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오윤의 <마케팅>연작 연구 : A Study on the Marketing Series by Oh Yo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전병윤

Advisor
김영나
Major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미술사학전공)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오윤연작민중미술현실과 발언민중문화운동시왕도포스터소비문화풍자와 해학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고고미술사학과(미술사학전공), 2012. 8. 김영나.
Abstract
오윤(吳潤, 1946~1986)은 1980년대 등장한 민중미술의 대표적인 미술가다. 민중미술의 선구적인 단체인 현실과 발언의 창립 멤버로 참여한 그는 1980, 1981년에 5점으로 이루어진 연작을 그려, 이 그룹의 동인전에 출품했다. 오윤의 화단 데뷔작인 이 연작은 민중미술이 성립, 발전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본 논문은 이 연작을 통해, 오윤의 예술관, 현실과 발언의 이념 그리고 시대상황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작을 분석하는 일은 그동안 요절로 인해 신화화된 오윤과 그의 작품이 지닌 의의를 찾는 과정이며, 민중미술을 이해하는 단초이기도 하다.
현실과 발언이 결성되고 연작이 제작된 1980년경, 한국사회는 정치, 경제적으로 급변하고 있었다. 민주화에 대한 희망과 절망이 교차하는 한편, 산업화, 도시화가 심화되고 소비문화가 빠르게 확산되었다. 오윤을 비롯한 현실과 발언의 멤버들은 이러한 변화로 발생한 모습 중에서 부정적인 측면을 미술로 드러내고자 했고, 그 방법으로 대중매체에 의해 생산, 유포되는 시각이미지를 활용하려고 했다.
그림의 제목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연작은 소비문화를 다루고 있으며, 이 중에서 (1980), (1981), (1981)은 포스터를 응용했다는 점에서 현실과 발언의 활동 방향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연작에는 이 그룹의 이념으로 보기에 어려운 부분도 있다. 불화를 차용한 (1980), (1981)에서 전통에 대한 관심이 드러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연작 전체에서 탈춤 등의 전통연행예술에서 볼 수 있는 풍자와 해학이 적용되었다. 따라서 이 연작에는 오윤의 개인적인 예술관과 현실과 발언의 이념이 혼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오윤은 전남 구례에 있는 화엄사 시왕도(十王圖)를 차용해, , 를 그렸다. 1862년 제작된 화엄사 시왕도는 5왕과 5지옥을 한 화면에 담는 2폭 형식이다. 즉 , 는 각각 화엄사 시왕도 1폭(제1, 3, 5, 7, 9왕), 2폭(제2, 4, 6, 8, 10왕)의 하단에 그려진 지옥 장면을 참고해, 소비문화가 만연한 현실을 다루었다. 를 보면, 오윤은 이러한 전통 형식을 이용하여, 자신과 그가 살고 있던 1980년경의 한국사회의 모습을 담았음을 알 수 있다. 전통을 중요시한 이러한 예술관은 현실과 발언에 참여하기 이전인 1960년대 후반부터 형성되었다.
오윤의 예술관을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사람은 시인 김지하다. 1969년, 사회 비판적인 미술을 추구했던 것으로 알려진 《현실동인전》(전시 전날 취소)도 김지하의 이론적인 뒷받침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이 전시의 팸플릿에 실린 김지하가 작성한 「현실동인 제1선언」(1969)에는 불화 등의 전통, 민족 형식을 계승하여 현실을 반영하는 미술이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김지하의 회고에 따르면, 현실 동인이 추구했던 바는 아직 본격화되지 않은 민중(민족)문화운동의 이념을 미술로 실천하는 것이었다.
관주도로 시행된 전통 정책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된 민중문화운동은 1970년대에 대학가로 번지고 1980년대 중반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었다. 이 운동은 탈춤, 풍물, 굿 등의 전통연행예술을 계승하는 차원을 넘어 현실 비판과 결합했다. 탈춤에 관심이 많았던 오윤은 시인 김지하, 민속학자인 심우성, 민중문화운동을 이끈 채희완, 임진택 등과 교류하면서, 저항적 민족주의에서 나온 전통론을 받아들였다. 이러한 전통관이 조선시대 시왕도를 차용하여 현실을 비판하는 , 에 투영된 것이다. 민중문화운동의 이념을 미술로 실천하려는 미술동인 두렁(1984년 결성)도 감로탱화(甘露幀畵)와 같은 불화를 활용한 작품들을 제작했다.
