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동기창의 화론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보현

Advisor
박낙규
Major
인문대학 미학과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동기창문인화집대성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학과, 2013. 8. 박낙규.
Abstract
본 논문은 동기창에 대한 많은 연구들 중에서 그동안 심도 있게 논의되지 않았던 그의 집대성이라는 개념을 통해 동기창 화론을 살펴보는 연구이다. 본격적인 문인화론을 정립하고 체계적으로 종합한 동기창 화론이 가지는 집대성적 측면과 그것의 의의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동기창은 명대 중 ․ 후기 문인이자 화가, 서예가, 화론가로서 문집으로는『용대집(容臺集)』이 있고『화선실수필(畵禪室隨筆)』,『화지(畵旨)』등의 화론 저작이 있다. 그는 서예와 회화에 능했던 문인사대부로서 자신이 실천하는 창작 활동에 관한 이론적인 측면 또한 체계적으로 정리해놓았다. 그의 저작 중에서 화론에 관한 『화선실수필(畵禪室隨筆)』,『화지(畵旨)』,『화안(畵眼)』은 문인화에 대한 풍부한 논의들로 구성되어 있다.
동기창 화론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그의 문인화 논의와 함께 남북종론(南北宗論)에 주로 초점이 맞춰져 있다. 남북종론은 선종(禪宗)의 남종(南宗) ․ 북종(北宗)의 구분을 차용하여 화가들을 남종화가와 북종화가로 구분하여 정리한 것이다. 동기창은 남종화를 문인화와 동일시하며 존숭하였고, 북종화를 직업화가의 그림이라고 인식하며 속기(俗氣)를 비판하였다. 이것은 문인화가의 입지를 제고시키고, 문인화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논의임과 동시에, 동기창이 궁극적으로 주장했던 집대성의 중요한 기준에 해당한다. 선행 연구들에서는 남북종론이 가지는 문인화에 대한 강조를 연구했다면, 본고에서는 남북종론이 그의 목적적인 집대성의 기준에 해당한다고 인식하며 그러한 바탕 위에서 동기창의 집대성이 가지는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래 동기창에게 집대성은 이상화된 회화 개념을 가리킨다. 하나의 그림 속에 여러 대가들의 기법과 화풍을 담아내는 것이다. 집대성의 대상은 곧 남종화 대가들을 가리킨다. 다시 말해 동기창에게 남북종론은 그의 집대성을 구성하는 중요한 기준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남종화 대가들은 모두 법과 변의 겸비를 이루었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동기창이 남종화 대가의 대표적인 인물로 인식하는 왕유와 동원은 구연(拘硏)의 법(法)을 일변(一變)시킨 인물이다. 그들은 옛 법에만 매몰되지 않고 자신만의 변을 구축하여 법과 변을 겸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법과 변은 동기창 화론에 있어 중요한 개념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법과 변을 중심으로 동기창의 집대성을 검토해보는데, 2장에서는 법(法)을 3장에서는 변(變)을 논의하면서 동기창이 추구하고자 했던 문인화 정신을 살펴보도록 할 것이다.
동기창에게 있어서 법(法)은 옛 문인화 대가들이 가지는 정통성과 원칙을 의미했다. 그들의 법을 따른다는 것은 문인화가 가지는 정신적인 측면과 더불어, 고매한 인품을 가진 작가의 특정 기법을 성실하게 학습하는 것이다. 이것이 실천적으로 드러난 것이 방작(倣作)이다. 동기창에게 방작은 명대 초 문인화 대가인 심주(沈周)의 영향을 받은 것이면서도 동시에 그의 집대성을 이루는 중요한 바탕이 된다. 방작은 옛 그림에 대한 모방에서부터 시작되어 그 그림을 외워 그리는 경지까지 발전하는데, 동기창은 발전된 양상의 방작을 다량 생산하며 대가의 화풍과 정신을 배울 것을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법에 대한 실천이 하나의 그림에 종합된 것이 동기창의 집대성이다. 여러 화가의 특징과 화풍을 종합한 집대성이 단순한 개별의 합으로 그치지 않기 위해서 동기창은 여기에 변을 겸비할 것을 주장한다. 법 ․ 변의 겸비는 남종화 대가가 가지는 공통점이자, 자신의 집대성에서 또한 요구되는 핵심인 것이다.
