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탈소비에트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지역 협력 : Regionalism of Post-Soviet Central Asian Stat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금강

Advisor
신범식
Major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
Issue Date
2018-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중앙아시아우즈베키스탄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 탄투르크메니스탄CAUCAECCAOCANWFZ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 2018. 2. 신범식.
Abstract
본 연구는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투르크메니스탄 다섯 나라로 정의되는 탈소비에트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추구한 지역 내 협력이 어떤 추동력을 바탕으로 발생하고, 또한 어떤 추동력을 바탕으로 지속될 수 있었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소련으로부터 독립을 얻은 이후, 국경을 맞대고 있는 이웃 국가들과 다양한 지역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주변의 강대국들과 함께 CIS, EurAsEC, SCO 등의 지역 협력 체제를 구성하는 것과 더불어, 지역 내에서 자기들만의 지역 내 이해관계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지역 협력체제 또한 만들어 냈다. 하지만 기존 연구 결과에서는 중앙아시아 지역 내 협력이 뚜렷한 성과를 산출해내지 못했다는 이유로 큰 의미를 두지 않으며,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지역 협력은 실패했다고 보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 지역 내 협력을 성과보다는 존재 자체에 초점을 두어, 중앙아시아 지역 내 협력에 대
한 기존의 연구 경향과는 다른 시각을 제공하고자 했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지역 내 협력의 추동력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는 CAU-CAEC-CACO로 이어지는 다기능 협력 체제와 중앙아시아를 비핵화지대로 규정하는 CANWFZ를 사례로 사용했다. 중앙아시아에서 등장한 다양한 지역 협력들 중 오직 이 사례들만이 3개 이상의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참여하고, 중앙아시아 국가들 사이에서 이니셔티브가 발생했으며, 중앙아시아의 역내 이해관계를 위해 형성된 지역 협력 기구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과정 추적을 활용하여 중앙아시아 지역 내 협력을 발생시키고 지속할 수 있게 기여한 추동력을 찾고자 하였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본 연구는 기존의 이론적인 논의를 바탕으로 중앙아시아 지역 내 협력의 추동력과 국가 사이에서 발생한 협력의 수요와 공동의 정체성과의 관계를 주목하고자 했다. 이어서 존재하는 지역 협력 기구가 어떻게 변동할 수 있는지 살펴봤다. 과정 추적을 진행하기 위해서 먼저 중앙아시아 지역 내 협력의 양상을 통시적으로 서술한 후,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지역 내 협력에 대한 논의를 최초로 시작했던 1990년부터 약 20년의 기간을 협력의 시작, 협력의 진행, 협력의 변화 세 가지 단계로 나눠 재구성하였다. 협력의 필요성에 기반한 이해관계의 변화, 참여 국가들이 공동으로 설정했던 정체성의 변화, 그리고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마주한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지역 내 협력의 양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중앙아시아 지역 내 협력이 만들어지는 시점에서, 지역 국가들이
인식한 공동의 이해관계와 정체성이 모두 협력을 이끌어 낸 추동력으로 작동한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지역 내 협력을 유지시키는 추동력의 근거로는 공동의 정체성 요소가 좀 더 두드러졌다.
국가들의 이해관계의 변동은 협력의 모양을 변화시키는데 그쳤지만, 공동의 정체성이 무너지자 지역 내 협력 자체가 소멸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기존의 중앙아시아 지역 협력을 보는 데 있어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기존의 연구들이 상대적으로 활용하지 않았던 사례를 발굴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presents the driving-force that affected origin and durability of regionalism among Post-Soviet Central Asian states consisting of Kazakhstan, Kyrgyzstan, Tajikistan, Turkmenistan, Uzbekistan.
After gaining independence from USSR, Central Asian
states(CAS) established various regional relations with bordering countries. In addition to organizing regionalism with major powers such as CIS, EurAsEC and SCO, CAS had managed to create regional cooperative systems which fulfill their interest among Central Asia. Previous researches, however, have evaluated negatively regionalism among CAS, because they have believed that the results were negligible. This thesis adopts an alternative perspective, focusing on existence, rather than outcome, of regionalism among CAS.
To find driving-force of regionalism among CAS, this thesis
selects two regional organizations as research cases: multi-functional cooperative systems from Central Asian Union(CAU), Central Asian Economic Community(CAEC) to Central Asian Cooperation Organization(CACO) and Central Asian Nuclear Weapon Free Zone(CANWFZ). Only these two cases, among diverse regional institutions in Central Asia, include more than three CAS, are initiated by one or more CAS, and are dedicated to coordinate interests within Central Asia.
In order to identify driving-force that affected origin and
durability of regionalism among CAS, this thesis applies
process-tracing method. Reviewing theoretical implications from literature, this thesis highlights relation among necessity for cooperation, common identity, and the driving-force of regionalism among CAS, as well as how existing regional organization can be changed.
After describing chronicle of twenty years of Central Asian
regionalism since 1990 when CAS held their first joint meeting, this thesis reconstructs the cooperation history into three phases: beginning, developing, and transforming. This thesis emphasizes three factors to examine regionalism among CAS: changes in shared interests based on demand for cooperation of CAS, collective identity suggested by CAS, and surrounding atmosphere around CAS.
At the beginning, both shared interest and collective identity recognized by CAS acted as driving-force for creating regionalism among CAS. However, between those two factors, collective identity was more prominent for durability of regionalism. Changes in shared interests had only changed the shape of cooperation, but when collective identity collapsed, regionalism among CAS dissolved.
This thesis has implications on providing alternative
perspectives for extant regionalism in Central Asia and finding cases which few literature reviewed.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4215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