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조선 성종대 '領敦寧以上'집단의 성립과 정치활동 : The Organization and Political activity of Youngtonnyung-Isang in Seongjong's Reign of Joseon Dynas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원혁

Advisor
오수창
Major
인문대학 국사학과
Issue Date
2018-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領敦寧以上敦寧府成宗院相대신收議領經筵事兼判書외척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사학과, 2018. 2. 오수창.
Abstract
본 논문은 조선 성종친정기 소수 대신집단인 領敦寧以上집단의 성립과 그들의 정치활동을 통해 성종대 중앙정계의 동향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성종대는 대간의 성장이 두드러진 시기로 평가받는데, 특히 성종의 친정이 시작되고 왕권강화를 위해 대신들을 견제하려고 대간을 優容하면서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던 것으로 본다. 그러나 실제 성종친정 초기부터 대간과 갈등하였고 특별히 대신을 견제하거나 반목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성종대 정치사를 파악하기 위해 그 동안 간과되었던 대신집단의 정치동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특히 성종친정기 정국운영의 핵심을 담당한 집단은 대신들 중에서도 영돈녕이상 집단이었다. 이들은 府院君과 三政丞 · 領中樞府事 · 領敦寧府事로 구성된 정1품 이상의 고위관료집단으로 功臣과 外戚이라는 특성이 있다. 이들은 집단 내부에서 부원군과 실직을 오가며 집단을 유지했다. 이들은 收議참여, 領經筵事 독점, 兼판서 역임 등과 같은 院相의 정치참여 방식을 그대로 이어받았다. 이는 원상들이 행했던 소수 대신집단의 정치참여가 지속되는 것을 의미한다.
영돈녕이상의 구성원은 외척이라는 특징이 있는데, 이는 성종 즉위 초 幼主인 성종을 대신하여 貞熹王后의 垂簾聽政으로부터 깊은 영향을 받았다. 이 시기 세조대 폐지되었던 외척예우기관인 敦寧府가 復設된다. 외척들은 돈녕부를 통해 無職司 관직에 나아갔고, 이를 발판삼아 문 · 무직을 겸직하거나 轉職하여 실직으로 나아갔다. 이후《經國大典》에는 國舅를 領敦寧府事로 삼는 규정이 생기면서 왕비가문의 위상은 보다 높아지게 되었다.
한편 성종 즉위 초부터 대간들은 경연을 통해 발언기회를 늘려나갔고 대신들을 탄핵하면서 정치적 성장을 거듭하였다. 성종 역시 철저한 유교교육을 받으며 納諫의 태도를 견지하며 이들을 우대하였다. 그러나 대간의 간언이 빈번해지면서 왕의 사소한 행위까지도 간섭하게 되었다.성종 9년에는 대간붕당조성사건이 발각되었는데, 이 사건으로 인해 성종은 대간을 불신하고 이들과 갈등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대간을 견제하면서 왕권을 보위할 수 있는 원상출신 대신들은 성종 10년을 전후로 대부분이 사망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성종은 대간세력 자체를 줄이거나 새로운 정치집단을 구성해야했다. 성종은 후자의 방법을 택하면서 대신집단을 영돈녕이상으로 재편하였다.
영돈녕이상의 정치참여 방식은 기존 원상들이 행하던 收議를 통한 중대사 논의 · 領經筵事로서 경연주재 · 兼判書로서 판서직 겸무 등이었다. 영돈녕이상 收議는 많은 중대사를 결정하기도 하였지만, 성종은 수의결과를 대간의 공박에 대한 반박근거로 이용하기도 했다. 또 영경연사로 경연에 참여하면서 대간들의 발언에 대한 성종의 자문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점들에서 성종 보위집단으로서의 성격을 알 수 있다.
한편 대간들은 영돈녕이상에 대해서도 탄핵을 가한다. 특히 尹壕와 尹弼商은 시임정승에서 체임되기까지 하였다. 그러나 그 역할이 변하는 것은 아니었고, 이들은 여전히 수의에 참여하고 영경연사직을 유지하면서 기존 영돈녕이상의 정치활동에 참여했다. 이처럼 성종은 영돈녕이상을 優容하였고 이들은 외척으로서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우대는 곧 외척의 성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았다. 대간들은 영돈녕이상을 비롯한 외척들의 정치참여를 맹렬히 비판한다. 특히 성종 말엽인 20~25년 사이 외척에 대한 탄핵은 높은 빈도와 강도를 보인다. 그러나 성종은 이러한 대간의 공박에 대해 公論을 자임하면서 까지 외척들을 보호하였다.