오윤은 2점의 지옥도 외에 , , 을 그릴 때에는 포스터 형식을 응용했다. 광고, 만화 등 주변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시각이미지를 활용하는 방안은 현실과 발언 내에서 논의되었다. 오윤은 현실과 발언에서 진행된 소그룹 중 판화 및 포스터반의 책임자로 활동했고, 이 그림들은 그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오윤을 비롯한 그의 동료들은 대중매체에 의해 생산, 유포되는 시각이미지를 활용해 현실의 부정적인 측면을 비판하고, 나아가 이 작품들을 기존의 전시장에서 선보임으로써 기성 화단의 권위에 도전했다. 연작을 그리는 데에 사용된 불화와 포스터는 서로 다른 형식이지만, 소비문화가 만연한 한국사회의 모습을 비판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동일하다.
오윤은 광고가 판을 치는 소비문화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진단을 바탕으로, 이러한 현실을 비판하기 위한 방법으로 탈춤, 판소리 등의 전통연행예술에서 사용된 풍자와 해학을 주목했다. 풍자와 해학은 「현실동인 제1선언」을 비롯한 시인 김지하의 글이나, 채희완의 글 등에서도 계승해야할 전통 가치로 언급되었다. 1984년 두렁의 리더 김봉준과 함께 제작한 탈을 보면, 오윤이 풍자와 해학에 대해 잘 알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풍자와 해학이 연작을 그리는 데에 적용된 것이다. 즉, 당시 만연한 소비문화나 한국화단에서 지배적이었던 모노크롬 미술에 대해서는 풍자가, 그 속에서 살아가는 농민, 노동자 그리고 화가인 그 자신에 대해서는 해학으로 다루었다. 풍자와 달리, 해학은 민중에 대한 긍정적인 시선을 바탕으로, 민중의 모습을 익살맞게 드러내어 웃음을 유발한다. 특히, 에서는 소비문화에 대한 풍자와 더불어, 오윤 자신과 현실과 발언의 동료들을 지옥도 속에 그려 넣음으로써, 객관적 자기 폭로를 통한 웃음을 이끌어낸다.
민중미술이 발아하던 무렵에 제작된 연작에는 변화하는 한국사회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고, 이러한 시대상황에서 미술이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며, 전통의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한 실마리가 담겨 있다.
Oh Yoon(吳潤, 1946~1986) was a prominent artist of Minjoong art, which emerged in South Korea in the 1980s. One of the founding members of "Hyunsil-gwa Balun," (reality and utterance) a pioneering organization of Minjoong art, he created the Marketing series consisting of five pieces in 1980 and 1981 and displayed the series in this art group exhibitions. The series, which was his debut paintings, had influence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Minjoong art.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investigate the series for the artistic views of the artist, the ideology of "Hyunsil-gwa Balun," and the situations of the times, whose analysis would present a process of finding the significance of the painter, who was mythified for his premature death, and his works, and provide some clues to understand Minjoong art.
In the 1980s when "Hyunsil-gwa Balun" group was formed and his Marketing series was created, Korean society was going through rapid political and economic changes.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deepened and consumption culture fast spread with hope and despair for democracy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in the background. The members of this art group including Oh Yoon tried to show the negative aspects of those changes in artistic works and adopt visual images produced and distributed through the mass media.
As one can guess from the title, the Marketing series deals with consumption culture. Especially Marketing Ⅱ: Apply It, (1980) Marketing Ⅲ: Wear It, (1981) and Marketing Ⅳ: Appliances (1981)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activity directions of "Hyunsil-gwa Balun," adopting poster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series also contains elements that are difficult to pass as part of the ideology of the art group. The artist showed his interest in tradition in Marketing Ⅰ: Painting of Hell (1980) and Marketing V: Painting of Hell (1981) that employed a Buddhist painting. Furthermore, he applied to the series satire and humor found in traditional performance arts such as the Talchum (mask dance). In a word, the series presents a combination of his personal artistic views and the ideology of "Hyunsil-gwa Balun."
