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스마트폰에서의 브라우징을 통한 정보 찾기 행동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Information Retrieval Behavior of Smartphone Browsing : Focusing on Facebook, E-mail and Photo Application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재홍

Advisor
이중식
Major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융합과학부(디지털정보융합전공)
Issue Date
2014-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스마트폰브라우징정보 찾기 행동페이스북·이메일·사진 앱로그 분석브라우징 궤적정보 랜드마크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 융합과학부(디지털정보융합전공), 2014. 2. 이중식.
Abstract
최근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은 다른 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을 압도하고 있다. 그에 따라 대다수의 정보가 스마트폰에서 다루어지게 되었고, 스마트폰은 정보관리에 있어 단순히 다른 기기를 보조하는 역할에서 탈피해, 주도적인 역할을 맡게 되었다.
한편, 최근의 디지털 환경에서 사람들은 어떤 시대보다 더 빠르게, 대량으로 정보를 생성하고 얻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자연히 스마트폰에서 다루어지는 정보는 폭발적으로 늘어나게 되었고, 원하는 정보를 어떻게 찾을 것인가에 관한 정보 찾기 이슈는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은 PC와 같은 기존의 정보관리 도구와는 다른 인터페이스 및 정보 구조적 특성을 갖고 있어 스마트폰에서의 정보 찾기 행동은 기존의 정보관리 도구에서의 행동과는 상당히 다른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므로 보다 심층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스마트폰에서의 정보 찾기 관련 연구의 경우 소프트 키보드(soft keyboard) 등의 타이핑을 통한 검색(searching) 행동에 한정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터치스크린 기반의 스마트폰의 경우 직관적이고 육화된(embodied) 인터페이스적 특성으로 인해 손가락의 가속(flicking)을 통한 브라우징이 가장 일반적인 사용 방식임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에서의 브라우징을 통한 정보 찾기 행동에 대한 심층적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었다.
앞선 연구들의 아쉬움을 극복하고자 시작된 본 연구는 스마트폰에서의 브라우징을 통한 정보 찾기 행동의 심층적 이해를 연구 목표로 하였다.
스마트폰은 개인화된 정보 기기로서 개인적 정보를 다루는 성격이 크기 때문에 연구에서 다루는 정보의 의미를 개인 정보로 한정하였다. 또한 사전 사용자 인터뷰 및 분석을 수행하여 개인 정보 정의와 정보 속성을 축으로 페이스북, 이메일, 사진 앱을 본 연구의 정보 찾기 대상 대표 앱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결론 도출을 목표로 하였다.
첫 번째는 거시적 부분으로, 사용자들이 각 앱에서 브라우징을 통해 정보들을 찾을 때 행했던 브라우징 궤적(browsing trajectory)들의 전체적 형태 및 패턴의 규명이고, 두 번째는 미시적 부분으로, 사용자들이 정보 찾기 행동시 두드러지게 주목하여 행동의 가이드 역할을 한 정보를 의미하는 정보 랜드마크(information landmark)들에 대한 세부적 형태 및 패턴의 규명이다.
궁극적으로, 거시적 분석과 미시적 분석에서 도출된 핵심사항들을 토대로 종합적 결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사용자의 브라우징 행동을 직접적으로 관찰·측정할 수 있는 과업 실험(task experiment) 중심의 연구 방법을 설계하였다.
실험 설계 과정에서 스마트폰 화면 움직임 추적을 통해 사용자의 브라우징 행동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는 툴을 새롭게 고안, processing 언어를 사용해 제작하였다. 본 로그 수집 툴을 이용함으로써 실험 참여자들의 부담을 최소화하고, 정량적 분석인 로그분석을 정성적 분석인 스크린샷 분석과 자연스럽게 연계할 수 있는 실험 설계를 할 수 있었다.
연구자료는 10명의 실험 참여자들에게 각자 보유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페이스북, 이메일, 사진 앱에서 이전에 보았던 페이스북 포스트, 이메일 메시지, 사진들을 브라우징을 통해 찾게 하는 실험과 후속 설문 조사를 통해 얻었다.
최종적으로 64개 과업의 브라우징 로그 데이터, 599개의 정보 랜드마크 스크린샷, 정보 랜드마크에 대한 상세 설문 자료들이 분석 대상이 되었다.
연구 결과로, 거시적 분석을 통해 각 앱별 브라우징 궤적들의 전체적 형태 및 궤적들의 유형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미시적 분석을 통해 각 앱별 정보 랜드마크들의 형태, 랜드마크들의 출현 빈도 및 그것들에 머문 시간, 랜드마크를 둘러싼 미세 스크롤 패턴에 대한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종합적 결론으로서, 거시적·미시적 분석 결과의 핵심사항들을 토대로 각 앱에서의 브라우징을 통한 정보 찾기 행동에 대한 구체적 전략과 정보 랜드마크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정보 찾기 행동 전략은 페이스북 앱의 경우 지속적 탐색형(Constant Exploring), 이메일 앱의 경우 모험적 전략 추구형(Adventurous Strategy), 사진 앱의 경우 안정적 전략 추구형(Stable Strategy)이다.
또한 도출된 정보 랜드마크의 유형은 페이스북 앱의 경우 소셜 의미 구축(Social Sense making)및 접했던 정보 의미 구축(Experiential information Sense making)이고, 이메일 앱의 경우 상황적 의미 구축(Circumstantial Sense making), 사진 앱의 경우 시각적 의미 구축(Visual Sense making)이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은 인사이트들을 바탕으로 사용자들이 더 쉽고 원활하게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스마트폰 앱 정보구조의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본 연구의 유용성을 뒷받침하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상세히 연구되지 않았던 스마트폰에서의 브라우징을 통한 정보 찾기 행동에 대해 거시적 분석과 미시적 분석을 입체적으로 시행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스마트폰에서 원하는 정보를 어떠한 패턴으로 찾는지 깊게 이해할 수 있는 실증적 결과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이는 더 나은 정보관리 도구로서 스마트폰이 나가야 할 길의 초석이 될 것이라 믿는다.
또한 연구 방법에 있어 기존의 내부 API를 이용한 방법이 아닌 스마트폰 화면 움직임 추적을 통한 로그 수집이라는 외부 아웃풋(스크린)을 이용한 새로운 로그 수집 툴을 개발하였다. 이는 정성적 분석에 이용되는 외부 아웃풋(스크린)을 정량적 분석에 이용되는 로그 데이터로 변환 시킴으로써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을 자연스럽게 융합시킨 새로운 사용자 조사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과 복잡한 API를 통한 로그 분석을 할 여력이 안되는 연구자나 기업들에게 큰 효용을 줄 수 있는 로그 수집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 방법론적 의미를 갖는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325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