성종은 임종직전 영돈녕이상을 불러 원상으로서 세자를 보필할 것을 부탁한다. 이는 세조가 예종을 보위하고자 근신들에게 부탁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본인의 공신이자 외척집단인 영돈녕이상에게 세자의 보위집단이 되어 줄 것을 당부한 것이다. 이들은 고령이었기 때문에 연산군 즉위를 전후로 하여 많은 인물들이 사망하지만 그들과 관련된 친인척들은 꾸준히 정치에 참여하면서 연산군을 보필하였다. 외척대신의 정치참여는 중종이후로도 이어지고 있었고, 중종 이후 발호하였던 외척대신들의 가계 역시 영돈녕이상에 근원을 두고 있었던 점에서 영돈녕이상의 정치참여를 인종 · 명종시기 척신 정치의 단초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political situation During King Seongjong's reign(1469~1494), especially focusing on establishment and political activity of Youngtonnyung-Isang(領敦寧以上
the group having more than the chief of Tonnyungbus official rank). The period of King Seongjong's reign has been considered the time in which Daegan(臺諫
Remonstration officers) politically grew up, As King Seongjong gave the preference to Daegan and checked the higher minister for reinforcing the sovereign authority in the period of his directly reign. However, in fact, conflicting with Daegan at that time, King Seongjong was not at feud with higher minister. Therefore there seems to be a need to analyze Political activities related to the higher minister who have overlooked in the meantime, to understand The management of the political situation of King Seongjong's period.
'The group having more than the chief of Tonnyungbu's official rank' that was called as "Youngtonnyung-Isang(領敦寧以上)" was a political core among the higher ministers in period of his directly reign. Youngtonnyung-Isang was composed of the higher ministers, maintaining themselves exclusively through crossing over Buwongun(府院君
the first class vassal of merit) between the court office positions. This group had succeeded the roll of Wonsang(院相
vassal of merit was invested by King Sejo to assist his government operation), which means that the politics of the minority of higher minister was persisted.
The members of Youngtonnyung-Isang were mainly kings relatives in laws. It has been known that this phenomenon was influenced by regency of Queen grand mother(貞熹王后), because King Seongjong's was too young to reign. Meanwhile Tonnyungbu(敦寧府
A department for treatment of Kings relatives in laws with respect) which had been abolished by King Sejo was reinstalled in this period. Though official of Tonnyungbu had no specific duties, The kings relatives in laws easily promoted to bureaucrat through changing their position to the official having duty. Since then, Queen's family have a higher political status as the clause which was the chief of Tonnyungbu(領敦寧府事) as Queen's father was inserted in 《Gyeong'guk Daejeon(經國大典)》.
On the other hand Daegan had a chance to participate in politics through the Gyeongyeon(經筵), and impeaching the higher ministers for Irregularities. Consequently they politically grew more than before. As having been educated on doctrine of Confucian, King Seongjong dealt with them with favor. However, King Seongjong began to conflict with Daegan due to the affair of Daegan's encouraging the factional strife(1478, 9th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Also Daegan's political activities, such as remonstrance, have limitied sovereign power since then. At that time, most of Wonsang who had protected King Seongjong's authority passed away around 10th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King Seongjong had to choose suppression about the Daegan's power or promotion of the new political group under those circumstances. King Seongjong selected the latter.
The means of the Youngtonnyung-Isang's political participation were the 'council of higher minister(收議)', holding a Gyeongyeon as the first class official', 'undertaking the minister of Yukjo'. 'transmission to king about the discussion of a serious matter among themselves'. acting with the purpose of discussing important matter, council of higher minister also functioned as refutation toward Daegan. They also took part in the Gyeongyeon, stating their views about issues or giving advice about Daegan's opinion. Besides they exert their influence to Yukjo as undertaking the minister of Yukjo.
Daegan also impeached Youngtonnyung-Isang's member, and making them oust as official. Although Youngtonnyung-Isang lost their official title, the roll of them was not change, such as participation in council of higher minister and Gyeongyeon. In other words, King Seongjong gave proference to Youngtonnyung-Isang. On the other hand, King Seongjong's attitude toward Youngtonnyung-Isang was bounded to grow the kings relatives in laws, because almost all the members of Youngtonnyung-Isang were the kings relatives in laws. Daegan sharply criticized the personnel matters of the maternal relatives of king included Youngtonnyung-Isang. Especially Daegan fulminate official of the kings relatives in laws in the latter years of King Seongjong reign. Nevertheless King Seongjong protect his maternal relatives from the Daegan's criticism and even insisted that he had Gong-Lon(公論).
King Seongjong called Youngtonnyung-Isang in just before his last moments, and assisted the price(燕山君) as Wonsang of prince. This was similar with the previous King's case like King Sejo. Though Youngtonnyung-Isang was so old that they were died in early YeonSan period, the people who related to Youngtonnyung-Isang played an active part in politics. Their political activities show the political coalition between King Seongjong and Youngtonnyung-Isang, meaning the king's maternal relatives officially entering into bureaucracy. In addition, Youngtonnyung-Isang had great influence on domination of Kings relatives in laws at oncoming king's generation, in terms of the Youngtonnyung-Isang's descendants was being high class bureaucracy of king's maternal relatives in the period of king Injong reign and King myeongJoung reig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4238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인문대학)Korean History (국사학과)Theses (Master's Degree_국사학과)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