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가라타니 고진의 사상체계에서 발전의 양상과 주체의 의미에 관한 교육론적 고찰 : An Educational Inquiry into the Modalities of Development and the Meanings of Subject in the Thought System of Kojin Karatani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상혁

Advisor
유성상
Major
사범대학 교육학과(평생교육전공)
Issue Date
2018-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평생교육전공), 2018. 8. 유성상.
Abstract
기존 교육학 분야에서는 정치·경제·사회의 발전에 종속된 교육 논의에 대한 문제의식이 있어왔다. 이것은 주로 근대 민족국가 및 그 발전에 종속된 개인에 대한 문제의식으로도 나타났다. 한편, 주로 문학비평가로서 알려져 온 가라타니 고진(柄谷行人, Kojin Karatani. 1941~)은 스스로 문학 분야를 탈피하여 교환양식론이라고 명명될 수 있는 독자적인 사상체계를 제시함으로써 제반 사회과학 및 관련 실천 분야에서 주목을 받아왔다. 그 중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서 교육학에서는 상대적으로 가라타니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였다. 연구자는 가라타니의 사상체계가 앞선 문제들에 대한 하나의 고유한 이론적 답변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 아래, 기존 교육학 및 관련 분야에서 이뤄진 가라타니 관련 선행연구들을 검토하고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들을 제시하였다. 첫째, 가라타니의 사상체계에서 살펴볼 수 있는 정치·경제·사회의 발전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가라타니의 사상체계에서 살펴볼 수 있는 주체의 의미는 무엇인가? 셋째, 첫째와 둘째가 갖는 교육론적 의미와 의의는 무엇인가? 이에 따라 연구자는 주로 가라타니의 원전 번역 텍스트들에 대한 해석적 문헌연구를 통해 밝힌 답을 제시하였다.

가라타니에게서 살펴볼 수 있는 발전론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전과 관련하여 기존에 정치·경제·사회로 나누어 고찰된 것들에 대해 가라타니는 각각 약탈과 재분배(B), 상품교환(C), 증여와 답례(A)라고 하는 넓은 의미의 질적인 경제적 교환양식들로의 전환적인 관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그의 교환양식들은 각각 별개가 아닌 하나의 통합적 체제로서 제시되었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서 그 근대의 양상으로 제시된 것이 자본=네이션=스테이트라는 체제다. 셋째, 그가 제시하고 있는 칸트의 통정적·규제적 이념 및 초월론적(선험적) 가상의 관점에서, 그의 교환양식적 세계체제는 일종의 특수한 발전의 계열을 이루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것은 기본적으로 칸트의 세계공화국을 그 이념적 지향점으로 하는 발전의 단계들을 갖는다.

다음으로 가라타니에게 있어서 주체가 갖고 있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라타니에게 있어서 주체는 어디까지나 특수한 개인이다. 이 개인은 교환양식A와 B의 유닛들인 공동체, 국가, 네이션 등에 종속된 개인도, 그것들로부터 자본주의(교환양식C)적으로 해방되어 상대적인 자유를 획득한 개인도 아닌, 집단적 권위로부터 자유로우면서도 평등한 결사를 이루기도 하는 교환양식D의 맥락의 개인이다. 가라타니는 교환양식D의 역사적 사례로서 자연철학 및 이소노미아와 이 맥락에 놓여있는 자립화된 개인으로서의 소크라테스 및 그의 교육활동과 그 주체적 의미를 예시하고 있다. 둘째, 이 개인이 갖고 있는 자유의 의미는, 칸트에 따라 명령과 책임(responsibility), 타자에 대한 응답(response) 등으로 제시된다. 여기서 가라타니는 이 자유를 억압하는 자연적 현실의 지양의 과제를 자유의 의미에 포함시킨다. 그럼으로써 앞선 연구문제의 발전의 과제가 이 주체의 문제와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가라타니는 기존에 이 개인을―국가를 공적인 것으로 보는 것에 대비하여―사적인 것으로 보는 관점을, 마찬가지로 칸트를 통해 뒤집고 있다. 즉, 개별 국가를 사적인 것으로, 그것에 일방적으로 종속되지 않고 보편적 지평에 놓인 개인을 공적인 것으로 관점전환한다. 따라서 이 개인주체는 코즈모-폴리턴(cosmo-politan)의 맥락에 놓여있는 공적인 존재로서 분석되었다.

