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Bedside endoscopy for gastrointestinal bleeding in critically ill patients : 중환자실 환자에서 발생한 위장관 출혈에서 병상 내시경의 유용성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지현

Advisor
김주성
Major
의과대학 의학과
Issue Date
2016-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Bedside endoscopyGastrointestinal bleedingEarly endoscopy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내과학 전공, 2016. 2. 김주성.
Abstract
목적: 위장관 출혈은 중환자실 환자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합병증 중 하나로, 매우 다양한 원인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 병실이나 외래의 환자와는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위장관 출혈로 병상 내시경술을 시행 받은 중환자실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 내시경 검사의 유효성 및 예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후향적 코호트 연구로서 2010년 1월부터 2015년 5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중환자실 입실 후 발생한 위장관 출혈로 병상 내시경술을 시행한 환자 (상부위장관내시경 253명, 하부장관내시경 69명)를 대상으로 환자기본정보, 내시경 정보, 재출혈과 사망 여부 등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중환자에서 발생한 상부위장관 출혈의 원인으로 소화성궤양 (34%), 급성 위점막병변 (17%)이 많았고, 이는 일반인에서 발생한 상부위장관 출혈의 원인과 비슷하였다. 그러나 중환자에서 발생한 하부장관 출혈의 흔한 원인으로는 허혈성 장염 (24%)과 급성 출혈성 직장 궤양 (20%)으로 이는 일반인에서의 원인과는 차이가 있었다. 조기 내시경 검사는 상부위장관내시경 187명, 하부장관내시경 36명에서 시행되었다. 내시경을 조기에 시행함으로써 상부위장관 출혈에서 출혈 병소 발견율 (82% vs. 73%, p = 0.003)과 지혈술 시행 비율 (60% vs. 8%, p = 0.002)을 유의하게 높일 수 있었으나, 하부장관 출혈에서는 병소 발견율 (58% vs. 82%, p = 0.008)과 지혈술 시행 비율 (7% vs. 16%, p = 0.011)이 모두 감소하였다. 그러나 조기에 시행한 내시경은 재출혈과 사망률에는 영향이 없었다. 재출혈의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서 항혈소판제/항응고제 투여, 응고장애, 높은 혈액요소질소 수치, 초기 출혈 발생시 높은 적혈구 수혈량이 있었다.
결론: 중환자실 환자에서 발생한 상부위장관 출혈에 대해 조기 내시경 검사는 진단 및 내시경적 지혈술에 있어서 효과적이었다. 하지만 하부장관 출혈에서 조기 대장내시경 검사는 적절한 장정결에 주의하여 신중히 시행해야 하겠다. 또 위장관 출혈이 있었던 중환자실 환자 중 응고장애, 항응고제 치료, 높은 혈액요소질소 수치, 초기 출혈 발생시 높은 적혈구 수혈이 필요했던 환자들은 재출혈에 대해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겠다.
Background/Aim: Gastrointestinal (GI) bleeding is an important complica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bedside endoscopy in ICU setting, especially to compare the outcomes of early endoscopy (within 24 h of GI bleeding) with late endoscopy (after 24 h of GI bleed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setting.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underwent bedside endoscopy for non-variceal GI bleeding following ICU admiss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10 and May 2015.
Results: 253 patients underwent bedside esophagogastroduodenoscopy (EGD) for upper GI bleeding (early, 187
late, 66) and 69 bedside colonoscopy (CS) for lower GI bleeding (early, 36
late, 33). Common endoscopic findings were peptic ulcer (34%), and acute gastric mucosal lesion (17%) in EGD group, and ischemic colitis (24%) and acute hemorrhagic rectal ulcers (20%) in CS group. Early EG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ate of finding bleeding focus (82% vs. 73%, p = 0.003) and endoscopic hemostasis (60% vs. 8%, p = 0.002) as compared with late EGD. However, early C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rate of identifying bleeding focus (58% vs. 82%, p = 0.008) and hemostasis (7% vs. 16%, p = 0.011) because of its higher rate of poor bowel preparation and blood interference as compared with late CS. Risk factors of upper GI rebleeding were antiplatelets or anticoagulants therapy, coagulopathy, high level of BUN, and high blood transfusion requirements. In case of lower GI bleeding, coagulopathy was only significant factor associated with rebleeding.
Conclusions: Early bedside EGD is effective for diagnosis and endoscopic treatment in the ICU patients with GI bleeding. CS should be carefully performed after adequate bowel preparation.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3285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