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다니엘 켈만의 명성에 나타난 현대인의 정체성 연구 : Die Studie der heutigen Identität in Daniel Kehlmanns Ruhm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홍배-
dc.contributor.author공준석-
dc.date.accessioned2017-07-19T09:52:31Z-
dc.date.available2017-07-19T09:52:31Z-
dc.date.issued2016-02-
dc.identifier.other00000013366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2073-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독어독문학과 문학전공, 2016. 2. 임홍배.-
dc.description.abstract다니엘 켈만은 1975년 생으로 젊은 나이에도 평단과 대중으로부터 인정받는 작가이다. 그는 자신의 독특한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굴절된 현실을 구현하는 한편, 현대에 당면한 인간의 근본적 문제를 다루고 있다. 본 논문은 켈만의 2009년 작 ??명성. 아홉 개의 이야기로 이루어진 한편의 소설??에 나타난 현대인의 정체성 문제를 정체성과 관련한 현대의 담론들과 매체 이론에 근거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오늘날의 정체성 담론은 개인의 정체성을 그가 맺고 있는 각각의 관계에 따라 변화 가능한 것으로 규정한다. 대표적으로 조지 허버트 미드는 개인적 자아와 사회적 자아의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의 정체성의 완성된다고 보았으며, 이때 사회적 자아는 그가 어디에서 누구와 있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명성은 타인으로부터 주어지는 평판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개인의 표상이 될 수 있다. 또한 명성은 타인으로부터 인정을 통해 획득되는 것으로서 악셀 호네트의 인정투쟁 이론과 관련된다. 인정은 한 개인을 완전한 인격체로서 살아갈 수 있게 해주는 조건이지만, 명성은 인정을 과도하게 추구했을 때 주어질 수도 있는 것으로 실제 자신과 유리된 상을 만들 수 있다. 정체성과 명성에 대한 켈만의 시각은 작품의 주된 문제의식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때 켈만은 개인의 정체성을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사회적 관계와 현대 매체를 지목한다. 이러한 켈만의 숙고는 우선 작품의 구조를 통해 드러난다. 아홉 개의 이야기로 이루어진 한 편의 소설이라는 형식은 현대인의 복잡한 삶과 현대의 매체 환경을 모사하고 있다.
개인의 정체성을 변화시키는 원인 중 하나인 사회적 관계는 작품의 인물들이 주변인들과의 관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장면들을 통해서 제시된다. 이러한 상황은 거울, 여행, 두 자아 간의 진자운동과 같이 작품에 반복되는 모티브를 통해 암시되고, 유명인으로 등장하는 인물들은 명성에 의해 만들어진 상에 갇혀있거나 명성을 과도하게 추구한 결과로 스스로 소외된다. 또한 인물들의 죽음은 실제적 죽음이 아니라 그의 정체성이 변화한 결과를 지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장면들은 모두 개인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요소로 그를 둘러싼 사회적 관계가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와 더불어 작품에 나타난 현대매체 역시 인물들의 정체성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매체를 대하는 인물들의 태도와 실제로 매체를 사용하는 장면들에서 잘 나타난다. 작중 인물들은 매체를 통해 세계를 인식하고, 타인과 소통하며 다양한 관계를 맺는다. 오늘날의 주된 매체는 이미지를 제공하며 현대인은 그 이미지를 통해 세계를 인식한다. 이러한 상황은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초월해 개인을 세계와 관계하게 한다. 그러나 장 보드리야르의 이론에 따르면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이미지는 시뮬라크르로서 실재와의 연관을 끊고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이미지이다. 따라서 현대인이 수용하는 이미지는 실재와 괴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매체의 양가적 측면은 휴대전화와 인터넷이라는 현대의 대표적인 매체에서도 나타난다. 휴대전화는 목소리라는 제한적인 정보를 통해 개인을 연결시켜줌으로써 자기인식의 도구로 활용되는 한편 위장의 수단으로도 기능한다. 그리고 인터넷은 현실 세계와 평행한 가상공간을 구축하여 개인에게 새로운 자아를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가상공간은 현실과 무관한 것이 아니라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개인은 두 세계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다니엘 켈만의 생애와 문학 2
2. 선행 연구와 논문의 전개 방향 11

Ⅱ. 현대사회와 정체성 22
1. 정체성과 명성 25
1) 정체성에 대한 켈만의 접근 26
2) 명성의 개념 29
2. 작품의 구성 원리: 미로 구조 35
1) 아홉 개의 이야기로 완성된 한 편의 소설 36
2) 네트워크 구조 44

Ⅲ. 사회적 관계와 현대인의 자아 51
1. 가변적인 자아 52
1) 굴절된 자아를 비추는 거울 53
2) 상황에 따른 변화: 여행 56
3) 두 자아 사이의 진자 운동 58
2. 명성과 그 아이러니 62
1) 무시와 인정투쟁 63
2) 자기소외의 가능성 66
3. 상징으로서의 죽음 72

Ⅳ. 현대매체의 역할 76
1. 이미지로서의 세계 80
1) 매체를 통한 세계인식 81
2) 복제 이미지와 자아 84
2. 휴대전화의 이중성 88
1) 자기인식의 도구 89
2) 위장의 수단 91
3. 가상공간에서의 새로운 자아 94
1) 해방의 공간으로서의 가상공간 95
2) 매체에 의한 분신의 불완전함 98

Ⅴ. 결론 103

참고문헌 106

Zusammenfassung 112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26730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정체성-
dc.subject자아-
dc.subject명성-
dc.subject인정-
dc.subject매체-
dc.subject.ddc830-
dc.title다니엘 켈만의 명성에 나타난 현대인의 정체성 연구-
dc.title.alternativeDie Studie der heutigen Identität in Daniel Kehlmanns Ruhm-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114-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독어독문학과-
dc.date.awarded2016-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