.e. ancient greek text, together with apparatus criticus and loci similes.

There are currently seven works in ancient and medieval Greek, which are handed down under the name of 『περὶ τρόπων』 or 『περὶ τρόπων ποιητικῶν』. Among them, four works had trasmitted with author names except three works, and the most ancient work is originally written by Tryphon in 1st century BC. The authorship issue between Tryphon and Gregory of Corinth(12c) was happened by two co-existed edition of 『περὶ τρόπων』 under the Tryphons name. On the on hand, the first half of both works has similarity, even litterally, but on the other hand, they have the dissimilar order and some different texts and examples. So, several scholars and editors have attributed the second version of 『περὶ τρόπων』 to Gregory. On the contrary, other scholars have argued that opinion, and suggested that both editions, so-called Tryphon 1 and Tryphon 2, separately derived from original Tryphon.

For this reason, it is primarily neccessary to research the process of the authorship issue between Tryphon and Gregory. The origin of the attribution to Gregory of Corinth was the statement by the philologist in 17c, who reported an edition of 『περὶ τρόπων』 without authors name to assign to Gregory. Afterward, the critical edition under the name of Gregory have published by several philologists and editors. However, the evidences which support the authorship of Tryphon are more concrete and specific. This crucial turning point was originated from the AD 4-5c papyrus, which preserve partial texts of Tryphon2s edition and support the Tryphon authorship as the earlier proof than Gregorys period. Nevertheless some scholars still refuse the attribution to Tryphon without particular evidences for Gregory. However, the proof for that fact that Tryphon is genuine author is widely based on not only papyrus, but also many manuscripts and medieval literatures, even definitive difference between works by Gregory and 『περὶ τρόπων』 of Tryphon. Therefore, it is certain that the author of this edition is not Gregory of Corinth, but Tryphon.

In next section, I analyze resources concerning the 『περὶ τρόπων』 and the structure of itself. Its resources are based on Aristotle who have a strong influence on the Alexandrian scholarship, Dionysius Thrax who is the first author of systematic theory on the ancient grammar. This work also is the mutual and interactive relation to other Alexandrian scholars at the same and after period with Tryphon. The continuity between 『περὶ τρόπων』 and the Alexandrian scholarship tradition is drew from abundant vestiges remained in 『Scholia Homerica』, although many works written by the Alexandrian scholars is lost. For the structure of 『περὶ τρόπων』, it is constituted by the definition of each tropes and example statements, namely it has the technical modus, which was typically adopted during the ancient period. Then, just as rhetoric textbooks, it were used as the educational book to read poetry such like 『Ilias』 or 『Odysseia』 for students.

Thirdly, it is examined how the seven works are transmitted specifically among them, despite of the same entitled as 『περὶ τρόπων』. So I compare all of them to find parallel texts. As a result, It is certain that the whole editions of 『περὶ τρόπων』 is originally dependent to the Tryphon tradition, and later editions is divided between the ancient tradition and the Christianized tradition. Therefore, I extract the Novum Stemma Textuum from the analysis about correlations among individual editions.

To deduce a more faithful reconstruction, I reflect the new found manuscript, Venice gr. Z. 512(13c) on it. This manuscript is belongs to the oldest period, even the earlier thing than other manuscripts from 15c and even maintains distinguished variants and exclusive texts. By reflecting this venice manuscript and examining transmission of all, it is able to draw Novum Stemma Codicum.

Finally, I offer the nova critica editio, based on Venice gr. Z. 512 including apparatus criticus, corrected and reflected by the new manuscript. This critical edition is inserted loci similes, that is not only 『Scholia Homerica』 and Quintilians 『Institutio Oratoria』 and various ancient texts, but also parallel texts excerpted from other 『περὶ τρόπων』.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174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