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3.1운동의 성격과 의의 재고찰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지훈

Advisor
최정운
Major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외교학전공)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3.1운동민족민족주의담론패권동학과 천도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정치외교학부(외교학전공), 2013. 8. 최정운.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에서 민족에 대한 담론(national discourse)이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어떠한 방식으로 재생산을 이뤄왔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일제 식민지하 최대의 항일 민족 항쟁으로 각인되어 있는 3.1운동을 그 검토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일반적으로 3.1운동은 사회 각계·각층이 두루 참가하여 민족의 자유와 독립을 외쳤으며, 이를 통해 조선 사람들이 자신을 하나의 민족으로 인식하게 되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하지만 무엇이, 어떻게 그런 인식을 일깨웠는가에 대해서는 체계적으로 논의되어 오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은 사람들이 3.1운동 현장에서 무엇을 했으며 무엇을 체험했는지를 알아보며 이를 통해 우리 민족이라는 민족 담론은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어떠한 방식으로 재생산을 이뤄냈는지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조선 사회는 경제적인 어려움과 더불어 사회적 붕괴와 내부적 갈등이 내재해 있었다. 일제강점기라는 조선인과 일본인의 명확한 대립 구도는 당시 조선인들에게는 받아들여질 수 없었다. 척왜양창의를 내세웠던 동학 역시 친일을 시도하는 등 자신의 생존을 위해 자절(自切, autotomy)과 재생(再生)의 과정을 통해 변신(變身, metamorphosis)을 거듭하며 살아남았지만, 자신의 목적을 상실한 채 실제로 나는 누구인가를 계속해서 되물을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일진회의 노골적인 친일 활동과 한일합방성명 발표는 친일을 하던 사람들조차 자신의 과오를 깨닫게 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지식인층 및 사회 지도세력들은 자신의 조상과 문화를, 천도교는 자신의 전신(前身)인 동학을 회고(回顧)하며 정체성(identity)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적(敵)에 대한 규정과 아(我)를 되찾으려는 시도가 이뤄지며 지식인층에서 제시한 아는 바로 민족이었다. 그리고 이렇게 지식인층에 의해 제시된 민족 개념은 정치 세력들이 독립운동을 추진하면서 자신을 정의하는 정체성이자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이자 행동의 의미를 규정하는 하나의 담론이 되었다. 하지만 이는 당시 존재했던 많은 담론들 중 하나일 뿐이었다.
선언문과 신문을 통해 제시된 민족이란 개념은 민중이 정확하게 이해하기 힘든 것이었다. 실제로 사람들은 만세운동에 나서며 흰옷 물결의 가시적인 민족적 동질성을 확인하고, 만세운동을 하면서 주변 사람들이 외치는 구호와 행동에 노출되고, 만세운동 현장에서 자신과 같은 색의 옷을 입은 주변 이들에게 가해지던 일제의 폭력을 목격하며 민족을 체험했다. 본 논문은 이를 통해 사람들은 민족 담론
을 재생산하였고, 민족 담론은 하나의 일상적인 담론이 되었음을 주장하였다. 당시 상이한 정체성 논의와 담론이 존재했었지만 3.1운동이라는 사건을 통해 민족 담론이 대두되었고, 이는 일정 순간 패권(hegemony)적 지위를 차지했다는 것이다.
하나의 담론이 영원히 지속되는 지배 구조를 가져올 수는 없기 때문에, 민족 담론은 3.1운동이라는 하나의 사회정치적인 순간이 지나자 패권적 지위에서 내려와 다시 여러 담론들과 경쟁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본 논문은 우리는 하나다를 외치면서도 갈등과 대립을 반복하는 우리의 혼성(hybrid)적인 면을 이해하는 데에 일말의 단초를 제공하며 우리 민족의 의미가 좀 더 다른 차원에서 논의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how the national discourse was constructed and reproduced. For that purpose,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March First Movement, which has been remembered as the widest-scale act of resistance to Japanese colonial rule. In general, this uprising has been regarded to ignite a nationwide movement, in which many people took part, regardless of locality and social status, and to give rise to a sense of national identity among people. Although understanding what provoked such national consciousness and how it could happen is essential, it has attracted less interest in previous studies. This dissertations aims are twofold: (1) to answer what question, that is to know what Korean people did and experienced while participating in the movement, and (2) how the national discourse was constructed and reproduced.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the Korean society was experiencing not only economic difficulties, but internal conflict and social collapse. The apparent conflict between Japanese and Korea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as not that clear to people at that time. In confusion, Donghak, which had flagged up Expel Westerners and Japanese, sought political relationship with Japan for the sake of its survival. It eventually survived through autotomy and regeneration, and metamorphose itself. However, it lost its original purpose and was left only with the question who
am I now?
Vicious acts of pro-Japanese collaborator, called Ilchinhoe, and proclamation of Japans annex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made Korean people identify who was their common enemy. Only after that, they could identify themselves as nation while scanning the page of history: intellectuals and leaders looked back on their ancestors and traditional culture, and Cheondogyo did on its predecessor, Donghak. And while they promoted independence movement, National discourse, which functioned as a frame of reference, was constructed.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national discourse was only one of many competing discourses.
The concept of nation, which was presented through independence declaration statements and newspaper, was meaningful only for intellectuals and leaders. Most people learnt it through experience: (1) seeing the white clothes wave out in the movement, (2) hearing other participants shouting and slogan, and (3) witnessing violence inflicted on the people with wearing the same color clothes. This dissertation argues that as a result, people reproduced the national discourse and at a given moment it became self-evident, universal, and necessary. Other discourses and alternative discussions about identity were also present at that time. However, through the March First Movement, the national discourse strengthens its hegemony, reproduced itself, and became implicated in our everyday experience.
A discourse is an ongoing process and not a fixed system or structure. The national discourse is not an exception. After socio-political moment of the March First Movement was gone, it stepped down from the hegemonic status and then continually resisted, altered, or challenged by other competing discourses. This discussion offers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hybrid characters of the Korean society and to give an alternative perspective on the meaning of the natio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417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