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미술과 마조히즘 : 프로이트, 들뢰즈, 라캉의 이론을 중심으로 : Art and Masochism : through masochism theory of Freud, Deleuze and Laca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안수진

Advisor
김진엽
Major
인문대학 미학과
Issue Date
2018-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미학과, 2018. 8. 김진엽.
Abstract
본고는 미술에 관한 마조히즘(Masochism)이라는 수식을 재고하고, 그에 대하여 하나의 타당한 관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상 마조히즘은 고통을 받음으로써 성적인 만족을 취하는 성향이나 그러한 행위를 가리키며, 정신의학의 치료 대상으로 진단된다. 미(美)로 해명되기 어려운 동시대 미술의 영역에서 마조히즘은 추(醜), 불쾌나 혐오, 심지어 고통을 일으키는 작품의 제작과 감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특히 1990년대 페미니즘 미술 이론가들은 크리스 버든, 비토 아콘치 등 1960년대 이후의 피학적 신체미술을 마조히즘적 미술(Masochistic Art)로 독해하고, 마조히즘을 주체의 문제로 재정의한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질 들뢰즈의 이론을 토대로 삼아 문제의 미술이 기존의 정체성 정치학에 대하여 수행한 바를 정당화하였다. 단, 이들은 문제의 수행이 왜 마조히즘으로 정의될 수 있는지 충분히 논구하지 않고, 겉으로 드러난 피학성만으로 마조히즘을 진단하였다. 아울러 이들은 마조히즘적 미술의 가능성을 마조히즘, 즉 미술가나 행위자의 증상 자체의 가능성으로 환원하였다. 이에 따라 미술에 관한 해석은 미술가나 행위자의 심리적이고 전기적인 사실에 근거하여 문제의 증상이 프로이트와 들뢰즈의 매력적인 개념을 어떻게 예증하는지를 밝히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마조히즘은 인간이 주체로 구성되는 특수한 과정이다. 쾌락원칙을 명백히 위배하는 것처럼 보이는 기현상을 그는 초자아, 즉 일종의 도덕의식이 그에 반하여 금기시된 바람을 추구하는 자아를 벌하는 메커니즘으로 해석하였다. 마조히스트는 고통스러운 처벌을 통하여 초자아로 대변된 질서에 대하여 속죄하고, 그에 안정적으로 소속될 수 있으며, 이로써 고통 속의 쾌락이 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들뢰즈는 정신분석학이 초자아를 중심으로 마조히즘을 설명하고자 증상을 왜곡한다고 비판한다. 그는 마조히즘의 어원인 레오폴트 폰 자허-마조흐의 문학으로 돌아가, 마조히즘의 박해자가 남성(초자아)이 아니라 언제나 여성(자아)이라는 사실을 있는 그대로 읽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마조히즘은 여성성(초자아를 거스르는 자아)에 대한 남성(초자아)의 처벌이 아니라, 남성성(자아를 거스르는 초자아)에 대한 여성(자아)의 처벌이기 때문이다. 들뢰즈에 이르러 마조히즘은 기존의 주체화 구도 바깥을 긍정하는 탈-주체의 혁명으로 재정의된다.

프로이트와 들뢰즈의 이론은 마조히즘에 부여되어온 상반된 메커니즘과 가능성을 대변하며, 마조히즘적 미술 이론의 근거로 채택되었다. 단, 이들에 관한 본고의 재고는 미술 이론의 개념 오용을 지적하고 프로이트와 들뢰즈 중 한 명의 손을 들어 마조히즘의 개념을 정박하기 위함이 아니다. 오히려 본고는 미술가나 행위자의 주체성에 따라 그들의 증상을 달리 해석하고 평가한 미술 이론, 주체로서의 현실이 인간 삶에서 갖는 무게에 관한 프로이트의 통찰, 그리고 주체라는 단위를 벗어나는 혁명을 존재 자체의 권리로 보장하는 들뢰즈의 기획을 함께 고려하기를 주장한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마조히즘적 증상이 프로이트와 들뢰즈로 대변된 상반된 가능성을 가지며, 이미지를 스크린으로 삼아 마조히즘적 전복이 가능함을 보이는 자크 라캉의 이론을 틀로 삼는다. 라캉에 따르면 인간은 상징적 질서로 편입될 수 없는 존재를 도려내고, 그 존재-결여가 상징계 내의 대상으로 메워질 수 있다고 믿으면서 정상 주체로 자리한다. 다만 모두가 그러한 기만을 체화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도착증자로서 마조히스트는 여전히 자신이 상징화되지 못한 잔여, 상징적 질서의 공백, 라캉의 말로는 대상 a로 명명된다고 느끼는 비정상 주체다. 마조히즘은 문제의 주체가 그러한 스스로를 처벌 대상으로 희생해 정상 현실의 법이 완전무결함을 보증받는 무대다.

그런데 라캉은 상기한 바가 마조히즘의 표명된 목표일 뿐임을 강조한다. 이는 증상의 차원에서 마조히즘으로 보이는 현상이 실제로는 표명되지 않은 목표를 수행할 가능성을 암시한다. 대상 a와의 동일시라는 마조히즘적 자각은 상징계 내 대상으로 주체의 존재-결여를 메울 수 없다는 깨달음, 정상 현실과 그를 지탱하는 기만의 구조를 폭로하고 상징화될 수 없는 존재를 긍정하는 역동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라캉은 이러한 전복적 주체화의 경로를 환상 가로지르기로 명명하며 이를 주체의 윤리로 부과한다.

