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해방기 염상섭 소설의 탈식민적 현실인식 연구 : The Postcolonial Vision in Yom Sangseop's Fictions of the Liberation Period, 1945-1950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배하은

Advisor
조남현
Major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염상섭탈식민해방중간파탈식민적 정체성저항 주체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2012. 8. 조남현.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해방기 염상섭 소설에 나타나는 탈식민적 현실인식을 분석하고 그 근본적인 문제의식이 탈식민의 성취를 문학적으로 모색하는 것에 있음을 설명하는 것이다. 해방은 단순히 식민 지배로부터의 물리적인 탈식민(decolonization)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문학사적인 맥락에서 또한 탈식민적 정체성과 주체, 그리고 탈식민 성취의 이념적 토대와 같은 문제들을 모색해야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염상섭이 해방기에 창작한 소설 작품들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작가적 노력의 결과물이었고 그 바탕에는 염상섭의 탈식민적 현실인식이 가로놓여 있었다.
그의 현실인식은 두 가지 측면에서 탈식민적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첫째로 해방 현실을 미완의 탈식민(decolonization) 상태로 인식함으로써 이를 타개할 탈식민적 주체에 대한 끊임없는 모색이 나타나 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첫걸음」, 「엉덩이에 남은 발자욱」, 「모략」, 「혼란」, 「삼팔선」은 일본 제국주의 역사와 식민적 정체성 해소의 문제를 서사화하는 한편, 그 자리를 대체하게 된 새로운 제국 체제의 식민성을 적시하고 있다. 이 소설들은 해방 현실을 탈식민적 정체성의 문제와 결부시켜 설명하고 있는데 특별히 만주 이주민의 외부적인 시선을 통해 현실을 조명함으로써 해방을 곧 민족의 해방, 민족국가 수립으로 치환하는 평면적이고 피상적인 이해 방식에서 탈피한다.
해방 직후 발표한 「첫걸음」과 「엉덩이에 남은 발자욱」은 다소 과도적인 작품으로 민족주의적인 서사의 양상을 드러낸다. 「첫걸음」은 민족적 정체성을 회복하는 과정을 민족 내부의 동일성 확인과 민족 외부의 배제 논리로 서사화한다. 그러나 「엉덩이에 남은 발자욱」에서 이러한 민족주의적 서사의 위험성이 서사 표면으로 노출되며 이후 염상섭의 문학이 보다 본질적인 탈식민적 정체성 모색의 단계로 이행하게 되는 징후가 포착된다. 「모략」에서는 「엉덩이에 남은 발자욱」에 흔적을 남긴 서사적 균열이 점차 확대되며 민족적 정체성의 동일성 논리는 탈식민적인 해방 현실 앞에서 무효화되는 상황을 제시한다. 「모략」과 마찬가지로 만주 이주민의 시선을 전면화하는 「혼란」은 당시 지배적인 민족주의 담론과 달리 실제 현실을 구성하고 있는 것은 민족적 정체성과 민족적 주체가 아님을 강조한다. 「삼팔선」에서는 미군과 소련 지배하의 38선을 넘는 피난민을 형상화함으로써 전후 새로운 제국 체제의 식민성을 지적하는 동시에 이를 극복할 새로운 주체 모색의 과제가 이후 창작 과정에서 지속될 것임을 암시한다.
염상섭 소설의 탈식민적 현실인식을 잘 보여주는 또 다른 측면은 그의 중간파 이념에서 확인된다. 염상섭은 좌우익에 함몰된 해방기 여타 작가들과 달리 사회주의와 부르주아 민족주의로 양분된 제국의 이념적 헤게모니를 비판하고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탈식민적 이념으로서 중간파 이념을 제시한다. 해방 직후 염상섭의 이북 체류와 월남 체험을 밑바탕으로 창작된 「이합」, 「재회」 연작은 지식인의 시선으로 이데올로기 뒤에 은폐된 새로운 체제의 식민 지배를 해부하고 있는 소설이다. 그러나 「그 초기」와 함께 이 연작 소설이 지닌 한계는 비판적 인식에서 머물 뿐 이데올로기 배면의 식민성을 극복하는 단계로까지는 발전하지 못했다는 점에 있다. 이와 같은 식민 지배의 극복과 저항의 문제는 장편소설 『효풍』에 이르러 구체화된다. 염상섭은 『효풍』에서 제국의 이념적 헤게모니에 의한 식민화를 극복하기 위한 탈식민적 주체의 가능성을 시험한다. 중간파 이념을 체화 및 형상화하는 인물들은 특정한 이념 선택이 아닌, 체제 내부에서의 주체적인 이념 경쟁과 공존을 위한 이념 공간 확보 차원의 문제가 선결될 때 비로소 탈식민을 성취할 수 있음을 드러낸다. 그리고 이러한 중간파 이념은 단순히 작품 내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염상섭이 실제로 좌우합작 운동에 참여함으로써 작품 바깥의 현실로까지 확장되었다.