앞서 분석한 발전과 주체의 특징들이 갖고 있는 교육론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라타니의 전기 사상과 관련하여 교환양식D는 교육을 바라보는 관점으로서 성립한다. 전기 사상에서 교육은 그 공동체(국가)적 기준을 달리하는 타자와 관계를 맺거나 공동체들 사이에 놓여있는 개인주체의 관계방식이자 그러한 시점으로서 제시되었다. 이 교육은 이후 교환양식D의 개념으로 발전해 간다. 그 단적인 양상이 소크라테스 사례 분석의 구체화과정이다. 이 첫째의 논의가 이후 논의들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 둘째, 가라타니의 발전론은 교육과 발전의 변증법적 관계양상이라고 하는 교육발전론의 한 사상적 관점으로 분석된다. 가라타니에게 있어서 발전은 교환양식D가 우위가 되는 세계공화국을 이념적으로 지향하고, 교환양식D는 매 시대 변혁적 발전에 기능하기 때문이다. 가라타니는 근대세계체제의 지양 방법으로서 순수증여를 통한 UN시스템의 개혁론을 제시하기도 한다. UNESCO를 포함시킬 수 있는 UN시스템의 제3섹터가 갖는 그 순수증여의 속성으로 인해, 가라타니의 사상은 일종의 교육적 개혁론이자 UNESCO의 한 교육론으로서 제시될 수도 있다. 셋째, 가라타니의 사상에 있어서 발전의 이념적 목적인 세계공화국은 교육이 그 중심원리가 되고, 그와 같은 교육이 세계공화국 실현의 방법이 되기도 한다는 점에서 세계시민교육론으로도 고찰 가능하다. 이때의 세계시민교육은 프로젝트로서의 제3세계의 맥락에 놓여있기도 하다. 세계시민은 세계공화국의 개인에 대한 이념으로 해석해 볼 수도 있다. 여기서 교육의 주체이자 목적이기도 한 세계시민은 자본=네이션=스테이트를 동시에 지양하는 맥락에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와 같은 세계시민의 덕은 공(public)과 사(private)의 구별을 넘어선 공통적인 것(the common)이기도 하다. 아울러 UN과 UNESCO 등이 갖고 있는 이 교육론의 제도적 의미 또한 논의하였다.

이렇듯 가라타니에게 있어서 발전은 교육과 변증법적 관계를 가지며, 교육은 주체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갖는다. 가라타니에게 있어서 주체의 자유에는 발전의 책임이 포함되고, 주체가 놓여있는 세계시민적 지평은 발전의 이념적 목적이 된다. 따라서 여기서의 교육발전은 세계시민교육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인식들은, 주지하듯, 교육과 교환양식D의 관련성에 대한, 가라타니의 전·후기 사상을 함께 고찰했을 때 가능해지는 일이기도 하다.
In the existing education field, there has been a problem of the perspective of that education and subject has been seen as merely means of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the precedent introductions about Kojin Karatanis intellectual thought to areas of education has not been sufficient. So I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Karatani in the existing education and related fields and suggested the research questions, assuming that the thought system of Karatani could provide a unique theoretical answer to the above problem. First, what are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al appearances that can be seen in Karatani's theory? Second, what is the meaning of the subject that can be seen in Karatani's thought system? Third, what are the educational meanings and significances of 'first' and 'second'? I presented the answers by the interpretative literature research method on the texts translated from the original texts of Karatani.

So, in advance, I analysis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Karatanis theory as follows. First, his perspective about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is based on his theory of modes of exchange. In his words, it is the transformation of Marxian theory of modes of production. So politics is based on the mode of exchange B, which is plunder and redistribute. Economy is on the C, commodity exchange and Society on the A the reciprocity of the gift. Second, his modes of exchange were presented as unified systems. It means the three are integrated as world systems based on the principles of modes of exchange. Especially the modern aspect of those are integrated like the Capital=Nation=State of which term Karatani uses. Each one is the modern unit of economy, society and politics, and the modern trait of relations of each others is that the capital is functioned most powerfully. Third, this Karatanian World System Theory is seen as that the world system would be ultimately reached to Kantian World Republic, ideally, in terms of Kant's regulatory ideals, transcendental illusion, etc. So we can see his world system stages through eras as the developmental process.

