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동양철학적 관점을 활용한 지속가능성 디자인 작품 연구 : The Sustainable Product Design Using Oriental Philosoph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영목-
dc.contributor.author김화-
dc.date.accessioned2017-10-31T07:55:23Z-
dc.date.available2017-10-31T07:55:23Z-
dc.date.issued2017-08-
dc.identifier.other00000014523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7626-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2017. 8. 박영목.-
dc.description.abstract지속가능한 디자인은 제품수명주기의 사회적, 윤리적 측면을 환경적, 경제적 요인과 함께 고려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환경문제의 대두로 지속가능 디자인을 포함한 친환경 개념의 제품들이 한 때에는 그린 라이프 스타일(Green Life Style)을 대표하는 트렌디한 아이콘을 상징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지속가능한 제품은 사람들의 보편적이고 광범위한 애용을 받지 못하고 있다. 수많은 지속가능한 제품들은 소비자의 지속적인 사용보다도 지속가능의 개념 자체에만 집착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 중요한 원인이다.
본 논문은 기존의 지속가능 제품디자인의 한계점을 제시하고 그 한계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동양철학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연구이다.
기존의 지속가능한 제품디자인은 주로 제품수명주기의 원재료, 제조, 유통, 사용과 폐기의 다섯 단계에서의 환경적, 경제적 요인을 주요대상으로 삼고 있다. 사례분석의 방법으로 기존의 지속가능한 제품디자인의 제한성을 분석했다. 기존의 지속가능한 제품디자인은 제품 생애의 시작과 끝 각 단계의 자연 친화성에만 치중하고 통일적이고 완만한 지속가능성이 결핍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극도로 세분화되고 제품생산주기의 단계마다의 환경성에만 치중하여 해결책을 찾고 있어 기본적인 심미성과 사용성을 잃은 지속가능 디자인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디자인의 네 가지 속성(원칙)을 규정하였다.
1. 지나치게 특화되지 않고 시대의 트렌드(Trend)를 쫓지 않는다.
2. 원재료와 폐기의 환경친화성은 필수적이다.
3. 하나의 제품에 다양한 사용 가능성을 부여하여 제품수량을 줄인다.
4. The Stick, The Surface, The Solid - 을 제시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는다.
본 연구자는 통일적이고 완만한 지속가능성 디자인을 공생(共生)과 화합(和合)을 강조하는 동양철학의 관점을 활용하여 작품 연구를 진행하였다. 작품연구의 첫 단계-Concept Design 발산 과정에서는 동양철학적 관점에서 내포된 지속가능 개념을 활용하였다. 그중 Concept1, 2의 작품은 융합-통일의 방법과 동양 전통지혜의 활성화의 방법으로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Concept1의 One Cup 디자인은 기특한 구조방식으로 하나의 컵으로 다양한 사용경험을 연출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사용자와 제품의 인터랙션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컵 사용상의 다양한 경험을 창조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추가 부품이 필요가 되어 제품 수량을 줄임에는 효과가 미미하다. Concept2의 칠교판가구 디자인은 전통의 칠교판 퍼즐을 모던가구 디자인에 응용하였다. 칠교판의 천변만화의 구조방식은 다양한 사용가능성이 잠재되어 있으나 칠교판 조형의 특화함과 퍼즐 맞춤식의 조립방식의 불편함이 문제가 되고 있다. Concept1, 2 작품은 기존 지속가능 디자인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효과가 미미하다.
Concept3-The Sustainable Life Kit 은 '무위(無爲)', '무명(無名)'의 자연요소를 선, 면, 입체 기본요소로 도출되어 기본 요소의 다양한 구성으로 일상생활의 기본 기능을 만족한다. 작품제작을 통하여 Concept1, 2, 3의 제품 세분화 정도를 비교해보면, Concept3 디자인이 특화된 세분화 디자인과 대비되는 Core Design에 가장 접근되어 있고 상기 제출한 네 가지 기본속성에 가장 잘 충실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동양철학적 관점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디자인은 온전하고 완만한 지속가능성을 실현하는데 의의가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1.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2. 지속가능 제품디자인의 현황 5
2.1 지속가능 디자인의 개념고찰 6
2.2 지속가능 디자인 방법 8
2.3 지속가능 제품디자인 사례연구 11
2.4 지속가능 제품디자인의 한계 17

3. 지속가능 제품디자인 한계의 극복방안 고찰 19
3.1 대량생산 배경하의 디자인 세분화 20
3.2 동양철학의 관점으로 접근한 지속가능 개념 23
3.2.1 물극필반 23
3.2.2 전통지혜 25
3.2.3 무위자연 26

4. 작품연구단계1-Concept Design 29
4.1 Concept1: 물극필반-One Cup-융합통일의 방법 30
4.2 Concept2: 전통지혜-칠교판 가구 35
4.3 Concept3: 무위자연-The Sustainable Life Kit 41
4.4 Concept Design의 비교 평가 46

5. 작품연구단계2-The Sustainable Life Kit 작품심화 49
5.1 Core Design의 기본요소와 구성방법 도출 49
5.2 The Sustainable Life Kit 의 구체적 심화 52
5.3 The Sustainable Life Kit 의 사용가이드북 61
5.3.1 Line, Surface, Solid-Singly used scenes 62
5.3.2 Line+Surface+Solid-Assembly used scenes 64

