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인스타그램 사용자의 탐색적 검색 행동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loratory Search Behavior of Instagram User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나누리

Advisor
이중식
Major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융합과학부
Issue Date
2017-08
Publisher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Keywords
탐색적 검색인스타그램소셜 검색검색 목적검색 패턴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융합과학부, 2017. 8. 이중식.
Abstract
인스타그램에서 최신 트렌드를 보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트렌드를 포착하고 선도하는 일이 기업은 물론 개인에게도 보상과 만족감을 선사함에 따라, 트렌디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로 떠올랐다. 인스타그램은 사진과 동영상 중심의 소셜 네트워크로 라이프스타일에 관련한 트렌드 정보를 공유하는 장이 되고 있다. 인스타그램의 정보를 능동적으로 이용하고자하는 요구와 실제 사용 행동이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사람, 사진, 태그가 혼재하는 인스타그램에서 어떻게 검색을 하고 있는지에 관한 이해가 부족하다.
이 연구는 웹 검색과 비교하여 나타나는 인스타그램의 주요 검색 목적을 중심으로 인스타그램 검색 행동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본다. 이를 위해 검색 목적에 관한 연구와 검색 목적에 따른 검색 패턴에 관한 두 가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검색 목적 연구에서는, 웹 검색과 인스타그램 검색의 검색 목적을 수집하고, 검색 목적의 성격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보았다. 검색 목적의 비율을 비교하여 인스타그램의 주요 검색 목적을 도출하였다. 덧붙여, 사용자들이 어떻게 웹 검색과 차이점을 인지하고 인스타그램 검색을 사용하고 있는지 보았다.
검색 목적에 따른 검색 패턴 연구에서는, 검색 목적 연구에서 도출한 인스타그램의 주요 검색 목적에 따라 질의어 입력, 검색 결과 브라우징, 정보의 평가와 채택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보았다. 질의어 입력에 관해서는, 검색 목적에 따른 질의어 사용의 특징 및 사용자들의 질의어 입력 행동을 살펴보았다. 질의어 입력의 다음 단계인 검색 결과 브라우징에 관해서는, 사용자들이 인스타그램 검색 결과로 주어지는 사진 더미에서 디테일 선택의 패턴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보았다. 또한, 정보의 평가와 채택에 관해서는, 인스타그램 검색에서 사용자가 갖는 결과 평가와 채택의 기준을 확인하고, 검색 목적에 따라서 기준의 어떤 요소를 중요하게 보는지를 살펴보았다.
검색 목적 연구의 자료는, 인스타그램을 활발히 사용하는 32명의 참가자의 웹 검색어 기록 160개와 인스타그램 검색어 기록 160개의 검색 맥락에 관한 인터뷰를 통해 얻을 수 있었다. 인터뷰 결과를 2차 코딩하고 범주화 하여 검색의 목적을 색인(Look up), 학습(Learn), 조사(Investigate)의 세 가지 큰 범주로 구분하고 16가지의 세부 검색 목적을 구분하였다. 검색 목적의 비율에서 웹 검색은 색인(Look up)이 70%를, 인스타그램은 조사(Investigate)가 48%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두 검색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웹 검색에 비교하여 인스타그램 검색에서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 검색 목적을 인스타그램의 주요 검색 목적으로 도출하였다. 그 결과, 입체적 정보 확인, 트렌드 확인, 촬영 스타일 참조, 구체적 이미지 확인, 시의적 정보 확인, 전반적 내용 조사의 주요 인스타그램 검색 목적을 얻었다.
