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정지용 시와 가톨릭문학론의 관련 양상 연구 : A Study on Connections between Jeong Ji-Yong's Poetry and the Catholic Literary Theor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허윤

Advisor
박성창
Major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가톨릭문학 창작방법론회화주의‘상실+정화⇒상승’1930년대 가톨릭문학론감각적·언어적 근신'정신적인 것'의 묵상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2012. 8. 박성창.
Abstract
본고는 해방 이전 정지용의 문학세계에서 크게 네 국면을 보이며 전개된 창작방법론상의 자각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정지용 시의 형식 및 주제상의 특질을 밝히고자 한다. 정지용의 창작방법론은 연작 산문 「素描」(1933)를 통해 가톨릭 시의 본질 및 그 시작점을 파악해가는 과정에서 발원한 것으로서, 1938~1939년에 이르러서는 가톨릭 시에 관한 창작방법론의 범주를 넘어 시인의 존재론 및 서정시 이론을 정립하는 것으로 확대되는 양상을 보인다. 정지용의 서정시 이론은 1930년대 가톨릭문학론과의 접점을 보여주는 것일 뿐 아니라, 시집 『白鹿潭』(1941)으로 성취되는 정지용의 후기 시편들 내에서 시적 주체의 태도로서 구현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정지용 문학에 나타나는 창작방법론상의 자각과정은 ⑴ 연작 산문 「素描」(1933), ⑵ 시론 「詩文學에 대하여」 「詩와 鑑賞-永郞과 그의 詩」 「詩의 擁護」 「詩와 發表」 「詩의 威儀」 「詩와 言語」(1938~1939), 그리고 재현 주체의 태도를 정비하고 경험현실 속에서 시적 대상을 새롭게 발견해가는 과정을 다룬 ⑶ 「天主堂」(1940) ⑷ 「畵文行脚」(1940)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정지용의 창작방법론은 ① 상징적 형상(상실+정화)을 순수하게 재현하는 회화주의와 ② 근신과 묵상에 의한 시적 주체의 통찰력, 그리고 ③ 경험현실을 향한 시적 대상의 저변 확대로 요약될 수 있다.
먼저, 「素描」(1933)에는 가톨릭문학 창작방법론을 모색해가는 과정이 반영되어 있다. 모색의 결과 시인은 일과(日課)를 초월하여 의미론적 상승에 이르는 상징적 형상물을 순수하게 재현하는 원리를 새롭게 받아들이게 된다. 또한 그는, 불로써 정화되는 상실의 단계를 통해 비상(非常)한 사랑의 단계로 상승하는 성 프란시스코(St. Francisco)의 행적으로부터 가톨릭 시의 출발점을 발견해내기도 한다. 이와 같은 창작방법론상의 자각은 가톨릭 시 「臨終」 「恩惠」(1933) 「다른 한울」 「또 하나 다른 太陽」(1934)에 이르러, 바라는 세계와의 사이에 놓인 협곡 너머에서 감각을 제어하거나 가톨릭 성인의 모범을 본받으려는 시적 주체의 모습으로 구현된다. 자기 영혼 정화에 관한 시적 주체의 의지는 같은 시기 시인에 의해 번역되고 있었던 가톨릭 영성 지도서 『그리스도를 본받음』의 강론 내용 가운데 감각의 부정 및 표양에의 합치라는 항목과도 밀접한 관련성을 보인다.
시인 자신에 의해 가톨릭문학의 출발점으로 제기되었던바 상실+정화를 통한 의미론적 상승이라는 구도는 가톨릭 시 창작이 중단된 1935년 이후로도 시인의 존재론이라는 형태로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정지용은 시인의 생애사적 비극이 감각의 제어 및 시적 영감과의 일치라는 단계를 거쳐 상승의 순간으로 접어드는 역전의 구도로부터 서정시의 본질을 묘파해낸다. 이를 토대로 정립한 시론 「詩의 擁護」 「詩와 發表」 「詩와 威儀」 「詩와 言語」(1939)에서 정지용은 서정시의 의미론적 상승을 위해 시인이 거쳐야만 하는 정화의 단계로서 근신과 묵상의 창작태도를 제시한다. 이렇듯 작가와 작품 간의 불가분리성을 주효하게 내세웠던 점에서 정지용의 시론은 1930년대 이동구의 가톨릭문학론과 접맥되는 지점을 보여주지만, 묵상의 주제로서 인간정신의 측면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점에서는 결정적인 차이를 보여주기도 한다.
근신과 묵상의 태도는 시집 『白鹿潭』(1941)에 이르러 감각적·언어적 근신의 형태로 구현된다. 「耳目口鼻」(1937) 「슬픈 偶像」(1938)에는 대상의 정수(精髓)를 받아들이기에 앞서 감각을 제어하고 언어에 적정을 기하려는 노력의 과정이 형상화되어 있다. 또, 「長壽山 1·2」(1939) 「白鹿潭」(1939)의 시적 주체는 온산중 만물의 자기희생적인 형상들로부터 정화된 세계를 통찰해내고, 그러한 형상들에 동참하려는 의지를 드러낸다. 「天主堂」(1940)은 이 무렵의 시인이 종래의 회화주의의 방법 하나만으로는 성당에 대한 글쓰기가 성립할 수 없음을 자각한 결과 보이지 않는 대상을 사모할 수 있는 신도로서의 태도를 스스로에게 요구하게 되는 지점을 보여준다.
