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ppreciative Leadership: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ory-driven Appreciative Leadership Scale : A 리더십: 이론에 기반한 A 리더십 척도 개발 및 초기 타당화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문혜진

Advisor
김명언
Major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Appreciative Leadershipscale developmentconvergent validiypredictive validityauthentic leadershipPANASteam cohesiveness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심리학과, 2012. 8. 김명언.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10 년 Whitney 와 동료들이 제안한 A
리더십(Appreciative leadership)의 이론을 바탕으로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기 위함이다. 이론에서 소개하고 있는 A 리더십의 다섯 가지 구성요소인 질문하기 inquiry, 조명하기 illumination,
포용하기 inclusion, 영감 불어넣기 inspiration, 그리고 본보기 되기 integrity 를 바탕으로 문항을 개발하였고, 5 요인 구조를 통계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더 나아가 A 리더십의 수렴, 변별, 예측 타당도를 규명하기 위하여 주요 결과 변수들에 대한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척도 개발 과정을 다루고 있는 연구 1 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 1-1 은 문항들을 개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1-1 에서는 Whitney 등(2010)의 저서인 Appreciative leadership: Focus on what works to drive winning performance and building a thriving organization 에 소개된 A 리더십의 5 가지 구성요소에 대한 조작적 정의와 실천 행동들을 바탕으로 연역적 방식을 사용하여 56개의 문항을 일차적으로 개발하였다. 그 후 귀납적 접근 방식인 18명의 인터뷰 자료 분석과 안면 타당도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47개 문항을 개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직장인 188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1-2 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문항 수를 줄이고 A 리더십의 잠재적 요인 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이론에서의 5 요인 모형은 기각되었고, 높은 연관성을 지닌 요인들이 결합되어 참여독려 및 질문하기 inclusive inquiry, 고무적 조명하기 inspiring illumination, 본보기 되기 integrity 와 같이 총 3 개 요인으로 구성된 18 개 문항이 최종 도출되었다.
연구 2 에서는 앞서 도출한 18 개의 문항을 바탕으로 A 리더십 척도를 타당화 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유사한 리더십 개념인 서번트 리더십 Servant leadership 과 오센틱 리더십 Authentic leadership 과의 실증적 비교를 실시하였다. 가용한 162명의 케이스를 대상으로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A 리더십과 각 리더십 개념 간에는 정적 상관이 존재하였기에 수렴 타당도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이에 더해, 개념적으로 보다 유의한 차이를 지닌 오센틱 리더십과의 점진적 예측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A 리더십은 오센틱 리더십을 통제한 후에도 긍정 정서(리더의 표현 정서와 구성원의 표현 정서)와 팀 수준 변수들인 조직시민행동, 팀 효능감, 팀 응집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예측함을 확인했다.
추가 분석에서는 연구 2 에서 A 리더십이 유의하게 예측한 몇 가지 결과 변수들에 대해 A 리더십의 요인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탐색하여 A 리더십 이론의 설명력을 추가적으로 입증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A 리더십은 서번트 리더십과 오센틱 리더십과 같은 기존 긍정 리더십 개념과 강한 상관관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조직관련 결과 변수들에 상이한 영향력을 행사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로써 A 리더십이 타 리더십들과 구별되는 메커니즘을 가지며, 특히 팀 관리와 정서 조절에서 보다 효과적인 리더십 효과성을 발휘함을 확인하였다.
The alleviated hierarchical nature of todays organizations has shifted research emphasis from the role-based leadership to the leader ability to take coordinated collective action(Collins & Porras, 1994
Pfeffer, 1997). Facing unprecedented changes in organizational context and amplified uncertainty, leaders are enquired to help interpret an ambiguous social reality, facilitating sense-making of a situation one is confronting in order to mobilize subordinate behaviors and to provide reassurance(Pfeffer, 1981). Above changes spontaneously highlighted the power of language use of leaders based on the idea that the way people talk about the world has everything to do with the way the world is ultimately understood and acted in(Eccles & Nohria, 1992, p. 29). In this vein, a new leadership theory, Appreciative Leadership has been developed by Whitney, Trosten-Bloom, and Rader(2010).
The current study aims for establishing an academic foothold for appreciative leadership which has been well acknowledged for its potential power through globally accumulated cases, willingly shared by organizational development practitioners. On top
of the requests from the new working generation and actual changes observed in leaders today, an attractive theory with its ground on philosophy and behavioral principles became the major guideline in the development of the current, preliminary assessment
tool of appreciative leadership. Deductively, a scale was developed to measure five potential dimensions of appreciative leadership initially suggested in the conceptual theory: inquiry, illumination, inclusion, inspiration, and integrity. Data collected from 181 raters in the Korean business setting were used to factor analyze and further to test construct and predictive validity, and its discriminant validity in relation to authentic leadership which possesses theoretical differences while both theories stem their roots on positive psychology.
Bot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revealed and confirmed 18 items reflecting three final dimensions with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explainable merges within several latent factors: namely, inclusive inquiry, inspiring illumination,
and integrity. Comparison with authentic leadership, as expected, portrayed a high correlation yet showed a distinguished size of effect on numerous organization-related variables, revealing the fact that significantly different mechanisms underlie the two
similar leadership theories. In addition to the main findings, I conducted additional analyses to test relational predictive power of the newly refined dimensions of appreciative leadership on selected outcome variables for more specific speculations.
Lastly, academic implications, managerial applications,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are thoroughly discussed.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3433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