한편 1948년 단정 수립으로 인해 이념적 차원의 탈식민 추구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에 놓인다. 동시에 사회 ․ 문화적으로 반공주의와 미국적 자본주의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이념적 식민화의 문제가 일상의 식민화로 전환되기에 이른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염상섭의 문학 또한 일상 담론의 층위로 초점을 이동시켜 식민화된 일상을 탈피할 수 있는 주체 복원 작업에 착수한다. 「두 파산」, 「일대의 유업」, 「속 일대의 유업」에서 6.25로 연재가 중단된 장편소설 『난류』에 이르는 48년 이후의 소설들은 공통적으로 일상의 식민화에 저항하는 여성 인물의 모습을 부조함으로써 자본으로 대표되는 일상의 식민적인 억압으로부터 주체적인 인식과 행위의 확보 가능성을 모색한다.
해방기 염상섭 소설의 근본적인 문제의식은 탈식민 성취에 이르는 다각적인 사유와 모색에 있으며 그 기저에는 해방을 미완의 탈식민(decolonization)의 상태로 이해하는 탈식민적(postcolonial) 현실인식이 가로놓여있다. 이와 같은 특징적인 현실인식과 문제의식은 염상섭의 직접적인 탈식민적 체험과 함께 작품의 질료가 된 만주 이주민의 시선과 중간파 이념의 탈식민성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해방기 염상섭 소설이 그 특유의 위치와 가치를 획득할 수 있었던 원인이 여기에 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postcolonial vision in Yom Sangseops fictions of the Liberation Period (1945-1950) and explains that Yom Sangseop, in fact, shaped his fictions with the aim of seeking a literary solution to complete the decolonization process in Korea. The liberation of Korea, its political independence from Japanese Imperial rule, meanwhile, in the context of literary history, required that Korean writers discuss postcolonial identities and subjects as well as invent the theoretical and ideological basis for ultimate decolonization. Yom responded by his expressing his postcolonial vision in his fictions, which were created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ways to establish the postcolonial issues.
Yoms writing can be defined as postcolonial discourse in two aspects: first of all, it explores postcolonial identities and subjects particularly from the marginalized perspective of the Korean immigrants in Manchuria. This kind of perspective enables Yoms fictions, such as The First Step, The Scheme, The Disorder, and The 38thParallel to represent the replacement of colonial identities with postcolonial ones and the eradication of colonialism. The narrative of The First Step, Yom Sangseops first novella since his return from Manchuria to Seoul, seems to be constructed on nationalism in that it practices, in some ways, the nationalist logic of identification and exclusion within the structure of nationhood. Soon, however, in The Footprints Left on His Bottoms, the self-destructive danger that this kind of logic can result in is implied in the last scene, which can possibly be interpreted as the writers increased understanding of postcolonial identities and subjects. At the same time, the new order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defined as a so-called neo-colonialism, is clearly marked by the figures of the refugees crossing the 38th parallel. The notion of the advance of the new imperial forces and the postcolonial identities who were against them is developed to imagine the postcolonial subject in the following fictions published in 1948.
The idea of the middle ground tested and represented in Yoms fictions of 1948, a political idea which rejects both of the two predominant ideologies, socialism and bourgeois nationalism, is the postcolonial vision that the writer pursued. In such short story series as Meeting and Parting and Reunion, the intellectual narrator is aware of and criticizes the colonial power operating behind the ideologies. However, the narrator ends up in exile without taking any strong actions to resist the dominant power. The possibility of resistance surfaces in Yom Sangseops first novel since the liberation, The Breeze of Daybreak. The figures in this novel, representing the idea of the middle ground, demonstrate that decolonization in the postcolonial era would be fully achieved not through the ideological monopoly of socialism or bourgeois nationalism, but through the creation of an open space of diverse ideas and values. Yom Sangseop, indeed, confirms this postcolonial vision by participating in a political movement standing for the middle ground as well.
After the emergence of a separate regime in South Korea, the writers pursuit of the postcolonial vision in political and social ways was not allowed anymore because anti-communist hysteria began to restrict political freedom. At the same time, as American capitalism was spreading in the society, the problem of ideological colonization turned into the problem of the colonization of everyday life. Yom Sangseops fictions also followed this change. Two Bankruptcies, The Legacy of One Generation, its sequel, and the unfinished novel, Warm Current, depict female characters who struggle against the oppressive power of capitalism and patriarchy in everyday life. In other words, Yom strived to create subjects capable of defending their identities from the microcosmic colonial power of everyday life in the postcolonial era.
Yom Sangseops fictions of the Liberation Period criticize a new type of colonialism in the postcolonial era and attempt to invent subjects who can resist and escape from the domination of the new colonial power. The writers personal postcolonial experiences, for example, crossing the Chinese border and the 38th parallel, are thought to have influenced his postcolonial writing that discovers a way to achieve genuine liberatio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208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