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함북방언의 파생접미사 -≪咸北方言辭典≫을 중심으로 : Derivational suffixes of Hambuk dialect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승철-
dc.contributor.author임홍연-
dc.date.accessioned2017-07-19T09:55:46Z-
dc.date.available2017-07-19T09:55:46Z-
dc.date.issued2015-08-
dc.identifier.other00000006728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2135-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국어학전공, 2015. 8. 정승철.-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함북방언의 파생접미사를 체계적으로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함북방언의 어휘 자료를 집대성한 ≪咸北方言辭典≫(1986)을 중심으로 이에 실린 각 어형들을 분석하여 파생접미사의 목록을 확보하고 그 쓰임을 검토함으로써 해당 파생접미사의 분포와 기능을 구명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咸北方言辭典≫에 등재되어 있는 예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되 최대한 분석하기로 한다. 공시적으로 분석 가능한 예는 물론, 통시적이더라도 어기나 접사 중 한 쪽의 의미를 공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경우 형태 분석하여 해당 접사를 우리의 논의대상으로 삼았다.
이 논문에서는 단어를 어기와 접사로 분석하였는데 같은 형태의 접미사의 경우 선행하는 어기의 품사와 접사가 결합한 파생어의 의미영역에 따라 분류하였다. 즉 선행하는 어기의 품사와 접사가 결합한 파생어의 의미영역이 같은 경우 하나의 접미사로 보았고 둘 다 다른 경우는 동음이의어로 처리하였다. 또한 선행하는 어기의 품사는 같지만 파생어의 의미영역이 다른 경우는 동음이의어로, 선행하는 어기의 품사가 다르고 의미영역이 같은 경우는 같은 접사로 처리하였다.
이 논문은 서론과 결론을 포함하여 모두 6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대상, 선행연구, 기본적 논의, 논의의 구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명사파생접미사, 3장에서는 동사파생접미사, 4장에서는 형용사파생접미사, 5장에서는 부사파생접미사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하나의 단어를 어기와 접사로 분석하여 접미사의 분포와 기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표로 정리하여 결론에 제시하였다.

주요어: 함북방언, 명사파생접미사, 동사파생접미사, 형용사파생접미사, 부사파생접미사, 분포, 기능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국문초록 ⅰ

1. 서론 1
1.1. 연구 목적 및 대상 1
1.2. 선행연구 5
1.3. 기본적 논의 7
1.4. 논의의 구성 10
2. 명사파생접미사 12
2.1. 유정명사 파생 12
2.1.1. -개1 12
2.1.2. -꾸러기 12
2.1.3. -꾼 16
2.1.4. -내기1 17
2.1.5. -데기1 18
2.1.6. -배기1 18
2.1.7. -뱅이와 -배: 19
2.1.8. -보 21
2.1.9. -아리/어리1 22
2.1.10. -애/에 22
2.1.11. -이1 22
2.1.12. -쟁이와 -재: 24
2.2. 사물명사 파생 27
2.2.1. -가리 27
2.2.2. -개2 28
2.2.3. -기1 30
2.2.4. -대 32
2.2.5. -데기2 32
2.2.6. -때1 33
2.2.7. -마/매 34
2.2.8. -막 34
2.2.9. -배기2 35
2.2.10. -애/에 35
2.2.11. -이2 36
2.3. 행위명사 파생 37
2.3.1. -기2 37
2.3.2. -내기2 39
2.3.3. -매 40
2.3.4. -이3 41
2.3.5. -질 41
2.4. 척도명사 파생 44
2.4.1. -기3 44
2.4.2. -씨1 44
2.4.3. -억지1 45
2.4.4. -이4 45
2.5. 기타 명사 파생 46
2.5.1. -때/띠2와 -때기 46
2.5.2. -씨2 47
2.5.3. -아리/어리 47
2.5.4. -아지/어지 48
2.5.5. -악/억 49
2.5.6. -악지/억지 49
2.5.7. -앙대기 50
2.5.8. -어기 51
2.5.9. -어미 51
2.5.10. -우지 52
2.5.11. -이5 52
2.6. 소결 53
3. 동사파생접미사 55
3.1. 피동사 파생 55
3.1.1. -이-와 -이우- 56
3.1.2. -히-와 -히우- 59
3.1.3. -리-와 -리우- 60
3.1.4. -기-와 -기우- 62
3.1.5. -우- 64
3.1.6. -구- 65
3.2. 사동사 파생 65
3.2.1. -이-와 -이우- 66
3.2.2. -히- 69
3.2.3. -리-와 -리우- 70
3.2.4. -기-와 -기우- 72
3.2.5. -키- 74
3.2.6. -우- 74
3.2.7. -구- 75
3.2.8. -후- 78
3.3. -거리- 79
3.4. -버리- 81
3.5. -트리/뜨리- 81
3.6. 소결 82
4. 형용사파생접미사 85
4.1. 감각형용사 파생 85
4.1.1. -ㄱ- 85
4.1.2. -굴- 86
4.1.3. -ㅂ- 87
4.1.4. -스르하-와 -으스르하- 87
4.1.5. -압/업- 89
4.2. -다마- 92
4.3. -답-, -롭-, -스럽- 93
4.3.1. -답- 93
4.3.2. -롭- 94
4.3.3. -스럽- 95
4.4. -싸/써하- 97
4.5. -앟/엏- 98
4.6. -직하-와 -ㅁ직하- 99
4.7. -쭉하- 100
4.8. -즉하- 100
4.9. 소결 101
5. 부사파생접미사 103
5.1. -껏 103
5.2. -나/으나 103
5.3. -ㄹ로/루/르 104
5.4. -우 105
5.5. -이 106
5.6. 소결 106
6. 결론 108

참고문헌 112
118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80527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함북방언-
dc.subject명사파생접미사-
dc.subject동사파생접미사-
dc.subject형용사파생접미사-
dc.subject부사파생접미사-
dc.subject분포-
dc.subject기능-
dc.subject.ddc810-
dc.title함북방언의 파생접미사 -≪咸北方言辭典≫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Derivational suffixes of Hambuk dialect-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Yim, hongyeo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vii, 119-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5-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