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무원의 조직커뮤니케이션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Impact of Public Official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n Job Attitude: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PC)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손정민

Advisor
전영한
Major
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Issue Date
2018-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2018. 8. 전영한.
Abstract
최근 공공조직에서는 공무원이 업무수행의 수월함과 조직생활에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실질적인 차원에서 조직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관심을 가져오고 있다. 그 동안 공공조직은 공무원들의 사기가 저하되는 문제에 봉착하면서, 인사관리제도의 개편을 통한 제도적 보상으로 사기를 진작시키고자 하였다. 하지만 제도적 보상이 공무원의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는 있었지만, 공무원이 직무수행과 조직생활을 원만하게 해나가는데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는 없었다. 공무원들의 업무체계와 조직의 위계적인 구조 하에 조직커뮤니케이션 과정은 필수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공무원이 실질적으로 업무에 만족하고 조직에 몰입하는데 중요한 위치라 할 수 있다.

행정학 연구 분야에서도 조직커뮤니케이션을 근래에 조명하기 시작하였다. 정책과 제도개편에 집중해왔었지만, 공무원의 행태에 대해서 점차 관심을 두게 되었다. 공공조직은 폐쇄적이고 경직되어, 상사와 부하직원의 관계, 동료 간의 관계, 부서 간의 관계 등에서 열악한 조직커뮤니케이션의 환경 속에 있었다. 이에 공무원 간의 원만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조직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고 조직의 성과를 높이는데 관심을 두고 있다. 하지만 그동안 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직커뮤니케이션을 다룬 행정학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공무원의 조직커뮤니케이션이 직무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과정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여, 조직커뮤니케이션 과정이 공무원의 심리적, 행동적 차원에 영향을 주고, 직무태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통해 공무원들이 조직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인지하게 하고, 전략적 인적자원관리(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SHRM) 차원에서 조직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를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 하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이론적 논의에 따라 조직커뮤니케이션을 수직적 커뮤니케이션과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으로, 직무태도를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연구 분석에서 조직커뮤니케이션, 긍정심리자본, 직무태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구통계학적 변수들을 통제하였다.

분석의 자료는 중앙공무원 및 지방공무원 2,070명을 대상으로 한 한국행정연구원의 2016년도 공직생활에 대한 인식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기술통계 분석,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에 입각한 교차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차분석 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수 중에서도 연령, 경력, 직급에 따른 집단 간에는 조직커뮤니케이션, 긍정심리자본, 직무태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유독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결과는 조직커뮤니케이션이 직무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직적 커뮤니케이션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미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은 조직몰입에만 유의미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심리자본이 조직커뮤니케이션과 직무태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긍정심리자본이 수직적 커뮤니케이션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 수평적 커뮤니케이션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수평적 커뮤니케이션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대해서 완전히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조직커뮤니케이션 중에 직무태도에 더 강한 영향을 미치고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는 공무원의 조직커뮤니케이션 유형은 수직적 커뮤니케이션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원활한 조직커뮤니케이션이 공무원의 긍정적인 심리를 갖추게 하여 높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무원들 간에 이뤄지는 조직커뮤니케이션을 지속적으로 개선시켜나가면, 공무원의 긍정심리자본과 직무태도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공무원의 성과를 향상시키고 공공서비스는 개선되어, 결과적으로 수혜는 국민에게 귀속될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공공조직의 관리자로 하여금 수직적 커뮤니케이션,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한 조직문화의 조성, 교육 및 훈련을 통한 상사와 부하직원 간 커뮤니케이션 학습, 바람직한 공무원 모델 설정 등의 실무적 접근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 조직커뮤니케이션, 수직적 커뮤니케이션, 수평적 커뮤니케이션, 긍정심리자본, 직무태도, 직무만족, 조직몰입
The public organization has recently taken an interest i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in practical terms so that public officials could feel satisfied with job and organization. Since it had some problems of demoralization in the public sector, it has boosted public official morale through institutional reward by restructuring HRM systems. Although institutional reward can motivate them, it is not a fundamental solution to greatly performing organizational duties. A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is necessarily processed under work system and hierarchy in public organization, it is important that public officials practically hav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PA) studie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has been lately addressed. Although reorganization of policy and system was dealt with primarily, PA studies have gradually focused upon public officials attitude and behavior. Public organization was closed and rigid, which was under poor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circumstance of relationship between manager and employee, between colleagues, and between departments. It is important to seek desirable organizational directions and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good communication between public officials. However, there were few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tudies for both central and local public officials in the field of PA studies.

Under these backgrou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mpirically to analyze the impact of public official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n job attitude. In addition, its aim is to address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PC), which tests how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process impacts job attitude by influencing public official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aspects. Through these, I intend for public officials to recogniz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role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activation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in the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SHRM) dimension.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classifie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s vertical communication and horizont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existing theoretical discussion. Also, job attitude was divided into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nalysis of this study, demographic variables were controlled in that these variables can have an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PPC, and job attitude.

This study used data of A Public Employee Perception Survey which was investigated in 2016 by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KIPA). Based on the data, this study conducted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ross tabulation based on t-test and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alysis. As a consequence of cross tabulation analysi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PPC, and job attitude according to age, career, and rank among demographic variables

As a result of SEM analysis, it was pointed out that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attitude. Especially, vertical communication affecte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horizontal communication had an impact onl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PPC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job attitude. In detail, there was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PPC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ertical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vertical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between horizontal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the complete mediation effect of PPC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rizontal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vertical communication had a much stronger impact on job attitude and meditating effect of PPC rather than horizontal communication.

In terms of applying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to implications, goo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can help public officials have positive psychology, which can lead to high level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f public officials is continually improved, PPC and job attitude will be desirably changed. This process can bring about public officials performance improvement and enhanced public service, which will ultimately benefit to citizen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proposed practical approaches to managers in public organization,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al culture embedded with good vertical and horizontal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learning between managers and employees, and setting up the desirable public official model.





Keywords :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Vertical communication, Horizontal communica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PC), Job attitud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4431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