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박동실과 정철호의 <이준열사가> 비교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동희

Advisor
김우진
Major
음악대학 음악과
Issue Date
2017-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창작판소리이준열사가박동실정철호작창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음악대학 음악과, 2017. 8. 김우진.
Abstract
창작판소리 는 박동실과 정철호의 작품이 전하는 데, 이들은 학습배경 및 시대적 상황이 다르므로 음악 또한 다르게 나타난다. 이에 본 논문은 박동실의 와 정철호의 를 비교ㆍ분석하여, 두 작품의 특징을 구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두 작품의 사설구조와 음악적 요소를 비교하여 작창가가 추구하는 방향에 따라 음악구성과 표현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사설구조에서 박동실(사설 박만수)은 절정을 극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전개와 위기에 높은 사설비중을 두었다. 정철호(사설 박황)는 발단과 전개에 높은 사설비중을 둔 반면 위기와 절정은 간략하게 사건해설만하여 빠르게 결말로 넘어가서 이준의 자결이라는 극적인 상황보다는 죽음 후의 슬픔을 강조하였다. 박동실(사설 박만수)은 한자어와 고사성어를 많이 사용한 반면 정철호(사설 박황)는 한자어를 한글로 쉽게 풀어서 사용한다. 박동실(사설 박만수)은 전통적인 판소리 요소들을 갖추어 대화체로 몰입감을 살려주는데 정철호(사설 박황)는 대화체가 나오지 않는다.
둘째로 붙임새의 경우, 박동실과 정철호는 모두 대마디 대장단이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박동실은 정철호보다 대마디대장단의 사용빈도가 낮으며 엇붙임, 잉어거리, 완자걸이, 혼합붙임새를 사용하는 빈도가 높다. 박동실은 정철호보다 붙임새를 다채롭게 활용하여 리드미컬한 소리를 구사한다. 반면 정철호는 혼합붙임새의 사용을 절제하여 가사를 분명하게 전달하고자 하였다.
셋째로 악조의 경우, 박동실과 정철호의 는 우조와 계면조를 사용하고 있다. 박동실은 전개부분에서 c(la)본청 계면조와 e♭(do)본청 우조를 번갈아가며 사용하고, 위기부터 결말까지는 계면조를 사용하였다. 정철호는 발단부분에서 e(do)본청 우조로 시작하여, 전개 중반부터 우조에서 c#(la)본청 계면조로 전조되고 가끔 f#(re)으로 청의 변화를 준다. 위기는 우조, 절정과 결말은 계면조를 사용했다. 박동실과 정철호 모두 우조의 청보다 계면조의 청이 단3도 낮다. 박동실과 정철호는 모두 를 계면조 중심으로 작창 하였으나, 박동실이 정철호보다 계면조의 비중이 조금 더 높았다.
마지막으로 선율의 경우, 박동실은 각 대목의 시작 선율이 다채롭지만 정철호는 동음 반복으로 시작한다. 박동실은 잔가락을 많이 사용하여 완전8도 도약·급강하는 선율 진행이 많이 나타나는데 정철호는 잔가락이 적으며 완전4도 상·하행 선율이 자주 나타난다. 두 사람 모두 소리를 이면에 맞게 구성하고 있으나 박동실의 선율이 정철호보다 더욱 기교적이며 극적이다.
본 연구는 창작판소리 에 한하여 박동실과 정철호의 음악적 성향을 살펴보았다. 박동실은 판소리적(예술성)인 상대적 특징이 보이고, 정철호는 창극적(대중성)인 상대적 특징이 보이는데, 이는 사설 구조의 차이 때문일 수도 있어서 두 작창가의 특성을 단정적으로 규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두 작창자의 음악적 특징은 앞으로 여타 열사가류 음악들을 비교, 분석하여 종합적인 평가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A Study of
by comparison with Park Dong-sil and Jung Chul-ho version.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aspects of two of Park Dong-sil and Jung Chul-ho, by analysis and comparison. The two writers of have different academic background and historical situation. On Comparison, distinctive form of musical composition and expression showed, of which were existed due to the intension of composer. The result of study is as below :
Firstly, in lyric structure, Park (narrator: Park Mansoo) put emphasize on complication and crisis part of story to express climax dramatically. In contrast, Jung (narrator: Park Hwang) emphasized exposition and complication part of story, and treated crisis and climax rapidly. Thereby Park only stressed the grief of death. Also, Park utilized Chinese letter and idioms when Jung used Korean to explain easily. Unlike Jung, Park has traditional Pansori component, of which the dialogic description were appeared to immerse audience.
Secondly, about Buchimsae, the frequency of Daemadi-Daejangdan was the highest both on Park and Jung version. In detail, Jung used Daemadi-Daejangdan more than Park and Park used transformed Buchimsae like Eot-Buchim, Ingeo-geoli and Wanja-geoli. Park constructed rhythmic music using various type of Buchimsae overall, On the other hand, Jung restrained the variation of rhythm to deliver the lyrics clearly.
Thirdly, on mode, of Park and Jung is consisted of Ujo and Gyemyeonjo mode. Park made complication part with c-mode Gyemyeonjo and e♭-mode Ujo. From the crisis to the resolution part, Gyemyeonjo appeared. Jung started the melody with e-mode Ujo, and changed the mode to c# Gyemyeonjo in middle of complication. Occasionally the center tone were changed to f#. Ujo used in crisis, and Gyemyeonjo used for climax and resolution part. Main tone of Gyemyeonjo was minor-third degree lower than Ujo in both song of Park and Jung. Gyemyeonjo was mainly used on both songs. Park showed higher ratio of Gyemyeonjo than Jung.
Lastly, in melodic aspect, diverse melodies were appeared in the beginning of Park piece. Nevertheless, Jung usually repeated same tone in the beginning. Park conjugated grace tone and extreme progress like perfect-eighth elevation and sudden drop. Jung rarely used grace tone, and progressed upper and lower by perfect-fourth interval. Two piece were consisted with appropriate narration and atmosphere for plot, though Park were more dramatic and literacy.
In Conclusion, Park and Jung showed distinct musical tendency on composed Pansori . Park showed artistic aspect like traditional Pansori, while Jung showed popular aspect like Korean traditional Opera relatively. This result could not define the whole character of two composer, because the result could be produced by the difference of lyric structure. Therefore comprehensive evaluation are demanded with further patriot song compariso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797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