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3 T-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강박장애 환자에서 치료 반응과 관련된 뇌회백질의 화소기반 형태분석 연구 : Voxel-Based Morphometric Study of Gray Matter Associated with Treatment Response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Patients with 3T-Magnetic Resonance Imaging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한재욱

Advisor
권준수
Major
의과대학 의학과
Issue Date
2013-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강박장애치료 반응치료저항성 강박장애화소기반 형태분석 방법안와전두엽뒤쪽 띠이랑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정신과학 전공, 2013. 2. 권준수.
Abstract
서론:
이전부터 강박장애의 병태생리와 관련한 신경해부학적 이상을 규명하기 위해 많은 뇌영상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강박장애의 치료 반응과 관련된 뇌영역에 대해서는 소수의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며, 기존 연구들은 대상 표본의 크기가 작고 일관된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지 않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소기반 형태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강박장애 환자 중 치료 비반응군과 치료 반응군을 대상으로 치료 반응과 관계가 있는 뇌영역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치료 전과 치료 4개월 후 예일-브라운 강박 척도 총점의 호전 정도에 따라 분류 된 29명의 치료 비반응군과 19명의 치료 반응군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치료 전 3 테슬라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하여 획득한 영상을 화소기반 형태분석 방법을 이용해 처리하였다. 각 군 사이에 회질 용적 차이의 유의성을 검정하기 위해 부피소 단위 공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차이를 보인 뇌영역의 회질 용적과 예일-브라운 강박척도 점수의 변화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강박장애 환자군 중 치료 비반응군은 치료 반응군과 비교하였을 때 치료 전 오른쪽 안와전두엽과 왼쪽 뒤쪽 띠이랑의 회질 용적이 유의하게 감소된 소견을 보였다. (uncorrected p<0.001) 오른쪽 하측두이랑의 경우 치료 비반응군에서 치료 반응군에 비하여 회질 용적이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uncorrected p<0.001) 치료 비반응군에서 안와전두엽의 회질 용적과 4개월 동안 예일-브라운 강박 척도 점수의 호전 정도는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치료 비반응군은 치료 반응군에 비해 기저 안와전두엽과 뒤쪽 띠이랑의 회질 용적이 감소된 소견을 보였고 특히 치료 비반응군 내에서 안와전두엽의 회질 용적은 치료 전후 예일-브라운 강박 척도 점수의 호전 정도와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결과는 강박장애 환자들에서 이들 부위의 구조적 이상이 추후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신경해부학적 표지자로 이용될 수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251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