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테이트 모던 터빈홀의 발견된 장대함과 장소특정성의 확장 -시설 전용 과정, 공간적 특성과 예술 작품에의 영향 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윤정

Advisor
백진
Major
공과대학 건축학과
Issue Date
2018-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8. 8. 백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뱅크사이드 발전소(Bankside Power Station)가 테이트 모던 미술관(Tate Modern)으로 전용되는 과정에서, 터빈 홀(Turbine Hall)이라는 새로운 공간이 탄생하고, 이 공간이 독창적인 예술의 탄생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원인과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테이트 모던은 발전소를 미술관으로 전용한 공간으로, 그 중 터빈 홀은 테이트 모던의 중앙 홀이자 기획 전시의 장소로서, 매년 시대를 선도하는 예술품들의 탄생시켜왔다. 이 논문은 종래의 건축물의 재생 혹은 전용에 대한 피상적인 접근을 벗어나 이전의 미술관과 다른 테이트 모던의 공간의 특성과 이의 예술을 변화시키는 힘을 면밀히 살펴보고 그 근본적 원인을 분석하려 한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현재의 상황을 분석하는 것 이전에 테이트 모던 미술관이 탄생한 시점을 근방으로 기존의 공간이었던 산업시설로서의 발전소와 새로운 용도인 미술관의 변화와 쟁점들을 살펴보았다. 건축사와 미술사의 흐름에서 하나의 독특한 접점으로서 테이트 모던이 존재하고 있다고 보았고, 그 접점을 통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공간과 예술이 탄생하는 정황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려 하였다. 두 번째로, 당시의 건축가를 선정하기 위한 현상설계의 과정과 그 제출안들을 분석하고, 현재의 공간을 만드는데 건축가가 기여한 바와 새로운 예술의 탄생의 기반이 되는 터빈 홀의 공간적 힘을 알아보았다. 또한 이를 통해 건축가의 해석과 설계 방식에 따라 공간이 어떻게 변화 하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였다. 세 번째로, 이후 그렇게 형성된 터빈 홀의 공간에서 전시되는 작품들이 이전의 작품들과는 어떻게 구분되며 건축가의 설계의 방식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공간적인 측면에 기반을 두어 작품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관람객의 새로운 반응과 건축과 미술의 관계 등은 이러한 테이트모던의 성격을 규정하는데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테이트 모던의 설립 이후에 증가한 거대한 규모의 미술관과 거대 미술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테이트 모던의 영향과 차이를 분석하려 하였다.

현상 설계 단계에서 당선자인 헤르조그 앤드 드뮤론(Herzog & de Meuron)은, 기존 건물에 대해 부정적 견해를 보이며 새로운 매스들이 새로운 공간을 지배하게 한 다른 참가자들과는 달리 기존 공간의 특질의 대부분을 유지하고 새로운 공간에 중첩시켰다. 또한 그들은 과거의 것과 새로운 것을 대조하고 차이를 부각시키는 방식이 아닌, 기존의 것과 새로운 것을 자연스럽게 연결시켜 하나의 공간을 만들어내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만들어진 공간은 테이트 미술관 측에서 현상 설계 지침서를 통해 구현하고자 하였던 가공되지 않은(raw) 공간의 특성을 가진 것으로서 무엇보다도 거대한 공간의 규모와 더불어 창, 천장, 벽, 바닥, 기물 등, 과거의 거친 산업시설로서의 특징들이 남아 현재의 요소들과 통합적인 전체를 구성하고 있다. 이는 거대한 램프, 다리(bridge)와 함께 터빈 홀 내부에 입체적, 도시적 지형을 형성하고, 건축과 풍경, 내부와 외부의 이중적 특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또한 전시 공간이 과도한 개인적, 표현적인 특성, 강한 건축적 서사를 가지는 것에 거리를 두어 예술의 공장으로서의 새로운 예술을 생산하는 배경이 되기를 자처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 터빈 홀은, 미술관 측이 기대했지만 다른 현상설계 참가자들이 그 가치를 간과한, 헤르조그 앤드 드뮤론에 의해 발견된(found) 공간이라 할 수 있다.