라캉은 특히 환상을 공고히 하는 대표 영역인 이미지로부터 환상 가로지르기가 촉발될 가능성을 논구한다. 본고는 디에고 벨라스케스의 (1656)에 대한 라캉의 분석을 통하여 이미지가 어떻게 환상 가로지르기의 스크린으로 작동하는지를 구체적으로 확인한다. 이와 같은 분석을 근거로 본고는 마조히즘적 미술 이론이 주장한 전복성이 미술가나 행위자의 증상 자체보다 마조히즘적 자각을 일으키는 기표, 보편의 의미 작용을 벗어나는 기표의 힘에 근거함을 주장한다.

마조히즘과 마조히즘적 미술이라는 수식에 관한 이상의 재고를 통하여 본고는 주체화와 탈-주체화라는 마조히즘의 양면적 가능성을 밝히는 한편, 동시대 미술의 한 주요한 흐름인 고통을 자처하는 수행이나 그를 촉발하는 이미지의 책략에 관한 재사유를 제안한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reconsider the expression Masochism which modifies art and to offer a valid perspective on it. The generally accepted meaning of masochism refers to ones tendency or action to take pleasure from ones pain. Therefore, psychiatry diagnoses masochism as paraphiliac disorder. For contemporary art which is difficult to define with the concept of beauty, the term masochism is used to explain the artworks with ugliness, provoking unpleasure, abjection, or even pain.

Particularly, feminist art theorists in 1990s defined the abusive aspect of Body Art after 1960s as Masochistic Art and justified what those artworks performs against the previous identity politics based on masochism theory of Sigmund Freud and Gilles Deleuze which reads masochism as the matter of subject. However, they did not discuss the reason why the performance in question can be defined as masochism and they defined the abusiveness of the performances surface as masochism. Furthermore, they identified masochistic art with the symptom of the artist or the performer and reduced the possibility of the art to the possibility of the symptom. Accordingly, they interpreted the artwork by justifying how the symptom in question illustrates the concept of Freud or Deleuze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or biological facts of the artist or the performer.

According to Freud, masochism is the particular constructive process of subject. He describes the strange phenomenon which seems against the pleasure principle as the mechanism that super-ego, a kind of moral consciousness, punishes ego for pursuing the prohibited wishes while violating the order. Despite the punishment is painful, masochist can atone for ones deviation by it and therefore belong to the existing order. Freud insists the pleasure of masochist coming from one own pain derives from this stable belonging.

On the contrary, Deleuze criticizes the psychoanalytic perspective on masochism because it distorts the symptom to explain masochism around the order of super-ego. He chooses to return to the literature of Leopold Ritter von Sacher-Masoch and insists to read the masochistic symptom as it is that the persecutor of masochism is always a woman(ego), not a man(super-ego). It is because masochism is not the mechanism that man(super-ego) punishes for ones femininity(ego) but that woman(ego) punishes for ones masculinity(super-ego). In this way, masochism is redefined as the revolution of de-subjectification.

The theories of Freud and Deleuze represent the contradictory mechanism and possibility of masochism and were chosen as the basis of Masochistic Art theories. Nevertheless, this study is not to point out the misuse of the term masochism and to fix the concept of masochism by supporting the view of Freud or Deleuze. Rather, this study insists that the art theory assessing the symptom of the artist or the performer by their subjectivity, Freuds insight on the weight of the reality of subjectification, and Deleuzes project ensuring the possibility of revolution as a right of the existence be considered together.

To achieve this aim, this thesis introduces Jacques Lacans theory as a frame which declares the contradictory mechanism of masochistic symptom and explains that mechanism in the dimension of image. According to Lacan, human beings becomes a normal subject by cutting out their own existence which cannot be symbolized and believing that lack-of-existence can be filled with the symbolic object. However, not all can master that kind of deception. The abnormal subject, masochist, still feels as if he/she is located in the lack of the symbolic reality, as if he/she is denominated as the remainder which is impossible to symbolize, object a. Masochism is the stage where masochist who identifies oneself with object a sacrifices oneself loyally as the object of the punishment to establish the law without any lack and therefore to become a normal subject.

However, Lacan insists the above-mentioned is just declared purpose of masochism. This statemen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masochistic symptom which can perform different purpose, which is not declared. It is because the subjects identification with object a, the dimension of the original existence, is based on the subjects recognition that the symbolic object cannot fill the lack of the subjects lack-of-existence, the structural lack of the symbolic order. This recognition implies the possibility of revealing the structure of the imaginative deception which supports the normal reality. Lacan names this subversive dynamic traverse the fantasy and imposes this on subject as ethics.

Lacan draws a possibility of traversing the fantasy particularly from the dimension of image,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the representative field of the fantasy. Through Lacans analysis on Las Meninas by Diego Rodríguez de Silva Velázquez, this study confirms the specific process how the art works as a screen of traversing the fantasy as an image. Hereby, this thesis argues that the subversive possibility of the art advocated by the masochistic art theories is not based on the symptom of the artist or the performer itself but on the possibility of image as the signifier which provokes the masochistic recognition by escaping the normative signification.

Through this reconsideration on masochism and masochistic art, this thesis establishes the contradictory possibility of masochism, subjectification and de-subjectification, and furthermore, suggests to rethink the strategies of painful performances or image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4445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