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경주 지역어와 하동 지역어의 음운론적 대비 연구 : A Contrastive Phonology of the Gyeongju, Hadong Dialects in Korea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승철-
dc.contributor.author김동은-
dc.date.accessioned2017-07-19T09:55:56Z-
dc.date.available2017-07-19T09:55:56Z-
dc.date.issued2015-08-
dc.identifier.other00000006750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2139-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국어학전공, 2015. 8. 정승철.-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개별 방언 간의 비교 연구로서, 같은 대방언권인 동남방언의 하위방언으로서의 경북 동부 방언과 경남 서부 방언을 비교·대조하여 방언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주 지역어와 하동 지역어를 대상으로 음운 목록을 확정하고 어미와 어간의 기저형을 설정한 후 공시적인 음운 현상을 기술하였다.
본고는 모두 5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먼저 1장에서는 연구의 주제와 목적을 밝혔으며 조사 및 연구의 방법과 논문의 구성을 설명하고 기존 논의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경주 지역어와 하동 지역어의 음소·운소에 대해 기술하였다. 경주 지역어의 단모음 체계는 6모음 체계이고, 하동 지역어는 7모음 체계를 보이며 경주와 하동 모두 활음 /j, w/를 갖고 있다. 경주 지역어는 /ㆆ/을 포함한 19개의 자음, 하동 지역어는 /ㅆ/과 /ㆆ/을 포함한 20개의 자음을 갖고 있다. 경주와 하동 모두 고조와 저조가 대립하는 2단 체계를 가지고 있는데, 경주 지역어에서는 저고복합조가 발견되지만 하동 지역어에서는 복합조가 나타나지 않는다.
3장에서는 두 지역어의 기저형을 살펴보았다. 조사 및 어미의 기저형과 체언·용언 어간의 기저형을 각각 단일기저형과 복수기저형으로 나누었다. 조사 및 어미는 개음절과 폐음절로 각각 나누어 살펴보았고, 체언 및 용언의 어간은 어간 말음에 따라 분류하였다.
4장에서는 경주 지역어와 하동 지역어의 공시적인 음운 현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모음에 관련된 현상을 대치·탈락·첨가·축약으로 나누어 기술하고, 자음에 관련된 현상도 같은 방법으로 기술하였다. 모음에 관련된 음운 현상을 살펴보면, 경주 지역어와 하동 지역어의 완전순행동화 규칙과 원순모음화 규칙은 같다. 다만 하동 지역어에는 /ㅁ/ 말음 어간의 일부가 원순모음화를 겪지 않는다. 경주 지역어는 개음절 어간에 모음 어미가 연결되는 경우에 모음조화를 지키며, 폐음절 어간에는 어미 -아도만이 결합한다. 하동지역어는 개음절 어간과 폐음절 어간 모두 모음조화를 지킨다. 두 지역의 동모음 탈락과 모음 축약 또한 같은 양상을 보인다.
두 지역어의 자음에 관련된 음운 대치 중에서는 음절말 평폐쇄음화와 비음화, 치조비음화, 유음과, 경음화 및 구개음화가 서로 같다. 양순음화와 연구개음화의 경우, 양 지역의 노년층 화자에게는 필수적인 현상이지만 중·장년층 화자에게서는 수의적인 현상으로 나타났다. 자음 탈락 중 후음 탈락은 두 지역에서 동일하게 나타났고, 자음군단순화·유음 탈락·어간 말 /ㅇ[ŋ]/, /ㄴ/ 탈락은 그 양상이 서로 달랐다. 구(句) 구성의 /ㄴ/ 첨가는 양 지역에서 필수적으로 일어난다. 축약 중 /ㆆ/에 후행하는 평음의 경음화는 양 지역에서 동일하게 일어났으며, 격음화의 경우 경주 지역어에서는 순행적 격음화와 역행적 격음화가 모두 일어나고 하동 지역어에서는 순행적 격음화만이 일어난다.
5장은 결론으로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와 남은 문제를 제시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is a contrastive study of Gyeongju and Hadong dialects. Gyeongju dialect belongs to the northeastern part of Southeastern dialects, and Hadong dialect is a southwestern part of Southeastern dialects. The aim of the study is to find 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bout these two dialects.
This research consists of five parts. Chapter 1 provides the purpose, the method, and the structure of the study and reviews the previous researches.
In chapter 2, the phonological systems of Gyeongju and Hadong dialects are stated. Gyeongju dialect has six monothongs(/i, E, ∃, a, u, o/), two glides(/j, w/), and 19 consonants(/p, p, ph, t, t, th, s, c, c, ch, k, k, kh, h, ?, m, n, ŋ, l/). Hadong dialect has seven monothongs(/i, e, ?, ∃, a, u, o/), two glides(/j, w/), and 20 consonants(/p, p, ph, t, t, th, s, s, c, c, ch, k, k, kh, h, ?, m, n, ŋ, l/). Two dialects have two tonemes in common
-
dc.description.abstracthigh tone and low tone. Especially, Gyeongju dialect has L·H tone.
In the third chapter, the establishment of underlying forms of particles, endings, declension stems and conjugation stems is proposed. The underlying forms of particles and endings are classified by the initial sound of first syllable. The underlying forms of declension stems and conjugation stems are classified into either consonant-final of vowel-final.
The phonological phenomena is the main statement of chapter 4. In sum, there are four subtypes of phonological phenomena
-
dc.description.abstractalternation, deletion, insertion and contraction.
Gyeongju and Hadong dialects are mostly similar in the phonological phenomena regarding vowels
-
dc.description.abstractalternation(complete progressive assimilation, labialization), deletion of stem-final /∃, a/, contraction of stem-final /u, o/ and ending-beginner /∃, a/.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vowel harmony.
In the phonological phenomena considering consonants, the two dialects have a lot in common
-
dc.description.abstractalternation(neutralization, nasalization, lateralization, glottalization, palatalization, labialization, velarization), deletion of glottals, insertion of /n/, contraction of /?/ and ending-beginner. Deletion(consonantal cluster simplification, deletion of /l/, deletion of stem-final /n, ŋ/) and the aspiration as contraction are the main differences in these two dialect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nd the future tasks are discussed.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1. 연구의 주제와 목적 1
1.2. 조사 및 연구 방법 2
1.3. 연구사 검토 4
1.4. 논의의 구성 6

