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전래동화 일러스트레이션을 활용한 문양 디자인 : Pattern Design Using Illustrations for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홍성은

Advisor
김수정
Major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Issue Date
2017-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국 전래동화일러스트레이션문양 디자인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2017. 8. 김수정.
Abstract
본 연구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우리의 옛이야기를 재조명하고 독자적인 문화자원을 개발 및 공유하기 위하여 한국 전래동화 일러스트레이션을 활용해 문양을 디자인하였다. 옛이야기에 현대감성을 더하는 것은 우리 고유의 정체성을 찾아 나아가는 과정이고 문화적 유산을 창출하는 요소다. 문학, 교육 분야 등 전반에 걸쳐 전래동화가 당대의 민족성과 역사문화적 배경을 이해하는데 영향을 준다는 것은 이미 많은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그러나 이러한 가치를 브랜드로 현실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문화 소비가 늘어나고 수출 활로가 뚫렸지만 한류 열기를 지필만큼 문학과 디자인이 조화를 이룬 콘텐츠가 적극 개발되지 못했고 전래동화에 대한 낮은 관심과 인식의 부재 등은 부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국 전래동화 우수성을 시각 언어로 표현해 알리고자 하였다. 나아가 문화상품으로서의 가능성과 가치를 환기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앞서 제기한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다음의 세 가지 과정을 거쳤다. 첫째, 한국 전래동화집의 의미에 대해 되짚어 보았다. 프랑스의 페로동화, 독일의 그림동화에 견줄 만한 우리 동화집이 있다는 점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일제강점기에 우리나라 동화집이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오늘날까지 회고되는 3대 전래동화집이 있다. 그 중 박영만이 쓴 『조선전래동화집』은 우리 민족 특유의 개성과 원형이 살아있는 작품으로, 한국동화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둘째, 본 연구자는 박영만의 『조선전래동화집』에 수록된 75편의 동화 중 희귀성 작품으로서의 표현요소 등에 근거하여 와 을 작품에 적용하였고, 표현기법으로는 일러스트레이션을 활용하였다. 전래동화 및 일러스트레이션과 관련한 선행연구에서 전래동화가 어린이의 전유물이라는 인식이 강한 장르인 만큼 유아용 중심의 결과물이 주를 이룬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특정 세대를 넘어서 누구나 선호할 수 있고 공유 가능한 디자인을 만들어 내는 데 중점을 두었다.

셋째, 완성된 일러스트레이션을 문양 디자인에 반영하였다. 문양은 인간만이 지닌 의미 있는 상징적인 사고의 표현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역시 문양을 중심축으로 활용하였다. 의 경우 반복성을 띠는 이야기 구조를 고려해 2개의 문양을 패턴화하였고 각각 다른 색을 입혀 총 4개의 디자인을 완성하였다. 에서는 손바닥 위에서 춤추는 난쟁이와 호랑이가 마주한 장면을 문양으로 표현하였다. 8명의 난쟁이는 손바닥과 호랑이들 사이사이에 넣어 찾아보는 재미를 곳곳에 배치하였다. 총 2개의 문양을 만든 뒤 다른 색상을 사용해 총 4개의 문양으로 마무리하였고 이렇게 정리된 문양을 가지고 제품 패키지, 스카프에 최종 적용해 보았다.

진행한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기존의 전래동화 디자인 연구들이 주로 아동 위주였다는 점을 고려할 때 대상을 넓힌 전래동화 디자인을 개발했다는 점, 희소가치가 높은 옛이야기를 독자적 문양으로 다채롭게 변주해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행방조차 몰랐던 우리의 전래동화가 바르게 재조명되고 문화콘텐츠로서 의미 있는 전환점이 되길 기대한다.
In the present study, patterns were designed by using illustrations for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to shed new light on Korean old stories that are not known well and to develop and share unique cultural resources. Adding modern sensibilities to old stories is a process of searching for Koreans' original identity and creating cultural legacy. Many studies have already shown that traditional fairy tales help to understand the ethnicity as well as the historic and cultural backgrounds, including the literature and education, of the periods when the fairy tales were created. However, turning the values that the traditional fairy tales have into a brand involves limitations, because contents harmonizing literature and design have not been actively developed and the low levels of interest in and appreciation for traditional fairy tales have given negative effect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make known the excellence of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by means of visual languages. To accomplish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described abov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by undergoing the following three procedures. First, the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 collections was highlighted. It is not widely known that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 collections, which are as good as the Perrault's fairy tales of France and the Grimm's fairy tales of Germany, are available. Collections of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started to be published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re are three major collections that are still praised in current days. Among them, 『Joseon Traditional Fairy Tale Collection』, edited by Park, Yeongman, includes stories that vividly show the unique and origi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eople, and has given a great impact on the history or Korean fairy tales.

Second, among the 75 fairy tales included in the 『Joseon Traditional Fairy Tale Collection』, edited by Park, Yeongman, the stories, entitled and were selected with reference to scarcity and artwork expression elements. The expression technique employed in the present study was illustration. Previous studies on traditional fairy tales and illustration showed that most of illustrations based on fairy tales are for infants, because traditional fairy tales are considered as literature exclusively for children. Hence, the present study was focused on the creation of design works that people of any generations may like and share.

Third, completed illustration was reflected to pattern design. A pattern is known as 'an meaningful expression of symbolic thinking that only humans have.' In the present study, patterns were used to represent the cores of the fairy tales. In the case of , four different design works were created by preparing two patterns and coloring the patterns with different colors, considering that the fairy tale includes a repeated story structure. In the case of the , the scene where the dwarf dancing on a palm encounters a tiger was expressed as a pattern. The pattern was prepared to give fun by interposing the eight dwarfs of the fairy tale between tigers. Four different design works were created by preparing two patterns and coloring the patterns with different colors. Finally, a total of eight patterns were applied to product packages and scarves.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t study is as follows. While conventional designs based on traditional fairy tales were focused on children, the traditional fairy tale-based design of the present study extended the scope of users to all generations.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the old stories having a scarcity value were presented in various and unique patterns. The present study may contribute to shedding new light to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of which presence has not been known well, and highlighting the value as cultural content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763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