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졸자의 직장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교육 특성 분석 : Who Shows Higher Job Satisfaction? : In regard with University Educatio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혜숙-
dc.contributor.author길혜지-
dc.date.accessioned2018-04-04T06:41:10Z-
dc.date.available2018-04-04T06:41:10Z-
dc.date.issued2017-03-
dc.identifier.citation아시아교육연구, Vol.18 No.1, pp. 145-167-
dc.identifier.issn1229-944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9665-
dc.description이 논문은 2015년도 대구대학교 교내학술과제 지원에 의한 논문임. 또한 이 논문은 2016 고용패널 학술대회(2016.5.27.)에서 발표된 원고의 내용 중 일부를 재분석한 결과임.-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배경 및 대학교육 경험과 관련된 대학교육 특성이 대졸자의 직장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특히, 자신의 대학교육 경험이 직무 역량에 기여하는가 즉, 대학교육 기여 인식이 직장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2007년 청년 패널 자료를 활용했으며 분석대상은 2013년부터 2014년까지 4년제 대학을 졸업한 955명 중 첫 직장에 입사하여 근무하고 있는 360명이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업무능력, 전문지식능력, 외국어․수학능력, 심리사회적능력 등의 직무역량에 대해 대학교육이 어느 정도 기여하였는가에 대한 졸업생들의 인식을 활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교육의 기여 인식이 높은 집단(19.4%), 평균 집단(40.5%), 낮은 집단(18.8%), 외국어․수학 빈약 집단(21.1%) 등 네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직장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교육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 및 직장 관련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신입생 충원율이 높은 대학에 재학할수록, 전공 일치도와 학교생활 만족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교육수준보다 직장에서의 업무내용 수준이 더 높은 집단이직장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직무 역량에 대해서 대학교육 기여 인식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평균 및 높은 집단의직장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lose whether the job satisfaction after graduation is affected by employees university education experience and university background. In particular, we wanted to ascertain whether recognition of contribution of university education to job competency affects job satisfaction. Used data is Youth Panel 2007 in Korea and the analysis targets were composed of 360 employees who is working at the first workplace and has graduated from a four-year university from 2013 to 2014. In regard with how much they recognize the university education contributes to their job competency, the cluster analysis results showed they are divided into four groups: higher group, average group, lower group, and insufficient group in math and foreign languages abilities. As a result of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with significant individual and job variables controlled, the higher the number of freshmen the university has, the higher the degree of major and education agreement with job, and the higher the degree of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the higher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Additionally, the average and higher groups have a high degree of job satisfaction compared to those who have lower group in regard with recognition of contribution of university education.-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dc.subject대학교육-
dc.subject직장 만족도-
dc.subject대학교육 기여 인식-
dc.subject군집분석-
dc.subject위계적 회귀분석-
dc.subjectuniversity education-
dc.subjectjob satisfaction-
dc.subjectrecognition of contribution of university education-
dc.subjectcluster analysis-
dc.subject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dc.title대졸자의 직장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교육 특성 분석-
dc.title.alternativeWho Shows Higher Job Satisfaction? : In regard with University Education-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Hyesook-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l, Hyeji-
dc.citation.journaltitle아시아교육연구 (Asian Journal of Education)-
dc.citation.endpage167-
dc.citation.number1-
dc.citation.pages145-167-
dc.citation.startpage145-
dc.citation.volume1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