검색 목적에 따른 검색 행동 연구의 자료는, 인스타그램 검색을 활발히 사용하는 21명으로부터 79개의 검색 행동을 비디오 녹화하고 사후 이유 발화 및 인터뷰를 통해서 수집하였다. 행동을 단위로 검색 과정을 코드화 하여 3,805개의 행동 코드를 얻을 수 있었으며, 코드는 각각의 연구문제에서 보고자하는 대상에 따라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로, 첫째, 질의어 사용에서는 사용자들이 최초 질의어 입력 후 태그와 사람을 선택하며 질의어 변경과 유사한 행동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질의어 입력에서는 검색 목적에 따라 직접 입력형 검색과 제시어 선택형 검색이 중요하게 활용되어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결과 리스트 브라우징에 관해서는 주제를 확장하거나 변경하는 형태의 사진 선택이 검색 목적에 따라서 달리 나타나는 것을 통해 인스타그램 검색에서 검색 결과 이미지 더미를 브라우징하는 행동의 경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결과의 평가 및 채택에서는 인스타그램의 요소 중 양, 반복, 내용, 사진의 질이 주요하게 고려되는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인스타그램에서 일어나는 검색에 집중하여, 검색 행동을 밝혀내어 사용자들을 이해하는 데에 기여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인스타그램의 검색을 토픽에 한정하여 정보 행동 중의 하나로만 다루었던 것에서, 이 연구는 정보 행동을 중심으로 인스타그램 사용자의 검색 목적과 행동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기존 검색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던 질의어 입력보다 결과를 탐색하는 행동이 두드러지는 정보 검색의 매체를 발굴하고, 검색 목적과 패턴을 밝혀낸 데에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사용자의 검색 행동을 바탕으로 한 탐색적인 검색 시스템을 설계하는데 있어 중요한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re are more and more people watching the latest trends in Instagram. Obtaining trendy information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as trends have been capturing and leading to reward and satisfaction for businesses as well as individuals. Instagram is becoming a place to share trend information related to lifestyle with social network focusing on photographs and videos. Despite the increased demand for practical use of the information in the Instagram and the actual usage behavior,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about how to search in the Instagram with mixed people, pictures, and tags.
This study examines how the search behaviors of Instagram are centered on the main search purpose of the Instagram compared to the Web Search. To do this, we conducted two researches on search purpose and search pattern according to search purpose. First, in the purpose of retrieval purpose, we collected the retrieval purpose of web retrieval and instargram retrieval, and we looked at the difference in the nature of retrieval purpose. And the purpose of retrieval of the Instagram was derived. In addition, I saw how users are aware of web searches and differences and using Instagram searches.
In the search pattern research according to the search purpose, we have seen how to input query words, browse search results, and evaluate and adop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ain search purpose of the extracted Instagram. As for the input of query word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query term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searching and the inputting behavior of query words of users were examined. As for browsing the search results, which is the next step in inputting a query, users have seen how patterns of detail selection appear in the pile of photos given as an Instagram search result. As for the evaluation and adoption of information, we examined the criteria of user evaluation and adoption in the Instagram search, and examined what elements of the criterion are important according to the search purpose.
The data for the purpose of the retrieval study were obtained through interviews of 160 retrieval contexts of 160 web retrieval records and 160 retrieval records of 32 participants who actively use the Instagram. Interview results are coded and categorized to divide the purpose of the search into three broad categories: 'Look up', 'Learn' and 'Investigate' . In the search purpo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earches was found in that the web search showed 'Look up' 70% and 'Instigram' was 'Investigate' 48%. In addition, we derive the retrieval purpose which shows a high ratio in the Instagram retrieval as compared with the web retrieval as the main retrieval purpose of the Instagram. As a result, I got the purpose of searching the main instagrams of 'checking stereoscopic information', 'checking trend', 'referring to shooting style', 'checking specific images',' checking temporal information '.
The data of the search behavior research according to the search purpose were collected through video recording of 79 search behaviors from 21 persons who actively use the Instagram search, followed by post - reason explanations and interviews. We code 3,805 behavioral codes by the behavioral unit, and analyzed the code according to the subject of each research probl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n the use of query words, users were able to select tags and people after inputting the first query and showed similar behavior as query change. Second, 'input type search' and 'suggested word selection type search' are important applications of query input. As for the result list browsing,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tendency of browsing the search result image pile in the Instagram search through the fact that the photograph selection of the form of expanding or modifying the subjec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arch purpose. Third, evaluation and adoption of the results showed that 'quantity', 'repetition', 'content', and 'quality of photographs' were the main factors to be considered in the instagram.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search in the Instagram, and has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the users by discovering the search behavior. This study analyzed the purpose and behaviors of the users of the Instagram, focusing on the information behaviors. And it is meaningful to find the medium of information retrieval in which the behavior of search result is more noticeable than the query input which is mainly handled in the existing search, and to reveal the search purpose and the patter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an important basis for designing an exploratory search system based on user 's search behavior in the future.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796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