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cademic Stress and Mental Health among Adolescents: Applying a Multi-Dimensional Stress Coping Model :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 다차원 스트레스 대처 모델 검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창민

Advisor
강상경
Major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Issue Date
2018-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다차원 스트레스 대처 모형정신건강결속형 사회적 자본학업스트레스긍정적·부정적 자존감대처유형주관적 행복감자살생각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2018. 2. 강상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단일차원 스트레스 대처 모형의 한계를 극복하고 확장시킨 다차원 스트레스 대처 모형을 검증하는 것에 있다. 구체적으로 첫째, 청소년의 또래 및 부모 결속형 사회적 자본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둘째,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며, 셋째, 청소년의 또래 및 부모 결속형 사회적 자본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이 학업스트레스, 이원적 자아존중감, 문제중심·행동중심·정서중심 대처에 의해 매개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청소년기는 자아를 형성하는 중요한 발달단계이다. 많은 학자와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기에 형성된 정신건강의 정도는 자기 자신에 대한 자아형성뿐만 아니라 성인이 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행복도는 OECD 국가들 중 최하위이고, 자살문제는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낮은 행복감과 높은 자살문제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학업스트레스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렇지만 학업스트레스가 모든 청소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 스트레스 대처 이론에 따르면 학업스트레스를 어떻게 대처하는지에 따라서 그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청소년기에 형성되는 스트레스 대처 전략은 정신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에 따라서 Lazarus와 Folkman의 스트레스 대처 이론에 기반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첫째, 정신건강의 긍정적·부정적 차원의 독립적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둘째, 문제중심·행동중심·정서중심 대처라는 대처유형과 결속형 사회적 자본이라는 대처자원을 구분하지 못했으며, 셋째, 인지적 평가에 해당하는 자아존중감의 긍정적·부정적 차원의 독립적 특성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다양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또래 및 부모와의 결속형 사회적 자본이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며, 결국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과 자살생각 등의 정신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스트레스 대처 연구에서 고려하지 못했던 부분을 보완·확장하여 다차원 스트레스 대처 모델을 개발하고 모델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결속형 사회적 자본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과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가? (2)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과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가? (3) 스트레스 대처 요인들이 결속형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행복감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가?
다차원 스트레스 대처모형과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2012년 한국복지패널의 아동부가조사에 참여한 고등학교 1, 2, 3학년 417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다차원 스트레스 대처 모형이 전반적으로 한국 청소년들의 다차원 스트레스 대처 경로를 설명하는데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모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건강의 이원적 특성에 대한 추가적인 고려, 인지적 평가의 이원적 특성에 대한 추가적인 고려, 그리고 대처자원 개념을 새롭게 설정함으로써 기존의 단일차원 스트레스 대처모형을 다차원으로 확장시킨 연구모형이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대처 과정을 잘 설명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대처자원으로서의 결속형 사회적 자본, 스트레스 요인으로서의 학업스트레스, 인지적 평가로서의 이원적 자아존중감, 대처유형으로서의 문제중심·행동중심·정서중심 대처, 그리고 주관적 행복감과 자살생각이 한국 청소년들의 다차원 스트레스 대처 능력을 증진 또는 감소시키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보호요인은 또래 및 부모 결속형 사회적 자본, 긍정적 자아존중감, 문제중심대처가 있고, 우리나라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은 학업스트레스, 부정적 자아존중감, 정서중심대처가 있다. 셋째, 학업스트레스, 이원적 자아존중감, 문제중심·행동중심·정서중심 대처가 결속형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행복감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청소년의 경우 대부분 문제중심대처경로를 거치는 대처전략보다는 정서중심대처경로를 거치는 대처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높은 자살문제와 낮은 행복감 문제가 어떠한 경로를 통해서 나타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동시에 어떠한 지점에 개입해야 하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위의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논의 및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결과는 (1) 정신건강의 긍정적 측면인 주관적 행복감과 부정적 측면인 자살생각에 대한 동시적 접근의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2) 긍정적 발달자산이 될 수 있는 대처자원인 결속형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확인함으로써 기존의 문제 중심적 관점의 연구흐름에서 벗어나 보다 긍정적 발달자산에 초점을 두는 관점의 변화를 도모하였으며, (3) 스트레스 대처요인들의 긍정적 차원과 부정적 차원의 요인들이 서로 독립적이면서 동시에 어느 정도 상호 역동적인 관계를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스트레스 대처연구에 있어서다차원적인 접근의 중요성을 확인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둘째,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결과는 (1) 부모의 결속형 사회적 자본이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에 매우 중요한 보호요인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서 부모가 자녀의 정신건강을 위해서 단순히 학업성취에만 관심을 갖는 것이 아니라 청소년 삶의 다양한 영역 그 자체에 관심을 가지고 청소년 자녀와 긍정적인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했고 이와 관련된 개입이 필요하다. (2) 또래의 결속형 사회적 자본 또한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에 매우 중요한 보호요인이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결속형 사회적 자본 향상을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 개인적 차원의 개입에는 청소년들 스스로가 또래를 경쟁자나 라이벌로 의식하기 보다는 상호 신뢰, 믿음, 정서적 지지의 중요성에 대해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개입이 필요하고, 환경적 차원의 개입에는 경쟁적인 학업환경 구조에 대한 개입을 함으로써 청소년들이 건강한 또래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하는 개입이 필요하다. 셋째,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결과는 (1) 우리나라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긍정적 차원에 대한 개입과 부정적 차원에 대한 개입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정신건강검사인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는 그 내용이 심리적 부담, 기분문제, 불안문제 등 부정적인 측면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삶의 만족도, 삶의 안녕감, 긍정적 자아존중감, 행복감 등의 긍정적 차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보완이 필요하다. (2)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문제 중심적 대처와 같은 건강한 스트레스 대처전략을 잘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적 차원의 보완이 시급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청소년들이 문제 중심적 대처를 사용할 경우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정서 중심적 대처를 사용할 경우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문제 중심적 대처와 같은 건강한 스트레스 대처전략은 사용하지 못하고 정서 중심적 대처와 같은 건강하지 못한 스트레스 대처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문제 중심적 대처에 해당하는 학업상담, 진로상담, 취업캠프, 다양한 운동프로그램 및 관련 시설 등을 이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이러한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접근용이성, 비용문제, 관련 제반시설 및 인력의 확충과 같은 환경적 차원의 개입이 보완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heoretically valid model for multi-stress coping pathways which overcome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limitations of the Lazarus and Folkman (1984b)s existing stress coping model
