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Hedging in Korean EFL High School Graduates Writing : 한국 고등학교 졸업 영어 학습자들의 작문에 나타난 유보 표현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우연

Advisor
김진완
Major
사범대학 외국어교육과(영어전공)
Issue Date
2018-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외국어교육과(영어전공), 2018. 8. 김진완.
Abstract
영어 글쓰기 연구의 초점이 언어적 범위에서 보다 화용론적 관점으로 확대됨에 따라, 작가가 자신의 논증에 대한 태도를 표현하는 방법이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인식 서법성(epistemic modality)을 언어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인 유보 표현(hedging, 留保 表現)은 주장의 강도를 완화시키고, 필자의 의견에 타협의 여지가 있음을 알림으로써 독자의 존재를 인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문어 담화(written discourse) 내의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중요한 기능으로 인해 유보 표현은 다양한 분야와 주제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유보 표현에 대한 연구는 주로 보다 높은 수준의 학술 글쓰기를 대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고등학교 졸업생(대학교 예비 입학생)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유보 표현의 양상에 대한 연구는 그 수가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고등학교 졸업 영어 학습자들의 유보 표현 사용을 어휘 단위 유보어(lexical hedges)와 유보 표현의 전략으로서 사용되는, 작가의 존재를 드러내지 않는 문장 구조(impersonal sentences)의 사용이라는 두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이 연구에서의 유보 표현을 나타내는 장치의 조사는 인식 서법을 표현하는 장치(epistemic device)를 기반으로 했다. 어휘 단위 유보어를 조사하기 위해, 수준별 두 집단의 한국 학생들과 한 개의 원어민 집단의 총 세 집단에 의해 작성된 짧은 학술 논설문 말뭉치가 준비되었다. 콩코던스 프로그램(concordance program)을 사용하여 인식 서법을 표현하는 어휘들이 검색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각기 다섯개의 문법 범주와 인식 서법성에 관련된 다섯 가지 의미적 범주로 구분되었다. 먼저 이 장치들이 잠재적 유보 표현 장치라는 전제로, 세 집단에서의 사용 양상에 나타나는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전체 장치의 빈도와 분포, 문법 범주 별로 구분된 분포, 의미 범주 별로 구분된 분포를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각 문법 범주에서 가장 사용 빈도가 높은 항목들을 조사하였다. 그 중 집단 별로 가장 큰 사용 양상에 있어서의 차이를 보인 항목들은 문맥 내에서 어떤 특징을 보이는지를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문장 단위에 나타난 유보 표현을 알아보기 위한 방법으로서, 두 개 이상의 인식 서법을 표현하는 어휘 간 조화도의 지표가 될 수 있는 인식 서법 표현 장치 군(群, epistemic clusters)과 필자의 존재를 의도적으로 숨기는 비인칭 문장구조(impersonal sentences)의 사용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반적 언어 숙련도와 유보 표현에 관련된 화용적 능력이 상응한다는 사실과 더불어 한국 학생들의 글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유보 표현의 사용 양상을 보여주었다. 먼저, 영어 원어민들은 보다 완화된 정도의 확신을 표현하는 유보어를 썼을 뿐 아니라 이를 위해 사용하는 어휘의 범위가 넓고 다양했다. 반면, 한국인 학습자들은 강한 확신을 나타내는 표현을 사용했는데, 이는 언어 숙련도가 낮은 집단에서 더 두드러졌다.

한국인 학습자의 글에 나타난 위와 같은 경향은 몇 가지 다른 특징을 수반했다. 첫번째, 특정 오사용(misuse)으로 인해, 완화된 표현 대신 더 강한 확신의 표현을 사용하게 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다음으로, 한국인 학습자들이 주로 쓰는 유보 표현에는 비격식적인 구어체와 필자의 존재를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1인칭 대명사가 다수 동반되어 나타났다. 세번째, 유보 표현을 위한 구문(patterned expression)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그 구문에 포함된 구체적 의미가 필자가 사용한 명제와 내용적으로 맞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필자의 주장이 아닌 반대편 의견에 유보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유보 표현이 논증에 가져올 수 있는 장점을 활용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를 통해 학습자들에게 상호작용적 측면에서의 유보 표현의 기능을 가르쳐야 할 필요성이 드러났다.

한국 학생들이 대학에 처음 입학을 하게 되면 필수 과정으로서 영어 수업과 영어 글쓰기 과제에 직면하게 된다. 안타깝게도, 영어 글쓰기 경험의 부재와 유보 표현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많은 학생들은 자신의 논증을 의도하고자 하는 정도의 확신성으로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런 취지에서, 일찍이 중등 교육 단계에서 유보 표현과 관련된 화용론적 개념을 소개하고 그 기본적 기량을 가르침으로써 학생들이 본격적인 영어 글쓰기를 해야 하는 시점에 보다 준비될 수 있도록 현재의 교육 과정과 내용을 보충하는 것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As the focus of writing research has turned from linguistic aspects to a more pragmatic level, the importance of qualifying arguments has received more attention. Hedging, as an essential linguistic resource that realizes epistemic modality, serves to mitigate the force of claims and allows writers to signal that their ideas and opinions are more negotiable, thereby engaging the reader. Hedges have been subject to many studies under a variety of fields and research topics due to their function regarding interaction in written discourse. However, studies of the hedging practice of Korean high school graduates argumentative writing are relatively fewer in number, especially compared to those about writings of more advanced levels. In this regard,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Korean L2 high school graduates use of lexical hedges and the hedging strategies applied in the construction of impersonal sentences.

The investigation of hedging devices in this study was based on epistemic devices. To investigate lexical hedges, corpora of short essay writings were organized into three proficiency levels, consisting of Korean learners of two proficiency groups and native speakers. Using a concordance program, epistemic devices were retrieved and sorted into five grammar classes and five semantic categories of epistemic functions. The use of epistemic devices in the writings of each group was then investigated and compared in terms of overall distribution, grammatical distribution, and semantic distribution. This comparison was expected to show the usage patterns of potential hedging devices by different proficiency groups. The most used items in each grammar class were then examined. Items that exhibited the most distinct usage patterns between the groups were then investigated for their characteristic use in context. Finally, the use of epistemic clusters and the construction of impersonal sentences, namely passive and depersonalized forms, were examined for their hedging practice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revealed a parallel between general language proficiency and pragmatic ability and awareness of hedging practice as well as certain characteristics in Korean learners hedging practices. First, native speakers employed more hedging devices with more attenuated epistemic certainty and a wider variety of items. In contrast, Korean learners employed hedging items of less mitigation, and this tendency was found to be more extreme in less proficient learners.

This pattern was accompanied by several other features in the Korean learners writings. To begin with, the choice of hedging devices of higher certainty as opposed to the devices of more moderate certainty revealed certain patterns of misuse. Next, they exhibited informal features in writing such as the use of spoken hedges and frequent use of first person pronouns. Third, they showed some difficulty matching the specific meanings of the expressions and the related statement when using hedging expressions in patterned forms. Finally, Korean students generally tended to hedge opinions other than their own, which exhibited the need for instruction in the interactional aspect of hedging function in writing and the benefit of using hedges to qualify their own arguments.

When students enter university for the first time, they are sure to face obligatory English courses and essays writing tasks. Unfortunately, the difficulty of presenting their arguments with an intended degree of certainty due to their lack of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in using hedges often leads to less effective argumentation and disappointing grades. To this end, secondary schools should consider supplementing the current English instruction with pragmatic notions and skills such that students would be familiarized with them at a relatively early stage before they are required to demonstrate them in university.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4388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