한편, 터빈홀의 유니레버 시리즈(Unilever Series)에 참가한 작가들은 동시대를 선도하는 매우 독창적인 작품들을 만들어내었는데, 터빈홀은 이미 제작이 완료되어 있는 예술 작품들을 전시하는 공간으로 기능하는 것을 넘어서서 예술품의 제작을 위한 장소로서 기능하고 있다. 그들에게 터빈 홀의 거대한 공간은 무엇이든지 삼켜버릴 듯한 두려움으로 다가오는 빈 공간인 동시에 도전하게 하는 곳이며, 그들은 이러한 거대한 공간에 잠식당하지 않으려 공간을 압도하는 작품들을 만들어내었다. 특히 특정 작가들은 이러한 공간의 힘을 최대한 활용하고 공간의 특성을 더욱 드러내게 된다. 터빈 홀 작가들의 이러한 방식은 에티엔느 루이 불레(Etienne Louis Boullée, 1728-1799)의 거대함(gigantesque)과 장대함(grand)의 개념을 빌어 설명할 수 있었다. 거대함(gigantesque)은 거대한 오브제로 공간을 지배하고자 하는 반면에 장대함(grand)은 공간감을 극대화하고 그 효과를 이용하기 위해 공간 그 자체를 이용한다. 이는 건축과 풍경의 대립적인 구도 속에 존재하던 기존의 작품들에서 나아가 건축내부의 풍경이라는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하며 크라우스의 다이어그램의 생산적 수정을 야기하고 장소특정성을 확장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건축과 풍경의 이중적 요소 외에도 터빈 홀은 어느 한 가지로 규정하기 어려운 복합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건축가의 에고(ego)를 최대한 배제하려 하였기에 비표상(non-representational)의 공간이지만, 이미 건축 자체에 발전소로서의 강한 공간적 특징이 내재되어 있으며 과거의 흔적(patina)을 가지고 있어 표상적(representational) 공간이기도 하다. 기존 공간의 건축적 요소들이 특정 예술 작품의 전시에는 장애물(obstacle)인 경우도 있었지만, 작품에 건축공간을 드러나게(reveal)하는 새로운 역할을 부여하기도 하였다. 이전의 가공되지 않은 공간(raw space)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작품의 전시를 위해 간결한 마감으로 통합되어 화이트 큐브(white cube)적인 속성마저 가지고 있다 할 수 있다. 건축가는 이전의 특징을 유지하되 새로운 요소마저 이전 것과 자연스럽게 섞일 수 있는 방식(aikido)을 택함으로써, 예술의 생산과 전시를 위한 온전한 한 공간을 탄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전략 하에서 드러난 공간은 작가들이 작업하기 편안한 공간이지만 일반적인 창고나 공장보다 더욱 거대하며 예술가들을 고민하게 만드는 공간이다. 그 거대한 크기는 창작에 있어 어려움으로 다가오지만 이것이 새로운 작품들을 만드는 원동력이 된다는 역설적인 상황을 만들어 내게 된다. 또한 기존 공간의 특징을 잘 포착하였다는 점에서 발견된(found)공간이라 할 수 있지만, 건축가의 섬세한 전략과 전술 하에서 이루어진 공간이라는 점에서 새롭게 디자인된(new, architect-designed) 공간이라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점에서 이러한 이중적 특징은 기존의 산업시설의 공간에서 기인하였지만 건축가의 전략으로 강화되는 결과인 동시에 새로운 예술품이 탄생하는 원인을 제공한다 할 수 있다.

이러한 터빈 홀의 공간은 관람자의 행동과 자세를 변화시키며 인지의 방식을 변화시킨다. 이는 전시가 없는 공간에서도 일어나는 것으로 터빈 홀 내의 변화가 예술의 힘으로 증폭되는 것이기도 하나 근본적으로 건축에서 비롯됨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테이트 모던 이후에 산업시설을 사용한 미술을 수용하는 미술관의 수가 증가하게 되는데, 테이트 모던은 처음부터 거대한 미술을 위한 공간으로 기획 되었다기보다는 새로운 예술의 생산의 장소로서 적합한 사이트를 찾던 미술관의 의도와 건축가의 혜안이 교차해 새로운 유형의 공간이 탄생하게 된 것이며, 그 공간의 규모에 대응하여 예술가들의 작품도 변화하였다고 해야 할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 거대함은 목표였다기보다는 결과에 가깝다. 또한 테이트 모던은 건축가의 선택과 전략에 의해 구성된 공간이지만 프로젝트의 시작과 과정에 미술관과 예술가들의 비전과 혜안이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즉 건축과 미술이 밀접하게 연계되며 건축과 예술의 생산적 관계를 만들어내는 사례라 할 수 있으며, 예술사와 건축사에 중요한 지점으로 자리하게 된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4347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