Oh painted Marketing Ⅰ: Painting of Hell and Marketing V: Painting of Hell by employing Siwangdo (the Painting of Ten Kings, 十王圖) of Hwaeomsa (Buddhist Temple), in Gurye, South Jeolla Province. Created in 1862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this buddist painting is comprised of two pictures. He described prevalent consumption culture by borrowing the hell scenes at the bottom of picture 1 (King 1, 3, 5, 7, and 9) and picture 2 (King 2, 4, 6, 8, and 10) for Marketing Ⅰ: Painting of Hell and Marketing V: Painting of Hell, respectively. Depicting Korean society around 1980 he was living, Marketing V: Painting of Hell gives a peek at his artistic views to include reality in his works through traditional formats. His artistic view of valuing tradition was formed in the latter half of 1960s before he participated in "Hyunsil-gwa Balun."
It was the poet Kim Ji-ha that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formation of Oh's artistic views. "Hyunsil Dongin" (reality group) Exhibition (it was cancelled the day before the exhibition date) of 1969, which was to pursue socially critical art, was based on the poet's theoretical support. Declaration 1 of Hyunsil Dongin (laid out by the poet in 1969) included in the pamphlet of the exhibition states that artworks should inherit traditions and national formats such as Buddhist paintings and reflect reality. According to his recollections, what the "Hyunsil" Group sought after was practicing the ideology of the Minjoong cultural movement, which was not yet full-blown, in art.
The Minjoong cultural movement, which originated in the criticism of the tradition policies initiated by the government, spread to the college community in the 1970s and across society in the middle 1980s. The movement was combined with reality criticism beyond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al performance arts such as the Talchum, Pungmul, and Gut. Oh Yoon had much interest in the Talchum and accepted the tradition theory derived from resistant nationalism, exchanging with the poet Kim Ji-ha, the folklorist Shim Woo-seong, and Chae Hee-wan and Im Jin-taek that led The Minjoong cultural movement. Oh's views of tradition were projected in Marketing Ⅰ: Painting of Hell and Marketing V: Painting of Hell that employed the Siwangdo from the Joseon period and criticized reality. Also the "Dureong" (formed in 1984) art circle is motivatied by practicing the ideology of this movement in art, created artworks by utilizing Buddhist paintings such as Gamrotaenghwa(nectar ritual painting, 甘露幀畵).
Oh Yoon adopted the poster format for Marketing Ⅱ: Apply It, Marketing Ⅲ: Wear It, and Marketing Ⅳ: Appliances. The members of "Hyunsil-gwa Balun" discussed how to make use of visual images easily found in surroundings such as advertisements and cartoons. Oh was in charge of the print and poster subgroup of "Hyunsil-gwa Balun," and this paintings were the results of his involvement with the subgroup. Oh and his colleagues criticized the negative aspects of reality with visual images produced and distributed through the mass media and challenged the authority of the Korean art circles by exhibiting their artworks at the galleries. Buddhist paintings and posters he used to create the Marketing series are different formats but share a common objective of criticizing Korean society of prevalent consumption culture.
Based on his negative perception and diagnosis of consumption culture laced with advertisements, Oh focused on satire and humor used in traditional performance arts such as the Talchum and Pansori as means of criticizing the reality. Satire and humor were also mentioned as traditional values to inherit in the writings of Kim Ji-ha including Declaration 1 of Hyunsil Dongin and those of Chae Hee-wan. The mask Oh made in cooperation with Kim Bong-jun, the leader of "Dureong," in 1984 indicates that he had good knowledge of satire and humor, which he also applied to his Marketing series. He used satire to deal with monochrome art dominating the prevalent consumption culture and Korean painting circles and humor to depict farmers, workers, and an artist or himself living in it. Unlike satire, humor shows the aspects of people in funny ways based on their positive perceptions and thus causes laughter. Oh made the viewers laugh through "objective self-disclosure" along with his satire on consumption culture by putting his colleagues at "Hyunsil-gwa Balun" as well as himself in Marketing V: Painting of Hell.
The Marketing series created in the germination stage of Minjoong art reflects the aspects of changing Korean society and contains clues as to what roles art should play in those situations of the times and what the significance of tradition i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226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