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송만갑과 박봉술 춘향가 선율 비교연구 - 자진사랑가, 이별가, 십장가를 대상으로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왕서은

Advisor
황준연
Major
음악대학 음악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판소리동편제박봉술춘향가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음악과, 2012. 8. 황준연.
Abstract
판소리 연행이 최고조에 달했던 시대의 판소리는 현재보다 더욱 골계적이고 해학적인 대목이 많았고 그 모습은 판소리계 소설 『열녀춘향수절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열녀춘향수절가』의 사설과 가장 흡사한 판소리는 박봉술 창 춘향가이며 박봉술 창 춘향가는 현재 전승이 끊겨 음원으로만 남아있다. 박봉술 창 춘향가는 송만갑제라고 일컬어져 왔으나 현재 남아있는 송만갑의 춘향가 음원과 다른 부분이 상당하여 그 전승계보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송만갑의 춘향가 음원으로 남아있는 , , , , 를 박봉술 창과 비교하여 박봉술 춘향가의 해당 대목이 송만갑에게서 전승되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비교 부문은 사설, 장단 및 붙임새, 선율이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송만갑 창 세 대목의 사설은 박봉술 창에서 거의 그대로 찾을 수 있었다. 박봉술은 송만갑 창 사설을 기반으로 하여 사설의 순서를 바꾸거나 다른 바디의 소리를 첨가하여 재구성하였다. 송만갑 창 는 먹거리 타령, 옷 벗기기 사설, 북해흑룡 사설, 금옥사설로 구성되어있는데 박봉술은 이 네 가지 사설을 그 구성 순서를 달리하여 모두 보유하고 있었다. 특히, 공개적인 가창과 녹음이 어려웠던 옷 벗기기 사설을 두 창자는 모두 음원으로 남겼고 그 사설 또한 거의 합치된다. 박봉술 창 전체 105각 중 55각의 사설이 송만갑 창 이별가 上 · 下, 모흥갑 강산제 이별가의 사설과 거의 일치한다. 모흥갑 강산제 이별가는 전승이 끊겨 부르는 이가 없으나 박봉술 창 이별가에는 송만갑이 부른 사설과 선율이 그대로 남아있었다. 두 창자의 사설 두운반복에 사용된 단어와 해당 부분의 사설은 거의 동일하였고 박봉술 창 십장가에서 추가된 15장사설은 열녀춘향수절가에서 찾아볼 수 있는 사설이다.
두 창자의 장단운용과 붙임새의 사용경향은 유사하였다. 중중모리, 중모리, 그리고 는 매우 거뜬거뜬하게 부르는 세마치 진양조로 두 창자의 장단운용은 같았다. 또한 대마디 대장단이 두 창자의 주된 붙임새이며 엇붙임, 당겨붙임, 주서붙임이 부분적으로 사용되었다. 주서붙임의 사용빈도는 와 에서 박봉술이 송만갑에 비해 두 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두 창자의 선율구성요소는 음역에서 송만갑이 박봉술보다 5도 정도 높은 것을 제외하고 조, 속도, 청, 종지선율 등에서 대부분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같게 부르는 사설에서의 선율윤곽선 또한 거의 동일하였다. 송만갑은 계면조 시김새인 꺾는 목과 꺾는다루를 박봉술에 비해 훨씬 빈번히 사용하여 당시에 유행하던 계면조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송만갑은 화려한 성음으로 고저음의 선율을 자유자재로 운용하기에 특정한 시김새의 사용빈도는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박봉술은 상청의 제약이 있어 중간 이상 음역부터는 통성대신 희성을 사용했으며 다양한 목구성을 사용하였는데 특히, 상청을 내기위한 도움닫기 역할로 끌어올리는 목을 자주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송만갑과 박봉술 창 춘향가 중 , , 는 사설, 붙임새, 선율 측면에서 두 창자 간의 공통점이 많이 나타나므로 그 계통이 같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바이다.







