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교사의 소명의식 형성 과정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헌석-
dc.contributor.author성희창-
dc.date.accessioned2018-05-29T04:16:58Z-
dc.date.available2018-05-29T04:16:58Z-
dc.date.issued2018-02-
dc.identifier.other00000015135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1969-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 2018. 2. 오헌석.-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교사의 소명의식 형성 과정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우수 학교장으로부터 소명의식이 투철하다고 인정되는 중학교 교사 14명을 추천받아 면담을 실시하여, 교사들의 소명의식 형성 촉발 계기, 소명의식 형성 과정, 결과 및 특징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명의식 형성의 촉발 계기는 기대 불일치와 급격한 공감의 두 가지로 드러났다. 기대 불일치란 사후성과와 사전기대의 차이를 의미한다. 교사들은 어떤 행위를 할 때 행위의 결과에 대한 모종의 기대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 기대가 충족되지 않는 경험을 하게 된다. 이러한 기대 불일치는 주로 수업 상황과 불가능한 통제 상황에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교사가 가지고 있던 가정 혹은 명제에 혼란이 발생하고 이에 대한 수정이 요구되었다. 급격한 공감은 급격히 대상에 대해 감정이 이입이 되어 대상에 대한 이해가 빠르게 심화되는 경험이다. 여기에는 부모 됨의 경험과 사연 있는 학생과의 만남 경험이 포함되었다. 이 경험은 기대 불일치만큼 혼란의 강도가 강하지 않았으나, 교육의 핵심 수요자라고 할 수 있는 학생에 대한 관점의 전환과 이해의 심화를 초래하면서 자신의 지난 경험을 돌아보고 반성하게 만들었다. 이상과 같은 소명의식 형성의 촉발 계기는 교사로서의 자신의 목적과 역할에 반성을 일으킨다는 점이 공통된 특징이었다.
둘째, 소명의식 형성 과정은 정당화 과정과 실현 과정의 순환적 상호작용으로 나타났다. 정당화 과정은 스스로의 일의 가치 기준을 부여하고 존재 목적을 재구성하는 과정이었다. 이는 교사의 영향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생의 삶으로부터 표출된 필요를 포착하고 기존에 인식하던 추정된 필요를 재정립하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실현 과정은 주어진 일을 스스로 변화시켜 나가면서 일을 더욱 의미 있게 만드는 일련의 과정이다. 이는 자기주도적 학습, 수업의 혁신, 도전적인 과업 추구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 두 형성 과정은 순환적으로 상호작용 하였다. 정당화 과정을 통해 존재 목적이 재구성되면 이에 맞는 새로운 능력이 요구되기도 하였으며, 새로운 능력을 갖추는 과정에서 또 다른 관점을 형성함으로써 존재 목적을 재구성해 나가기도 하였다.
셋째, 소명의식 형성 결과는 사회와 연계된 목적 형성, 다차원적 역할 부여, 지속적 자기조절로 나타났다. 이들의 교사로서의 목적은 개인적, 미시적 차원에 머무르지 않고 사회와 연계된 목적으로 확장되었다. 사회와 연계된 확장된 목적은 이들이 단지 가르치는 역할에만 머무르게 하지 않고 스스로 다양한 역할을 부여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러한 역할을 실천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자기조절하려는 노력을 보였다. 이에 따라 소명의식을 갖추었다는 것은 사회와 연계된 목적이 형성되고, 이에 따른 다차원적 역할을 부여하여, 지속적으로 자기를 조절하는 노력이 정렬된(align) 상태로 이해할 수 있었다.
넷째, 소명의식 형성 과정은 크게 세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첫 번째는 사후적 형성으로 교직에 들어오기 전 맹아의 상태로 존재하던 교사의 소명의식은 입직 이후 교직에서 겪었던 다양한 경험을 성찰하고 직무를 직접 수행함으로써 형성되어 나갔다. 두 번째는 사회적 형성으로 교사들의 소명의식은 자신이 처한 상황 혹은 속한 사회구조와 끊임없이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형성되었다. 세 번째는 주도적 형성으로 소명의식은 외부에서 자연스럽게 주어진다기보다 교사 자신의 선택과 노력을 통해 주도적으로 교직의 의미와 목적을 구성해나감으로써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교사가 느끼는 혼란과 공감의 경험을 소명의식 형성의 촉발 계기로 이해함으로써 하나의 학습 경험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둘째, 기존 소명의식 연구에서 분리되어있던 실현 관점과 정당화 관점을 함께 다룸으로써 소명의식 형성 과정에 관해 보다 통합적인 이해를 할 수 있었다. 셋째, 소명의식의 형성 과정을 개인이 주도해 나가는 과정으로 이해하였다. 이는 소명의식을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형성해 나가는 과정으로 인식의 전환을 가져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3. 용어정의 7
4.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7

Ⅱ. 이론적 배경 9
1. 소명의 개념 9
2. 소명의식의 가변성 22
3. 소명의식의 개발 27
4. 소명의식에 관한 두 관점 35
5. 교사의 소명의식 45

Ⅲ. 연구방법 61
1. 연구절차 61
2. 연구대상 62
3. 자료수집 및 분석 69


Ⅳ. 연구결과 73
1. 소명의식 형성 촉발 계기 73
2. 소명의식 형성 과정 89
3. 소명의식 형성 결과 118
4. 소명의식 형성 과정의 특징 128

Ⅴ. 논의 및 결론 137
1. 요약 137
2. 논의 139
3. 결론 146

150

면담 질문지 165

167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77822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소명의식-
dc.subject소명의식 형성 과정-
dc.subject교사-
dc.subject.ddc370-
dc.title교사의 소명의식 형성 과정 연구-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8-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