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ffect of Different Practical Methods on the Quality and Drying Rate of Rye (Secale cereale L.) Hay : 제조방법이 호밀 ( Secale cereale .)L 건초의 품질 및 건조율에 미치는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우위

Advisor
김종근
Major
국제농업기술대학원 국제농업기술학과
Issue Date
2017-08
Publisher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Keywords
tedding frequencytedding timechemical conditioningcutting heightdrying rate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국제농업기술학과, 2017. 8. 김종근.
Abstract
Due to seasonal growth of grass and unfavorable weather, is necessary to preserve the forage for continuous supply. Hay making is one of the popular methods to feed livestock. Choosing an optimum management to improve quality of hay would be valuable to hay producer. Rye (Secale cereale L.) hay samples were collected after harvesting in heading stage from experiment field in Pyeongchang Campu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to investigate the drying rate and quality in relation to chemical conditioning, tedding time, tedding frequency and cutting height. Chemical conditioning, K2CO3 could speed up drying rate, increase IVDMD (p<0.05), decrease DM loss (p<0.05), and contain less fungi during conservation (p<0.05). While Na2CO3 showed ineffective on neither drying rate nor quality compared with no chemical conditioning (p>0.05). Tedding is necessary for both speeding up drying rate and improving forage quality. Tedding at 17:00 showed lower in NDF content (p<0.05), and had higher level of RFV compared with tedding at 9:00 and 13:00 (p<0.05). On the other hand, it was observed that more DM will be lost when tedding latter (p<0.05). Tedding in 1~3 times per day were lower in ADF and NDF content (p<0.05), increased CP, TDN and RFV (p<0.05), got less DM loss (p<0.05), and contained less fungi during conservation compared with no tedding (p<0.05). On the other hand, tedding too frequent caused more DM loss (p<0.05). Cutting in longer height (15cm) of rye could speed up the drying rate, and showed higher in CP content (p<0.05). But cutting in 15cm or 8cm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ADF, NDF, IVDMD, TDN and RFV (p>0.05). This experiment recommends pretreating with K2CO3 before harvesting, then cutting in 8cm at heading stage. During drying process tedding at 13:00 ~ 17:00 for 1 ~ 2 times per day is the most optimum method to speed up drying process and get higher quality hay.
계절적인 작물의 생장 편차 및 불안정한 날씨 때문에 조사료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해서는 저장을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 중 건초는 가축 급여에 있어 널리 알려진 방법 중 하나이다. 건초 생산자는 건초의 품질 향상을 위해 최선의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시험은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 실험 포장에서 채취한 호밀 시료를 바탕으로 건조제 처리, 반전 시기, 반전 횟수 및 예취 높이가 호밀 건초의 건조율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건조제는 K2CO3를 시용했을 때 무처리 건초에 비해 건조 속도가 빨랐으며, IVDMD는 증가하였고(p<0.05), DM 손실은 줄어들었다(p<0.05). 또한, 보관 중 곰팡이의 발생이 줄어들었다(p<0.05). 반면, Na2CO3는 건조제를 처리하지 않은 건초와 비교하여 건조율이나 건초의 품질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오후 17:00에 반전한 건초의 NDF 함량은 낮았으며(p<0.05), 09:00, 13:00 반전 건초에 비해 높은 RFV 수치를 보였다(p<0.05). 반면, 후반에 반전시킨 건초에서는 DM 손실이 더 많아짐을 알 수 있었다(p<0.05). 하루에 1~3회 반전시킨 건초의 경우 ADF와 NDF 함량은 낮았으며(p<0.05), CP, TDN, RFV 수치는 증가하였고(p<0.05), DM 손실률은 줄어들었다(p<0.05). 또한, 반전하지 않은 건초에 비해 곰팡이 발생도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p<0.05). 이에 비해 반전을 자주 시킨 건초의 경우 DM 손실률을 높이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p<0.05). 15cm이상 높게 자른 호밀의 경우 건조의 진행속도가 빨랐으며, CP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15cm와 8cm 높이로 수확된 호밀은 ADF, NDF, IVDMD, TDN 및 RFV 함량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호밀 수확 전 건조제 K2CO3 처리를 한 후, 지면으로부터 8cm 높이로 자르는 것을 추천한다. 또한, 13:00~17:00사이에 하루 1~2회 반전을 하는 것이 빠른 건조와 좋은 품질의 호밀 건초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임을 알 수 있다.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3747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