법을 강조하면서도 옛 대가의 울타리에 갇히지 않기 위해서 변을 첨해야 한다는 동기창의 논의는 자신의 개성을 담은 사의화(寫意畵)로의 발전과 당시 유행하던 서양회화 기법의 차용, 실제 자연 사물에 대한 사생(寫生)의 첨가 등으로 풍부하게 전개될 수 있다. 법(法)으로는 기존의 송 ․ 원대 문인화 논의를 계승했다면, 변(變)을 통해서는 문인화의 범주가 더욱 풍부해졌다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동기창의 법 ․ 변의 겸비를 창작 측면과 이론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는데, 창작에 있어서의 법 ․ 변의 겸비를 이룬 집대성한 그림은 기실 그의 화론에 있어서 문인화 이론을 종합하고, 동시대 논의까지 아우르는 문인화의 집대성의 실체인 것이다. 이것이 그의 화론을 집대성으로 검토할 수 있는 본고의 주제의식에 해당한다. 동기창이 명대에 이르러 방작(倣作)을 보편화시키면서 집대성을 가볍게 논한 것을 보다 심도 있게 고찰할 필요가 있다고 파악한 까닭은 그가 이상적으로 인식했던 집대성에 그의 화론 전반이 수렴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처럼 동기창의 화론을 집대성으로 파악하여 재구성하는데 있어서 사의화(寫意畵)에 대한 동기창의 계승은 주목할 만하다. 동기창은 송 ․ 원대 사의화 논의를 성실하게 계승하면서도 명대 양명학의 영향을 받아 작가 개인의 개성 발현으로 사의화의 외연을 확장하였는데 이와 같은 사의화 논의는 그의 집대성론을 관통하는 중요한 핵심에 해당한다.
사의화가 시대를 아우르는 날줄이라면, 씨줄 역할을 하는 것은 기운생동(氣韻生動)에 관한 동기창의 사유이다. 그는 기운생동에 대한 전통적인 논의를 선천적인 기운생동으로 설명하고 후천적인 기운생동을 새롭게 긍정하면서 기운생동을 구별하였다. 이와 같은 구분은 법과 변에 대한 논의로 수렴되며 그의 회화에 대한 기본적인 태도를 검토해볼 수 있다. 이처럼 동기창은 이전 세대의 논의를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생각을 덧붙여 논의를 풍부하게 만들었다. 옛 대가들의 정신과 이론을 계승하면서도 동시대의 변화를 수용하였던 동기창의 화론은 실로 문인화 이론의 집대성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면 동기창이 문인화의 계보, 특징, 양식 등을 체계적으로 종합한 목적과 의의는 무엇일까? 본래 집대성이라는 것은 목적적인 종합에 해당한다. 중국 역사에서 철학이나 이론에서 집대성이라고 부를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는 주희의 주자학 즉, 성리학이다. 그는 북송 오자를 대표로 하는 북송의 성리학을 집대성했을 뿐만 아니라 당말 송초(唐末宋初)에 일어난 새로운 학술 분위기 속의 제 경향을 모두 집대성했다는 의미에서 주희를 송학의 집대성자라고 부를 수 있다. 주희의 집대성은 『오경』중심의 경학보다 사서에 더욱 큰 비중을 두면서 선진 유학의 공 ․ 맹 사상을 계승하고, 당시의 도 ․ 불학을 배척하는 유교의 경전적 근거를 마련한 것이다. 주희의 집대성에서 알 수 있듯이 어떠한 개념들을 일관하여 종합하는 집대성이라는 것은, 기존의 학설들을 단순히 모아놓는 수동적 행위가 아니라 해당 학술 체계의 권위를 확립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려는 다소 목적적이고 정치적인 의도를 가진 능동적이고 체계적인 종합을 의미한다. 동기창의 집대성을 공자와 주희와 같은 능동적인 종합으로 이해할 때, 동기창 또한 기존의 논의들을 남북종론(南北宗論)이라는 독자적인 기준을 가지고 북종화라는 직업화가들의 그림을 배척하며 문인화의 우위를 강조하고자 했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동기창이 문인화의 우위를 강조하려했던 목적의식은 당시의 시대적 배경에서 찾을 수 있다. 명대 중 ․ 후기의 화단에는 직업화가와 문인화가의 심미취향이 혼융(混融)되어감에 따라 문인화 본연의 정신과 화풍을 굳건히 할 필요성이 요구되었기 때문이다. 동기창이 하량준의 원사가(元四家) 논의를 계승 ․ 발전시키면서 문인화가의 정신과 고매한 인품을 특히 강조했던 것 또한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동시대의 변화를 수용했다고 하지만, 동기창의 변(變)에 대한 추구는 법(法)과의 조화 속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그는 명말 석도처럼 급진적인 논의를 전개시킨 인물이라기보다, 온건하게 시대의 변화를 반영했던 화론가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동기창은 분명 전통을 중시하면서도 새로운 회화를 끊임없이 추구했다. 어느 한 쪽으로의 편향을 지양했던 그의 회화와 화론 때문에, 후대의 연구들에서는 동기창을 청초의 정통파와 개성파 모두의 기원으로 인식하기도 한다. 이처럼 동기창이 중국 회화사 끼친 깊은 영향 때문에 그에 대한 수많은 존경과 비판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동기창이 끼친 긍정적인 파급력에 주목하며, 기존의 문인화 이론들을 집대성 하였다는 의의를 가진 인물로 검토하고자 한다.