서사적 서정시 「호랑나븨」(1941)는 경험현실 속의 인물을 그 본래의 특성을 유지시킨 채로 반영한 것인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시적 주체는 초현실적인 차원을 현실적인 차원과 병치시키고 석간신문으로 상징되는 세계에 잘못 놓인 인물들에 대하여 초현실적인 국면을 새롭게 열어줌으로써 그들을 알맞은 장소로 옮아가도록 한다. 이처럼 「호랑나븨」는 상실+정화⇒상승이라는 시적 구도가 경험현실 속에서 구현되는 지점을 보여준다. 기행 연작 산문 「畵文行脚」(1940)은 시인이 기행 중에 시적 대상을 새롭게 받아들이고 재현 주체의 태도를 재정비한 결과로서 「호랑나븨」를 창작하게 되었음을 알게 한다. 이 기행을 통해 정지용은 잘못 놓여 희미해져버린 형상들을 발견하게 되었으며, 그 속에 여전히 도사린 생명력을 초현실적인 방식으로 재현하고자 하는 욕구를 느끼게 되었던 것이다.
이렇듯 가톨릭문학을 창작하기 위한 목적에서 시작된 창작방법론상의 자각은, 서정시로의 정신적 상승을 위한 근신과 묵상의 창작태도를 정립하는 과정을 지나, 온산중 만물의 자기희생적 형상으로부터 정화된 세계를 통찰하게 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었고, 마침내는 경험현실로부터 발견한 희생적 형상들에 대하여 초현실적 정화의 요소를 부여함으로써 그것 안에 내재된 생명력을 재현해내는 원리로 현상하기에 이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Jeong Ji-yong's poetry by examining his creative methodology that was established in four aspects in his literary world before the nation's liberation. His creative methodology originated in his series prose Rough Drawing(「소묘」) and was established as a lyric poem theory from 1938 to 1939. His lyric poem theory not only reflects his contact point with the Catholic literary theory of the 1930s, but also was manifested as an attitude of a poetic subject in his anthology Baekrokdam(『백록담』).
The self-conscious process of his creative methodology in his literature can be examined as follows: (1) 1933: his series prose Rough Drawing(「소묘」)
(2) 1938-1939: his essays on poetry including On Poetic Literature(「시문학에 대하여」), Poetry and Appreciation(「시와 감상」), Advocacy of Poetry(「시의 옹호」), Poetry and Presentation(「시와 발표」), Solemn Manner of Poetry(「시의 위의」), and Poetry and Language(「시와 언어」)
and (3) 1940: his Cheonjudang(「천주당」) and (4) 1940: Hwamunhaenggak(「화문행각」) reflecting his process of arranging the attitudes of reproduction subjects and newly discovering objects of reproduction in experienced reality. His creative methodology can be summarized as ① "pictorialism to reproduce symbolic forms (loss+purification) in a pure manner," ② "insight of a poetic subject based on discretion and meditation" and ③ "expansion of the base of a poetic object towards experienced reality."
In his Rough Drawing(「소묘」), Jeong started to search for the creative methodology of Catholic literature and subsequently accepted a principle of purely reproducing symbolic forms to reach semantic ascension beyond the daily routine anew. He also found the starting point of Catholic poetry in the achievements of St. Francisco, who "ascended" to the stage of extraordinary love through the stage of "loss" purified with fire. In his Catholic poems including The Hour of Death(「임종」) and Boons(「은혜」) and Different Sky(「다른 한울」) and Another Different Sun(「또 하나 다른 태양」), he presents the attitudes of a poetic subject trying to control his senses beyond the gorge between his desired world and himself and follow the examples of Catholic sages. Those attitudes are closely related to Imitation of Christ, a Catholic spiritual guidebook being translated by him at that time.
In his poetic theories, he presented a poet's attitude of "discretion" and "meditation" in the stage of purification. His poetic theories have a contact point with the Catholic literary theories of Lee Dong-gu in the 1930s in that they prominently argued for the poet's ontology. However, they are also decisively different from his Catholic literary theories in that the poet tried to widely accept the aspect of human spirit.
The attitude of "discretion" and "meditation" was manifested in the form of sensual and lingual discretion in his Baekrokdam(『백록담』). His Features(「이목구비」) and A Sad Idol(「슬픈 우상」) manifest his process of trying to control his senses and paying proper attention to language before accepting the essence of an object. In his Mt. Jangsu 1 and 2(「장수산 1·2」) and Baekrokdam(『백록담』), the poetic subjects demonstrate their determination to gain insight into the self-sacrificing forms of every creature all over the mountain and join them. His Cheonjudang(「천주당」) shows that he realized writing about a Catholic church could not be possible just with the old "pictorialism" and required an attitude as a believer to worship an invisible object.
His narrative lyric poem A Swallowtail(「호랑나븨」) demands attention in that it reflects the innate characteristics of a character in reality while maintaining them. The poetic subject puts a surrealistic dimension alongside a realistic one. The poem shows a point where the poetic structure of loss+purification⇒ascension expands towards an experienced reality. His travel prose Hwamunhaenggak(「화문행각」) shows that the poem was the result of the poet not accepting a poetic object anew and rearranging the attitude of a reproduction subject during travel. During the travel, the poet discovered forms that became blurry being placed wrong and developed desire to reproduce the life force still lingering in them in a surrealist manner.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208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