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우리나라 연안해운 물류체계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 : Spatial Network Analysis of Coastal Shippng Logistics System in South Kor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서홍용

Advisor
손정렬
Major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Issue Date
2013-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연안해운물류시멘트다이애딕 요인분석네트워크분석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지리학과, 2013. 2. 손정렬.
Abstract
교통지리학에서 항만과 해운연구는 관문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주로 외국과의 물류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았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삼면이 바다라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해운 물동량의 약 20% 정도는 국내항만간의 물동량이라는 특성이 있다. 이를 연안해운이라고 지칭하는데, 이 연안해운은 최근 온실가스 문제의 대안으로 주목받기에 정책적 ‧ 경제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였으나, 공간적인 물류가 어떻게 되는지는 파악하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이 연구에서는 연안해운의 물동량자료를 토대로 연안해운의 공간적인 특징과, 시멘트라는 특정 물품의 물동량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화물 운송에서 연안해운이 차지하는 위상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물동량 자료를 이용한 계량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내용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연안해운의 공간구조에 대해 다이애딕 요인 분석과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이애딕 요인분석 결과, 유류, 시멘트, 철강제품과 같은 산업에 필수적인 물품이면서 대량운송을 요구하는 일부 물품품목이 요인으로 도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실제로 이러한 물품이 과거에 정책물자라는 이름으로 국가적으로 보호를 받았던 물품이었다는 것에서도 나타난다. 한편 항만의 중심성을 파악하기 위한 네트워크 분석의 경우, 반입중심성의 경우 인천항, 반출중심성의 경우 무역항이 아닌 기타항만이 큰 비중을 차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모래의 물동량이 많아서 발생한 현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안해운 가운데 물동량에서 비중이 큰 시멘트, 모래, 철강, 석유류 제품의 품목별로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중심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대체로 각 항만의 배후 산업단지에서 발달된 산업이 중심성이 높게 나타나는 형태로 발생하였다.
셋째, 교통수단별 비교를 위해 우리나라의 시멘트 1차운송의 주요 운송수단인 연안해운과 철도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운송수단에 따라 네트워크가 분리되어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즉 연안해운은 일부 지역에 집중적으로 대량의 물동량을 운송하는 양상으로, 철도는 상대적으로 소량을 국내의 여러 지역으로 운반하는 방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교통수단별 운송량의 차이는 해운을 실시하는 회사가 타 회사에 비하여 시멘트업계에서 우위를 점한 업체라는 점에서도 나타난다.
이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우선 교통지리학에서 재조명 받는 분야인 항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국내 물류 체계에서도 크게 주목 받지 못한 연안해운의 공간적 흐름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특정 물품을 대상으로 연안해운을 다른 교통수단과 비교를 하여 그 목적지의 수에서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그러나 거리를 변수로 감안하지 않아서 거리조락 효과를 파악하지 못한 점, 시멘트의 물류가운데 소비지로의 물류인 2차운송에 대한 고려는 미흡한 점, 자료의 한계로 인하여 특정 시점으로만 분석이 제한된 점은 연구의 한계로 남는다.
In transport geography, port and shipping researches usually focus on the international trades for the ports specially performed as a gateway. However, South Korea which geographically situate in peninsular, approximately 20% of shipping logistics are domestic cargo, which calls coastal shipping. Lately, that shipping consider as an alternative to the problem of greenhouse gas emission problem. Hence, coastal shipping reserch mainly focus on the base of policy and economical effects. But It doesnt figure spatial logistics. Therefore, the aim of this reserch is to prove the features of coastal shipping and position of coastal shipping in South Korea freight logistics, which especially focus on cement.
This study apply a quantitative approach with logistics data. The research an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sing Dyadic Factor 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in South Korea coastal shipping spatial structure. In Dyadic Factor Analysis result draws as a derived factor which essential industry goods as petroleum, cement, steel. That result explain by prior policy that legally protected policy goods. The other hand, network analysis identify port centrality. It is the best score in Incheon port that In-Power Centrality, and other ports which sum of coastal ports and from North Korea ports in Out-Power Centrality. This results is caused by large cargo of sand shipping transport.
Second, Using a social network analysis in cement, sand, steel, petroleum products to draw centrality of each items. The results in the form of higher centrality are largely influenced by each harbors industrial complex.
Third, Comparing coastal shipping with rail logistics. In this case, it uses only South Korea cement primary logistics data. The result is network separation can be seen depending on the mode of transport. Costal shipping transport large amounts of cargo in certain areas. While rail transport small amounts in large area in South Korea. Also, three company which carry out the costal shipping show up as a leader in Korea cement market.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as follows: First, this paper focuses on ports which reemerging field in transport geography. Second, This paper analyse the spatial flow of coastal shipping which is unnoticed in the domestic logistics system. Furthermore, comparing with other modes of transport in certain goods, cement. it prove different in the number of destination. But this research has many limits. First, As it doesnt take into account distance variables, it cant identify the distance decay effect. Second, this research doesn't consider the whole South Korea cement logistics that only analyse primary cement logistics. Third, for the limitations of the data, this paper analyse selected time period of 2009.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404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