This thesis is regarding the concept of "Great Synthesis" which is overlooked by previous research on Tung Ch'i-ch'ang's thory of painting.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concentrated on the figuring out the aspect of creating synthesis and significance of his work.
Tung Ch'i-ch'ang (董其昌,1555–1636) is leading painter, calligrapher, connoisseur, and critic of the Ming dynasty. A high official in various public offices, was also regarded as the greatest art expert of his day. He was the leader of the group that formulated basic principles of the so-called "Literati school of painting 文人畵" which exerted a lasting influence on Chinese and Japanese painting and aesthetics. Among his work, 『畵禪室隨筆)』,『畵旨』,『畵眼』are his writings about theory of painting which is composed of Literati Painting theories. Previous research on Tung Ch'i-ch'ang's theory of painting is mainly focused on his theory, so-called "Northern and Southern Schools 南北宗論" and his Literati Painting theory. Tung codified and elaborated the theory that related scholar-painters, beginning with Wang Wei(王維), in a continuous succession of classical transmission. This mantle of the "Southern school" was believed to rest on Tung's shoulders in the late Ming period. In contrast, the "Northern school" were consigned all professional painters - like Ma Yüan (馬遠) and Hsia Kuei(夏珪). And the painters were regarded as a secular technician. Tung diminishes the "Northern school". And purpose of the diminishment is raising importance of Literati Painting-"Southern school". Moreover, this "Northern and Southern Schools 南北宗論" is actually touchstone for the "Great Synthesis". In other words, differentiation of this thesis is "Northern and Southern Schools" working as a just standard for the "Great Synthesis", while "Northern and Southern Schools" was mainly focused by previous researches. In this regard, this thesis would figure out the aspect of creating synthesis and significance of Tung's work.
Actually, Tung Ch'i-ch'ang's "Great Synthesis" is ideal concept of painting. "Great Synthesis" is the idea of combining old masters' styles to one's own canvas. Of course, the old masters are "Southern school". Namely, Northern and Southern Schools 南北宗論" is actually touchstone for the "Great Synthesis". And the old masters of "Southern school" have in common which is harmony between "Principle/ fa 法" and "Transformation/ bian 變". Tung defining representative figure of "Southern school" is Wang Wei and Tung Yüan "who first used a light ink-wash technique, transforming the outline method 一變拘硏之法". They have both Fa 法 and Bian 變 instead of being buried under the Fa 法. Therefore, this thesis will examine Tung's "Great Synthesis" with Fa 法 and Bian 變 as the central concept, and figure out a spirit of Literati Art Painting.
