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 Study on the Outdoor Thermal Comfort of Pedestrians in the Commercial Streets : 상업가로의 보행자 옥외 열쾌적성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임혁위

Advisor
성종상
Major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Issue Date
2018-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2018. 8. 성종상.
Abstract
무질서한 확장으로 인한 도시 문제에 대응하여 보행 도시의 개발 개념이 점차 도시 계획과 개발의 트렌드가 되어 가고 있다. 불행하게도, 고밀도 개발 모드는 도시의 열 환경에 문제를 야기했다. 서울시는 보행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지만 보행 공간의 질은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보행 공간의 계획과 디자인은 인간 척도에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도시의 미기후와 같은 작은 요소가 보행자의 열 쾌적성을 평가하는 데 더 적합하다. 실외 온열 조건의 개선은 지구 온난화와 삶의 질 향상 및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형적인 상업 가로의 실외 열 쾌적성을 개선할 수 있는 식물, 포장 등을 이용한 설계 전략을 탐구하는 것이다.

서울시 상업 중심지를 도시 형태에 따라 분류한 후, 밀집형 저층과 밀집형 중층 및 개방형 고층 으로 전형적인 세 블록을 대상지로 선택한다. 그러고 나서 대상지를 이상화함으로써 다양한 설계 전략이 상업가로의 실외 열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데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식물과 포장에 관한 설계 시나리오가 설정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선정한 다양한 도시 형태 특징을 가지고 있는 세 가지 유형의 상업 블록 중에 밀집형 저층 유형은 다양한 경관 디자인에 대한 피드백이 거의 없다. 하지만 이의 도시 형태 자체가 더 나은 실외 열 쾌적성을 제공한다. 밀집형 중층 유형의 열 스트레스가 가장 크다.

둘째, 조경 요소에 대해서는 녹지율의 증가가 실외 열 쾌적성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이는 다른 연구 결과와 같다. 녹지율 25%와 가로수 간격 5m 및 화강암 벽돌 포장이 밀집형 저층 및 밀집형 중층 유형의 보행 공간 열 쾌적성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가장 좋다. 개방형 고층 유형의 도로에서는 아스팔트가 좋은 포장이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도시 형태가 있는 거리에서 열 쾌적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도시 형태의 특성에 따라 적용하는 조경 디자인이 다를 수 있다. 모델 A와 같이 밀집형 저층 유형에서 5m의 가로 수 간격을 선택할 수 있다
모델 B와 같은 밀집형 중층 구역에서는 녹지율과 가로수 간격 및 포장 이 세 가지 조경 요소를 모두 변경하거나 식물만 변경하는 것도 열 쾌적성이 개선된다
모델 C와 같은 개방형 고층 영역에서는 세 가지 조경 요소를 활용하거나 포장 만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보행자 공간의 조성은 지역의 도시 행태에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In response to the urban problems caused by sprawl, the development concept of Walkable City gradually become the trend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Unfortunately, high-density development mode has led to problems in urban thermal environment. Though Seoul metropolitan city made a lot of efforts to improve walking environment, the quality of walking space is still varied.

The plan and design of the walking space should be focused on the human scale. So small scale as urban microclimate is more suitable for assessing pedestrians thermal comfort. The improvement of outdoor thermal conditions is closely related to facing with global warming,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it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design strategies of vegetation and surface type that can improve the outdoor thermal comfort of streets in three typical blocks of commercial area under summer condition.

After classifying the commercial centers in Seoul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urban form conditions, three typical blocks as compact low-rise, compact mid-rise, and open high-rise are selected as research areas. Then by idealizing the typical real sites, design scenarios about vegetation and surface type are set up to study the effect of different design strategies on alleviating the outdoor heat stress in commercial streets based on idealized model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

In the three types of commercial blocks with different urban form features selected in this study, the compact low-rise type has little feedback on different landscape designs, but its urban form makes it a better outdoor thermal comfort. But the heat stress of compact mid-rise is the largest.

About landscape elements, the increase of green coverage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outdoor thermal comfort, which is the same as other research results. The effect of 25% green coverage, 5m of street tree interval and granite brick in compact low-rise and compact mid-rise
Asphalt in open high-rise is the best.

On the streets with different urban forms, the landscape design options for improving thermal comfort may also be different. In compact low-rise area such as model A, roadside trees with 5m spacing is the choice
In compact mid-rise area such as model B, changing all 3 landscape elements or only vegetation can work well
In open high-rise area such as model C, three landscape elements can be used, or just changing the pavement.

Therefore, the landscape reform of the pedestrian space needs to be based on different local forms.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4365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