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국 묘족 자수의 심미의식과 표현특성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론

Advisor
하지수
Major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Issue Date
2017-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묘족자수심미의식생태위미융합지미졸치성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2017. 8. 하지수.
Abstract
묘족은 중국 소수 민족에 속하고, 소수 민족 인구 순위 중에서 인구의 수가 많기로 제5위에 해당하고, 복식 양식의 변화도 다양하여 풍부한 민족 역사 문화와 독특한 복식 특징을 갖추고 있다. 묘족은 본 민족의 언어가 있는데 문자가 없어서 자수를 통하여 민족의 역사와 개인감정을 표현하였다. 현대 패션에서 서구 디자이너와 중국 디자이너들은 중국 묘족 전통적인 자수 모티프를 주제로 패션디자인을 선보인 적이 있으며 소수민족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통적인 민족 예술을 디자인에서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소수민족 묘족(苗族) 자수의 심미의식과 표현특성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고, 민족의 심미의식, 자수의 심미의식과 자수 조형적 특성의 연관성을 고찰하며 묘족 자수의 특수성을 도출하였다. 인간의 감각이 강조되고 정신이 담긴 자수공예의 특징을 연구하고 자수의 핵심가치를 규명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묘족 자수의 특징을 파악하고 소수민족 미학 연구의 공백을 보충하며 현대 패션디자인의 개발에 적극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자수의 심미의식과 표현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양한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고, 자수 심미의식의 개념과 특징을 고찰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소수민족 묘족 자수의 심미의식과 표현특성의 이해를 위해 묘족 심미의식의 발전과 형성 과정을 고찰한다. 둘째, 묘족 심미의식과 자수의 심미의식을 고찰하기 위하여 자수 표현특성의 분석의 틀을 도출한다. 셋째, 묘족 자수 작품을 통하여 자수의 표현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자수 디자인의 특수성을 파악한다.
문헌적 고찰 결과 묘족 심미의식은 노동위미(劳动为美), 이선위미(以善为美), 비장위미(悲壮为美), 생태위미(生态为美), 유쾌위미(愉快为美) 다섯 가지로 정리하였고, 자수 심미의식이 신비지미(神秘之美), 자유지미(自由之美), 융합지미(融合之美), 본성지미(本性之美) 네 가지로 되었으며, 자수 조형적 특징이 역량성(力量性), 음유성(阴柔性), 졸치성(拙稚性)과 영려성(狞厉性) 네 가지로 고찰되었다.
묘족 자수의 표현특성을 살펴보면 묘족의 자수기법을 종합적으로 고찰해 볼 때, 추수(绉绣), 변수(辫绣), 쇄수(锁绣), 수사수(数纱绣), 도화(挑花), 파선수(破线绣), 퇴화수(堆花绣), 포첩수(布帖绣), 타자수(打籽绣), 평수(平绣), 정선수(钉线绣), 석수(锡绣), 반수(盘绣) 등이 있다. 자수 도안을 종합적으로 고찰해 볼 때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용무늬, 물고기 무늬, 봉황 무늬, 새 무늬, 나비 무늬, 각(角)무늬, 소용 무늬, 기하 무늬와 화초무늬 등이 있다. 또한, 자수의 구도원리를 고찰해 볼 때, 연구는 대칭 및 대비, 리듬 및 운율, 단순 및 소박, 복잡 및 변화, 직각 및 유추 다섯 가지로 정리되었다.
본 논문의 종합적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묘족의 심미의식과 자수의 심미의식에 관한 연구에 따라 심미의식 서로의 연관성을 밝혔다. 묘족은 선량, 근로의 도덕관념을 중시해서 자수를 통해 본성지미의 심미의식을 표현하였다. 여성은 비장위미와 생태위미의 사상관념의 영향을 받아서 자수에서 신비지미의 심미의식을 표현하였다. 묘족은 인류와 자연의 융합을 통해 자연물의 힘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였고 자수에서 융합지미의 심미의식을 표현하였다. 마지막, 묘족은 유쾌, 낙관, 자유의 사상의식에 따라 자수에서 자유지미를 강조하였다. 묘족의 심미의식과 자수 조형적 특징 서로의 연관성을 밝혔다. 묘족은 개인의 부지런한 노동을 찬미하여 자수에 역량성을 표현한 도안을 사용하였다. 비장한 민족 역사의 영향을 받아서 영려성의 조형적 특징을 형성하였다. 묘족은 생태위미의 심미의식에 따라 자연물을 존경해서 모성 숭배의 민족 사상관념을 중시하여 물고기, 나비 등 음유성을 상징하였던 도안을 흔히 표현하였다. 또한, 자수에서는 이선위미와 유쾌위미의 심미의식에 따라 졸치성을 볼 수 있다.
둘째, 자수의 조형적 특징을 살펴보면, 용, 나비, 새는 묘족 선조 숭배에 관한 도안이고 화초 무늬가 생식 숭배를 대표해서 자수 도안에서 용, 나비, 어문, 새, 화초, 인물과 기하 무늬가 흔히 나타났다. 자수 기법에서는 포첩수, 추수, 쇄수, 파선수와 평수 기법을 대부분 운용되었다. 또한, 묘족은 산간 지역에서 살아가서 자연계의 색채를 흔히 사용하였다. 사진의 심미의식을 살펴보면, 묘족이 작품에서 여러 가지 무늬를 함께 창작한 방식을 좋아해서 동일 화면에 다양한 심미의식을 섞어서 표현한 방식을 선호하였다. 묘족 자수 조형적 특성을 살펴보면 역량성, 졸치성과 음유성을 흔히 보일 수 있다. 자수의 구도원리를 살펴보면, 대부분 작품에는 대칭 및 대비, 직각 및 유추, 단순 및 소박과 복잡 및 변화의 표현 특징을 보일 수 있다. 묘족은 포용성을 갖춘 민족이고 자수를 통해 한족과 소수 민족 문화의 융합을 표현하였다.
셋째, 자수의 표현 특수성을 살펴보면, 묘족은 복잡한 이주 역사에 따라 자연환경의 영향을 받아서 생태위미와 유쾌위미의 심미의식을 더욱 중시하였다. 여성은 민족 사상관념의 영향에 의해 자수에서 융합지미와 자유지미를 뚜력하게 표현하는 동시에 다양한 자수 무늬를 통해 음유성과 졸치성을 강조하였다. 연구는 민족의 심미의식의 독특성이 자수 조형의 독특성을 결정한 것을 발견하였다.
연구는 묘족 자수공예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고 전통 수공예에 관한 미학 연구의 공백을 보충할 수 있다. 학자들은 본 연구를 통하여 묘족의 문화 특성을 알아볼 수 있는 동시에 묘족 전통 자수공예에 관한 중시를 불러일으킬 수 있고 소수민족 문화의 전승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묘족 문화, 미학 사상에 관한 자료를 참고해서 묘족의 심미의식, 자수의 심미의식과 자수의 표현특성 등의 내용을 정리하였는데 묘족 문화와 미학에 관한 전부 선행연구를 포함하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자수의 심미의식은 선행 연구에 따라 구체적으로 분류되면 자수의 다양성을 더 확실히 도출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자수 사진의 수량도 제한되어서 다양한 사진을 분석하면 더욱 효과적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즉 향후 자수나 전통 수공예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고려하여 좀더 심고 있게 연구를 진행한다면 더욱 효과적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791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