Tung's "Fa 法" means a orthodox principle that the old masters already secured. Following the orthodox principle means learning painting methods and even spiritual things such as the master's noble character sincerely. Physical outcome of following the "Fa 法" is "creative imitation / Fangzuo 倣作" which means basically the picture followed after the style or the view of painting of the old masters. By the Tung Ch'i-Ch'ang, the "Fangzuo 倣作" is generalized in the latter period of Ming dynasty. "Great Synthesis" is a combination of physical outcome of following the "Fa 法" on 'one' canvas. Not to be a mending of pieces, Tung asserts addition "Bian 變" to that. Harmony between "Fa 法" and "Bian 變" is a common of "Southern school" and a gist which Tung requires in his "Great Synthesis" theory.
Tung's "Bian 變" includes succession of "theories of expressing an artist's inner world painting / Xie-yi hua 寫意畵", borrowing painting techniques from Western painting, and addition sketching from nature. On the "Fa 法 "aspect, Tung succeed to previous Sung ․ Yuan dynasties' theory of Xie-yi hua 寫意畵", on the other "Bian 變" aspect, his "Bian 變" makes the theory of Literati painting abundant. This thesis divided main issue into two groups : Creation of "Fa" and "Bian" and Theory of "Fa" and "Bian". As a result, Tung asserting "Great Synthesis" painting is an end product of his succession of previous painting theories and actual outcome of "Great Synthesis of Literati painting" included contemporary (Ming dynasty) discussions. That is thematic issue of this thesis.
The reason that "Great Synthesis" which Tung Ch'i-ch'ang mildly commented becomes important thematic issue is that the "Great Synthesis" might be a convergence of his painting theory. And the "Great Synthesis" as a convergence needs some penetrative concepts. First one is "theories of expressing an artist's inner world painting / Xie-yi hua 寫意畵" and second penetrative concept is Tung's new thought about "Breath resonance generated by movement / Qi yun sheng dong 氣韻生動".
Tung Ch'i-ch'ang divided "qi yun sheng dong 氣韻生動" into two groups : Innate "Qi yun sheng dong 氣韻生動" and acquired "Qi yun sheng dong 氣韻生動". This division could be involved with "Fa" and "Bian" discussion. Succeeding to previous theories like this, Tung makes discussion abundant with addition new thought. Accordingly, I could consider Tung's theory of painting as "Great synthesis" of Literati painting theory.
If so, What is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his "Great Synthesis"? Essentially, the concept of "Great Synthesis" is purposive codification. In China history, representative example of "Great Synthesis" is the "Neo-Confucianism 性理學" of "Zhu xi / Chu Hsi 朱熹". He creatively synthesized the rather disparate contributions of these earlier thinkers into a coherent, powerful vision. His interpretations of classical texts have been the orthodox exegesis of Confucian texts until the end of the Chinese empire. According as his "Great Synthesis" of Confucian texts, the concept of "Great Synthesis" is purposive, political, active codification to make new paradigm and to establish authority. Tung's "Great Synthesis" has purposive aim as well, hence we can anticipate that Tung would emphasize authority of Literati painting and exclude professional painters called "Northern school". The purpose of emphasis on authority of Literati painting is reflecting time background. By the late sixteenth century, the Ming dynasty, there was some confusion between Literati painting and professional painting such as emergence of professional painter with Literati taste. The needs of the times was setting up authority, original spirit and own style of Literati painting. Tung developing He Liang-jun(何良俊)'s the four Yüan masters(元四家) theory was one of that needs of the time. With the four Yüan masters, Tung emphasizes spirit and noble character of old masters.
Even if Tung Ch'i-ch'ang accepts contemporary discussions, the pursuit of change(變) should be considered in context of combination with the principle(法). Moreover, Tung is not a radical theorist such as Shih T'ao(石濤), but a theorist who reflects the changes of the times moderately. Definitely, Tung Ch'i-ch'ang, who in his approach to these issues brought both the eye of a painter and the knowledge of a connoisseur, wanted devise a theory of painting that would resolve these often conflicting issues and permit a systematic mastery of painting. As he has a important effect on history of Chinese paintings, he is being evaluated in both way. However, this thesis is regarding the positive power of influence which Tung's "Great Synthesis" of painting theory has for the next 300 year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201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