2. 음운 체계
2.1. 음소 체계
2.1.1. 모음 7
2.1.2. 자음 12
2.2. 운소 체계
2.2.1. 성조 15
2.2.2. 음장 16

3. 기저형
3.1. 조사와 어미
3.1.1. 조사의 기저형 18
3.1.2. 어미의 기저형 20
3.2. 체언과 용언
3.2.1. 체언 어간의 기저형 23
3.2.2. 용언 어간의 기저형 27


4. 음운 현상
4.1. 모음 및 활음과 관련된 현상
4.1.1. 대치
4.1.1.1. 완전순행동화 39
4.1.1.2. 원순모음화 46
4.1.1.3. 모음조화 51
4.1.2. 탈락 56
4.1.3. 축약 57
4.2. 자음과 관련된 현상
4.2.1. 대치 58
4.1.1.1. 양순음화 64
4.1.1.2. 연구개음화 65
4.2.2. 탈락 67
4.1.1.1. 자음군 단순화 68
4.1.1.2. 유음 탈락 72
4.1.1.3. /ㅇ[ŋ]/, /ㄴ/ 탈락 77
4.2.3. 첨가 83
4.2.4. 축약 84

5. 결론 88

참고문헌 92 101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55612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경주-
dc.subject하동-
dc.subject음운 체계-
dc.subject기저형-
dc.subject대치-
dc.subject탈락-
dc.subject첨가-
dc.subject축약-
dc.subject.ddc810-
dc.title경주 지역어와 하동 지역어의 음운론적 대비 연구-
dc.title.alternativeA Contrastive Phonology of the Gyeongju, Hadong Dialects in Korea-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Dongeu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iv, 102-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5-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