Next, I also analysis the meanings of subject in Karatanis theory. First, the subject in Karatanis theory, especially in education, is individual, not community, society or state, etc. Karatanis Individuals are also based on the mode of exchange D, pure gift, which have the principles of freedom and equality at the same time, and they form social contract, in Karatanis term association, autonomously. He exemplifies and reinterprets the case of Socrates, his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 significances of those in this context. Second, the meanings of freedom of subject are, paradoxically, the compulsory, the respons-ibility to others and the sublation(Aufheben) of structural conditions of states and capitals, etc., following Kants concept. In one of the famous Kants categorical imperatives, use another person not only merely as a mean, but also treat him/her as an end in him/herself, following Karatani, the important usage is ~not only ~ but also. Because it means that he did not ignore the structural conditions which make him/her treat others merely as means. So, in this point, the task of development of the preceding chapter is included in the meaning of freedom. Third, the value of individual subject in Karatanis thought, is public, not private, also following the Kants. Kant reversed the value of public state and private individual to private state and public individual. In this point, individuals are not just belonged to one state, but on the space between states and on the universal horizon. In this context,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Socrates case were worked on agora, not on, and for, legal assembly, and only with individuals. Furthermore, he intended to break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and to make arete through education, which is located beyond this distinction as the common. Thus, this individual subject is analyzed as a public entity in the context of 'cosomo-politan', which is also a word of Greek derivation. Individual subjects are not unilaterally dependent on one police or state, but also dont get out of the responsibility of sublation of state, etc. on ones local sites, like the case of Socrates.

After consideration of Karatanis theoretical system in two aspects, development and subject, I educationally discussed these in three points. First, I discussed his early works educational implication in depth. Like his way of looking into Marxs theory, which is different with epistemological rupture, his late systemic work also could be considered being related with one of his early research questions about education. One of Early Marxs concepts, intercourse(Verkhehr) comes to Karatanis exchange. This perspective is directly related to his early work about education. He distinguishes the communication perspective of asymmetrical teaching-learning relation from the one of symmetrical telling-listening relation by critique on Wittgenstein. By this educational view, others between different rules, language games and communities, etc. can be seen. This education relation is different with which is in school, and the case of Socrates was already foreshown in this context. This educational relation developed into the concept of the mode of exchange D. That is, this mode is established as a viewpoint of education. It is occurred between different communities and doesnt make inequalities, as a same way with intercourse=exchange. This 'first' argument is the basis for further discussions. Second, in the development aspect, education is functioned to revolutionize each eras world system, and the system is oriented to Kantian world republic, ultimately, of which dominant part is education. The key mechanism of overcoming each eras world system is operated by the mode of exchange D. Of course, the modality of education also changed along world systems, like education=schooling in modern capital=nation=state. So it can be guessed that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tself as well as the dialectical relation between education and development would be occurred. Third, Karatanis thought can be one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hich lately became one of the educational and developmental agenda by UN and UNESCO. GCED also can be understood as an education of, or about, the third word as a project. Global Citizens arete can be method and purpose of GCED, abolishing the Capital=Nation=State and realizing the World Republic, at the same time, as global common goods. UN and UNESCO had been formed by reflection on World Wars based on Kants late theory of perpetual peace. These has meaning of institution of GCED, which was the absent problem of cosmopolitan education, posed by Dewey in 1916, when World War Ⅰ was on going.

In conclusion, for Karatani, development has the dialectic relationship with education, and education has direct relevance to subject. Also, the freedom of subject includes the responsibility of development, and the cosmopolitan horizon in which the subject lies is the ideal purpose of development. Therefore, educational development here is linked to GCED. Such perceptions are also possible when we consider the early and the late Karatanian thought, about the relevance of education and the mode of exchange D, together.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4427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