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거주 유동성이 높은 사회는 건강정보가 필요한 사회인가 : Is More Health Information Needed in Residentially Mobile Socie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한승목

Advisor
이철주
Major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Issue Date
2018-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2018. 8. 이철주.
Abstract
거주지 이전은 한국사회 내에서 이미 만연한 사회현상이지만 지금까지 사회과학 연구의 대상으로서 주목받은 적은 없다. 본 연구는 거주 유동성이 인간을 둘러싼 인접 환경을 변화시키는 사회생태적 요인(socioecological factor)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이것이 인간의 행위, 구체적으로는 온라인 건강정보 획득이라는 커뮤니케이션 행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탐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사회생태적 심리학과 발달과학에서 견지하는 생태학적 모형을 동원하여 어린 시절에 경험한 높은 거주 유동성이 성인이 된 현재 개인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설을 수립하였다. 나아가 풍성한 경험적 증거들을 바탕으로 그 효과가 거주지 이전으로 인한 사회적 관계의 붕괴를 통해 매개될 것이라는 가설을 추가적으로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높은 거주 유동성으로 인한 ① 건강상태(subjective health status & mental health status)의 악화, ② 축소된 사회 관계망(social network size), ③ 낮은 수준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perceived social support)가 저마다의 영향력을 통하여 개인의 온라인 건강정보 획득 수준을 변화시키리라는 이론적 모형을 수립하였다. 수립된 가설 및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을 통해 연구 모형의 타당성을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핵심 변인인 거주 유동성으로부터 개인의 건강정보 획득 행위로 이어지는 복잡한 간접 경로의 유의미성은 모수적 통계기법과 비모수적 통계기법인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함께 사용하여 검정하였다. 분석 결과 어린 시절의 거주 유동성이 성인이 되어서의 온라인 건강정보 획득에 미치는 총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그 관계를 양의 방향으로 이끄는 힘과 음의 방향으로 이끄는 힘이 함께 작용하여 억제효과(suppression effect)가 발생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매개요인별로 분리해서 보면 첫째, 높은 거주 유동성은 정신건강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경로를 통하여 온라인 건강정보 획득을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높은 거주 유동성은 개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수준을 떨어뜨리며, 이를 통하여 개인의 건강상태에까지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지의 수준 자체는 온라인 건강정보 획득 행위와 양의 관계에 있었지만, 그 효과가 미미하여 거주 유동성이 해당 경로를 통해 건강정보 획득을 줄일 것이라는 간접효과에 대한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비록 몇 가지 한계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은 사회생태학적 요인으로서 거주 유동성이 커뮤니케이션 행위를 포함한 다양한 개인 층위 변인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발견하고, 나아가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매력적인 연구 주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In Korea, relocation is a widespread social phenomenon but has never received much attention as a subject of social science research.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residential mobility is a socioecological factor which influences immediate environment surrounding individuals, and examines how this affects the behavior of people, specifically communication behavior such as acquiring health information online. For this, based on the ecological model of socioecological psychology and developmental science and abundant empirical evidence, the research hypothesizes that frequent residential relocation experienced during childhood may affect current health status and this pathway might be mediated by the collapse of social relationship which residential relocation resulted in. Ultimately, a theoretical model is built on previous literature, suggesting residential mobility may have an adverse effect on individual health status, social network size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ll of which may be separately associated with the acquisition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In order to examine these hypotheses and research question,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using an online survey data collected from Korean adults(N = 2,000). The significance of a number of indirect paths from the most important variable, residential mobility, to the outcome variable, acquisition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was tested by using a non-parametric statistical technique, bootstrapping, as wel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total effect of childhood residential mobility on the acquisition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was not significant. It can be explained by so-called suppression effect caused by a variety of forces working together to direct the relationship in the positive direction and negative direction concurrently. However, when it comes to separate mediation factors respectively, first, high residential mobility seems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mental health status, and furthermore, it is likely to increase the acquisition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through this pathway. Second, frequent relocation in youth is likely to lower the degree to which individuals perceive their social support, which affects the subjective global health and mental health status negatively. Finally, the lower degree to which individuals perceive social support, the less likely to acquire health information online. This relationship did not mediate the path from residential mobility to the acquisition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though. Despite some limitations, this paper offers inspiration for future study, suggesting that residential mobility as a socioecological factor has an effect on various individual-level variables including communication behavior and guarantees more understanding on communication context by which human interactions are influenced.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4429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