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릉천 중상류 구간 조립질 하상 퇴적물 입도 및 형상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Grain Size and Shape of Coarse Bed Materials in Upper and Middle Gongneungcheon River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진훈

Advisor
김종욱
Major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Issue Date
2018-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공릉천조립질 하상 퇴적물입도구형도형상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2018. 2. 김종욱.
Abstract
본 연구는 공릉천 본류 양주시 장흥면 울대리로부터 파주시 조리읍까지 약 34.6km 구간을 대상으로 조립질 하상 퇴적물의 암석 종류, 입경 및 형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조사 범위 내에 일정한 간격(2~5km)으로 여울에서 11개 조사 지점을 선정하였다. 각 지점에서 무작위로 입경이 8mm이상의 조립질 하상 퇴적물 시료를 100개씩 채취하여 각각의 장경, 중경, 단경을 실측하고 암석종류를 판별하였다. 그리고 채취한 시료 데이터를 통계처리하였다.
분석 결과 조사 범위 내에 주로 화강암, 편마암 및 편암, 석영이 잘 관찰된다.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화강암의 비율이 낮아지고, 편마암 및 편암의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최상류 구간에서 화강암의 비율이 크게 나타나는 것은 GL-1, 2지점의 기반암이 선캄브리아기 호상편마암이지만 상류의 화강암 산지와 인접하여 상류에서 화강암 물질들이 많이 공급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GL-1~8에서 석영의 비율이 매우 낮고 GL-9 지점부터 석영의 비율이 크게 늘어났다. GL-9부터 석영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은 석영이 다른 암석보다 마모에 대한 저항력이 높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평균 입경의 경우 감입곡류 구간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고, 감입곡류 구간 하류로 갈수록 평균 입경이 작아진다. 감입곡류 구간의 평균 입경이 상류보다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은 하도 주변의 급경사 산지, 특히 공격 사면에서 조립 물질들이 많이 공급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하천 방향에 따라 대체로 구형도는 감소하고 편평도는 증가하는 경향성을 나타냈다. 형태분류로는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구형의 비율이 낮아지고 긴타원형의 비율이 높아지는 추세를 보인다. 암종별로 봤을 때 화강암의 평균 구형도가 가장 크고 평균 편평도가 가장 낮은 반면 편마암 및 편암은 평균 구형도가 가장 낮고 평균 편평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암석 종류에 따라 입자 형태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화강암은 다른 암석보다 구형의 비율이 더 많고 긴타원형의 비율이 더 적게 나타났다. 암종 간의 형상 차이는 주로 암석 자체의 특성(엽리, 층리, 풍화방식 등)에 의해 결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하류로 갈수록 평균 구형도 값이 낮아지고 평균 편평도 값이 높아지며 구형의 비율이 감소하는 원인 중의 하나는 구형도 값이 상대적 높은 화강암 입자의 비율이 감소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ck type, grain size and shape characteristics of coarse bed materials in Upper and Middle Gongneungcheon River, Korea. For this purpose, 11 sampling points were selected at regular intervals (2 ~ 5km) from the riffles within the scope. At each point, 100 samples of coarse bed materials with a diameter of 8 mm or more were collected at random. Then, the long axis, intermediate axis, and short axis of each sample were measured and their lithological types were identified. Finall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granite, gneiss, schist and quartz are mainly observed in the range of investigation. The proportion of granite decrease and that of gneiss and schist increase downstream. The proportion of granite in GL-1 and GL-2 station is very high. It is presumed that a large amount of granite materials were supplied from the upstream. It is because they are adjacent to the upstream granite, although their bedrock is Precambrian gneiss. The proportion of quartz from GL-1 to GL-8 is very low, but it increases significantly beyond GL-8. It is estimated that quartz is more durable than other rocks.
The average grain size of coarse bed materials is the largest in the incised meandering reach, but it decreases toward the downstream beyond the incised meandering reach. The reason why the average grain size in the incised meandering reach is larger than that of the upper stream upstream is considered to be the supply of coarse materials from steep slopes, especially the cut bank.
The sphericity of coarse bed materials gradually decreases and the flatness gradually increased downstream. When classified into the shape of materials, from the upstream to the downstream, the proportion of blade increases, while the proportion of sphere decreases. By rock type, granite has the highest average sphericity and lowest average flatness, while gneiss and schist have the lowest average sphericity and highest average flatness. Particle shapes were also different depending on rock type.
Granite has a higher proportion of sphere and a lower proportion of blade than other rocks. It is considered that the shape difference between the rock types is mainly determined by the property of the rock itself (such as foliation, bedding and the pattern of weathering, etc.). It is presumed that one of the causes of increase in average sphericity value, decrease in average flatness value, and decrease in spherical proportion is due to decrease in proportion of granite particles with relatively high sphericity value.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4201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