and furthermore tests its statistical validity using the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of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To be specific, this study aims to examine (1) the effects of bonding social capital on two-dimensional mental health (subjective well-being and suicide ideation)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nd (2) whether the academic stress, two-dimensional self-esteem, and problem, behavioral, and emotional focused coping mediates the relations between bonding social capital and two-dimensional mental health (subjective well-being and suicide ideation)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dolescence is an important developmental stage where one forms their understanding of the self and the world. Scholars have pointed out that happiness and mental health of an adolescent affects the perception of themselves as well as define the life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 in their adulthood. Unfortunately, Korean adolescents have been reported to be unhappy, mentally unhealthy, and high suicide problem in general. According to previous findings, academic stress is the greatest threat to the happiness and mental health of the Korean adolescents. However, academic stress does not equally give negative effect to all adolescents. Although the stress level may be similar, the level of suicide ideation or subjective well-being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coping strategies. Coping with stress is especially important to adolescents.
Coping strategies developed during adolescence are closely related to mental health such as subjective well-being and suicide ideation. Accordingly,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based on Lazarus and Folkman (1984b)s Stress Coping Theory. However, these studies based on stress coping theory have limitations. These limitations involve lack of research attention to (1) the two-dimensionality of subjective well-being and suicide ideation which is positive and negative mental health, (2) the necessity of distinguishing bonding social capital as a positive coping resource and problem, behavioral, and emotional focused coping as coping style, and (3) self-esteem, cognitive appraisal, has the two-dimensionality.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 findings, peer and parent bonding social capital is likely to decrease academic stress and develop adolescents stress coping abilities such as two dimensional self-esteem, problem focused coping, behavioral focused coping, and emotional focused coping, which in turn promotes subjective well-being and prevent suicide ideation. The present study develops a multi-dimensional stress coping model where the effect of peer and parent bonding social capital on subjective well-being and suicide ideation can be either direct or indirect through academic stress, two-dimensional self-esteem, and problem/behavioral/emotional focused coping. The main research hypotheses involve: (1) Does the bonding social capital have an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and suicide ideation,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2) Does the academic stress have an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and suicide ideation,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3) Do Korean high school students coping factors mediate the effect of bonding social capital and academic stress on subjective well-being and suicide ide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To empirically test the validity of the conceptual model and research hypothes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performed to employed to analyze the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from 2012 Children Supplementary Survey of Korean Welfare Panel Study. The sample consisted of 471 high school students in 10th, 11th, and 12th grad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echanisms concerning the association between bonding social capital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suicide ideation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can be explained by applying this multi-dimensional stress coping model and the proposed conceptual model. Specifically, (1) it was found that all the model fit was acceptable for CFI, IFI, RMSEA, and SMC. (2) bonding social capital as coping resource, academic stress as stressor, self-worth and self-deprecation as cognitive appraisal, problem, behavioral, emotional focused coping as coping style,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suicide ideation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essential stress coping variables for developing positive stress coping abilities of Korean adolescents, and (3) adolescents academic stress, self-worth, self-deprecation, problem focused coping, behavioral focused coping, and emotional focused coping were found to mediate the effects of peer and parent bonding social capital on subjective well-being and suicide ideation.
These results implies that (1) simultaneous intervention of subjective well-being and suicide ideation is necessary to promot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2) bonding social capital and academic stress are major protective and risk factors affecting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and (3) coping process used by Korean adolescents is not healthy, and it is important to develop adolescents healthy stress coping skills. Despite some limitations due to the secondary data and cross-sectional analysis, this study has a important significance that it develops a multi-dimensional stress coping model for bonding social capital to mental health pathways and empirically verified its validity with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oping that more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healthy mental health of Korean adolescents.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4089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