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가족구조와 여성의 노동공급: 부모동거의 효과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승훈

Advisor
김대일
Major
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여성노동부모동거부모와의 관계부모의 성별내생성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경제학부(경제학전공), 2013. 8. 김대일.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1차년도부터 11차년도까지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동거하는 조부모의 성별, 그리고 조부모와 여성간의 관계와 기혼여성 노동공급 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또한 부모와의 동거에 내생성이 있을 가능성을 추가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특히 자녀의 연령대에 따라서 부모의 동거가 기혼여성의 노동시장참여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미취학 아동이 있는 경우 부모의 동거가 기혼여성의 노동시장참여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부모와 친정부모로 동거하는 부모를 분류했을 경우, 시부모와의 동거는 미취학 아동이 있는 경우에 기혼여성의 노동시장참여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만 18세 이하 자녀가 없는 경우에는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부모를 성별로 분류했을 경우, 시어머니나 친정어머니와 동거하는 경우에는 미취학 아동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중고등학생 자녀가 있는 경우에도 기혼여성의 노동시장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반대로 중고등학생 자녀가 있고 시아버지나 친정아버지와 동거하는 경우는 기혼여성의 노동시장참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노인부부와 동거하는 경우에는 미취학 아동이 있는 경우에 기혼여성의 노동시장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부모와의 동거가 기혼여성의 노동시장참여에 유의미하게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남편의 나이 많은 형제숫자를 도구변수로 사용해서 내생성을 검증한 결과, 대부분의 경우 부모와의 동거가 기혼여성의 노동시장참여에 유의미한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여성이 노동시장에 참여하거나 참여하지 않기 때문에 부모와의 동거여부가 결정되는 경향이 더 강하거나, 혹은 관측되지 않은 미지의 변수로 부모동거와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여부가 동시에 영향을 받는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paper analyzed the causal effect of family structure, especially inter-generational family structure, on the married women's labor participation age 20 to 40 by utilizing the 1th to 11th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Logistic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cohabitation with parents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the married women's labor participation only when there are children age 0 to 6 years. Logistic regression results also show that cohabitation with parents-in-law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the married women's labor participation only when there are children age 0 to 6 yearsin the household, and a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 on the married women's labor participation if there is no children under age 18in the household. Cohabitation with parents whose sex are female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the married women's labor participation when there are children age 0 to 6 years, and children age 13 to 18 years in the household in logistic regression. But cohabitation with parents whose sex are male has a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 on the married women's labor participation when there are children age 13 to 18 years in the household. Cohabitation with parents couple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the married women's labor participation when there are children age 0 to 6 years. But instrumental variable (IV) estimation by using the birth order related information of husbands results show that all positive effect on the married women's labor participation of cohabitation with parents turn out in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 on the married women's labor participation of cohabitation with parents remain inconclusive. This results imply that the seemingly obvious effect on the married women's labor participation of cohabitation with parents may not be due to housework benefits provided by parents, but may due to unobservable attributes or variables of household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459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