......................................................................
주요어 : 판소리, 박봉술, 송만갑, 동편제, 춘향가, 고(古)제
학 번 : 2010-21759
A comparative study of between Park, Bong-sul and Song, Man-gab
-Focused on Jajin Sarangga, Ibyŏlga and Sibjangga-

Wang, Seo-eun
Department of Musicology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re had been much more jokes and humorous expressions in Pansori whose performances in full flourish than nowadays and they can be found in the Pansori's novel 『Yŏlnyŏ Ch'unhyang S'ujŏlga』(烈女春香守節歌). The most similar Pansori Ch'unhyangga to it had been sung by Park, Bong-sul and now it is left with only a disc.
And Ch'unhyangga sung by Park, Bong-sul has been noticed to Song, Man-gab je(制, 바디), but it has many different parts from the sound sources of Song, Man-gab's Ch'unhyangga. So it is known to be doubtful whether the origin of it is Song, Man-gab's or not. Also this study attempts to reveal the tradition from Song, Man-gab to Park, Bong-sul by comparing , , sung by Song, Man-gap with these songs by Park, Bong-sul.
To be more specifically, this thesis highlights the relationship between every detail verse and musical technology. In order to classify both of two singers' songs comparatively, the present paper analyses the part of sasŏl (story telling), jangdan (beat), buchimsae (combination of word and rhythm) and sŏn-yul (melod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
It is investigated that sasŏl of the upper three parts by Park, Bong-sul has been almost handed from Song, Man-gab, and Park, Bong-sul changed the sequence of sasŏl based on Song, Man-gab's or reorganized them adding melodies of the other body(바디, 制). Jajin sarangga sung by Song, Man-gab is composed of Mŏkgŏri taryŏng, Buk-hae heuk-ryong sasŏl, Ot-bŏtgigi sasŏl and Keumok sasŏl and Park, Bong-sul's song has all of them in different sequence. Specially Ot-bŏtgigi sasŏl was recorded by the both two singers, whose performance and recording were rearly tough for them those days, and whose sasŏl between Song and Park is very much similar to each other. More than half of story telling of Ibyŏlga sung by Park, Bong-sul is nearly matched with Song, Man-gab's and Mo heung-gab's Kangsanje Ibyŏlga. The latter is not transmitted, so any Pansori singer doesn't sing it today, but Ibyŏlga sung by Park, Bong-sul has exactly handed down the story-telling and melody by Song Man-gab. It is examined that the both of two singers have almost same words and verses repeating of the first rhyme in Sibjangga and sasŏl of beating 15 times is found in 『Yŏlnyŏ Ch'unhyang S'ujŏlga』(烈女春香守節歌) also sung by Park, Bong-sul.
The two singers arranged their rhythms and Buchimsae same way, for example, Jajin sarangga
Jungjungmori, Ibyŏlga
Jungmori, Sibjangga
Semachi jinyangjo. They used Daemadi daejangdan as a leading Buchimsae, partially, Utbuchim, Danggyŏbuchim, and Jusŏbuchim together. Especially Jusŏbuchim is used 2 times many by Park, Bong-sul than Song, Man-gab.
Except that Song man-gab's tone is 5 intervals higher in musical range than Park's, both of two singers' compositions show us quite much resemblances in Jo(調), tune, tempo, vocal tone, and ending melody. And they are very much alike in the melody lines of same story-tellings, too. It is found that Song Man-gab accepted kyemyŏnjo sigimsea positively as it was the popular trend those days and used it much more frequently than Park, Bong-sul. Also he had a powerful vocal from low to high tone so he hardly made specific sigimsea. On the contrary, Park, Bong-sul had a weak throat for high tone, so he needed various vocal tone like a Heesŏng instead of Tongsŏng.
Therefore, between the two types of Ch'un-hyangga sung by Song Man-gab and Park, Bong-sul, it could be recongnized that Jajin sarangga, Ibyŏlga, Sibjangga remain in a direct line because the two singers have a lot of similarities in the view point of Sasŏl, Buchimsae and Melodies.



keywords : Pansori Ch'unhyangga, Go-je 古制, Park, Bong-sul's Ch'unhyangga, Song, Man-gab's Ch'unhyangga, Dongpyŏnje, tradition
Student Number : 2010 – 21759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303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