6. 결 론 73

참고문헌 76
제작환경 78
Abstract 79
표 목 차
[표 1] `지속가능성' 이론체계의 네 측면 5
[표 2] 환경 친화적 디자인 개념의 구분 및 특징 6
[표 3] 지속 가능한 디자인 및 시스템 디자인 사고의 개념 8
[표 4] 제품수명주기의 단계에 따라 20가지의 디자인 목표 9
[표 5] 지속가능 제품 디자인 사례연구 12
[표 6] 지속가능 제품 디자인의 심미성과 기능성 평가 14

그 림 목 차
[그림 1] 지속가능 제품 3속성의 의미 7
[그림 2] 부분 사례의 추가적 설명 12
[그림 3] 지속가능 제품디자인의 분류특징 15
[그림 4] 기존 지속가능성과 통일적인 지속가능성 비교 17
[그림 5] 세분화된 유럽의 식기 22
[그림 6] 와인의 종류에 따라 세분화된 와인 잔 22
[그림 7] 동양의 전통적 식기와 수저세트 22
[그림 8] BUFF의 다양한 사용법 제시 24
[그림 9] 중국 전통 퍼즐게임 노반 자물쇄, 칠교판, 구련환, 화용도 25
[그림 10] 돌의 속성을 그대로 활용한 디자인 27
[그림 11] 옛날 사람들이 볏짚 활용 27
[그림 12] 기존의 특화된 디자인에서 코어(Core)디자인으로 28
[그림 13] One Cup Design 아이디어 스케치 30
[그림 14] 와인컵의 윤곽라인(좌) v.s 찻잔의 윤곽라인(우) 31
[그림 15] One Cup 기본구성 31
[그림 16] One Cup No.1 32
[그림 17] One Cup No.2 32
[그림 18] One Cup No.1의 사용1 33
[그림 19] One Cup No.1의 사용2 33
[그림 20] One Cup No.2의 사용 34
[그림 21] 연기도(燕几图)의 조립 설명도 35
[그림 22] 접시궤(蝶翅几)의 조립설명도 36
[그림 23] 1813년 벽오거사(碧梧居士)가 쓴 36
[그림 24] 명나라의 접시궤(蝶翅几)로부터 발전한 칠교판 가구 37
[그림 25] 아이디어 스케치와 프로토타입으로 기능 탐구 37
[그림 26] 칠교판 테이블과 방석 조합 38
[그림 27] 부품 개체 분리사용 38
[그림 28] 사이즈, 형태 다양하게 조립된 테이블로 사용 39
[그림 29] 방향을 바꾼 조합방식 40
[그림 30] 칠교판 가구의 다양한 조합방식 40
[그림 31] 소박한 원재료를 선, 면, 체 기본요소로 전환 41
[그림 32] 기존 면의 사용방법 아이디어 스케치 43
[그림 33] 기존 체의 사용방법 아이디어 스케치 43
[그림 34] 기존 선의 사용방법 아이디어 스케치 43
[그림 35] Concept3 기본구성 44
[그림 36] Concept3 사용방법 탐구1 44
[그림 37] Concept3 사용방법 탐구2 45
[그림 38] Concept1, 2, 3 약도 46
[그림 39] 제품 세분화 맵과 Concept1, 2, 3 의 세분화 위치 46
[그림 40] core design의 기본 요소 도출 49
[그림 41] 선, 면, 입체 기본 요소의 재질, 사이즈 속성 다양화 50
[그림 42] 스틱의 직접적 기능과 간접적 기능 예시 51
[그림 43] The Sustainable Life Kit-Model Zero의 기본구성 52
[그림 44] Model Zero-멀티 스틱 제도 53
[그림 45] Model Zero-하드 면+스틱 부품 제도 53
[그림 46] Model Zero-입체(입방체, 기둥체, 구체) 제도 54
[그림 47] The Sustainable Life Kit-Model Zero Mock-Up 조립 사진 55
[그림 48] The Sustainable Life Kit-Model Zero Mock-Up 부품 사진 55
[그림 49] 선, 면-기본구성인 스틱과 테이블 면 사용방법 제시 56
[그림 50] 체-기본구성인 입방체, 기둥체, 구체의 사용방법 제시 56
[그림 51] 앉기+걸이 기능 구성 사례 57
[그림 52] 의자에 포근함을 추가한 사례 57
[그림 53] 낮은 테이블의 구성 사례 58
[그림 54] 높은 테이블의 구성 사례 58
[그림 55] 옷걸이(세로) 구성 사례 59
[그림 56] 옷걸이(가로) 구성 사례 59
[그림 57] 옷걸이(가로+세로) 구성 사례 59
[그림 58] 스크린 사례 59
[그림 59] The Sustainable Life Kit 가이드북 61
[그림 60] Line 사용가이드 62
[그림 61] Surface 사용가이드 63
[그림 62] Solid 사용가이드 63
[그림 63] Line+Surface 사용가이드 64
[그림 64] Line+Solid 사용가이드 65
[그림 65] Surface+Solid 사용가이드 66
[그림 66] Line+Surface+Solid 사용가이드1 67
[그림 67] Line+Surface+Solid 사용가이드2 68
[그림 68] Line+Surface+Solid 사용가이드3 69
[그림 69] Line+Surface+Solid 구성요소와 사용가이드북 70
[그림 70] 전시 렌더링 이미지 71
[그림 71] 전시 사진 71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513965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지속가능한 디자인-
dc.subject동양철학-
dc.subject노자-
dc.subject무위자연-
dc.subject라이프 킷-
dc.subject.ddc745.2-
dc.title동양철학적 관점을 활용한 지속가능성 디자인 작품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Sustainable Product Design Using Oriental Philosophy-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in Hua-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미술대학 디자인학부-
dc.date.awarded2017-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