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북한 캘리그래피 서체의 형성 과정과 시각문화적 특성 :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North Korean Calligraphy Letter Style and Its Visual Cultural Characteristic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민수-
dc.contributor.author김미혜-
dc.date.accessioned2018-12-03T02:09:34Z-
dc.date.available2018-12-03T02:09:34Z-
dc.date.issued2018-08-
dc.identifier.other00000015168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4489-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술대학 디자인학부(디자인역사문화전공), 2018. 8. 김민수.-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북한의 서체담론과 디자인을 분석하여, 캘리그래피 서체가 지니는 의미와 시각문화적 특성을 역사적 맥락에서 읽어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로써 서체 디자인을 통해 북한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한 걸음 더 다가서고자 했다.

서체는 작고 사소해 보일지라도, 한 사회의 시각문화 경관을 가늠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책, 신문과 같은 출판·인쇄 매체부터 언론과 영상 매체, 거리와 생활공간에 배치된 구호와 친필 기념비서예까지 북한 주민들은 삶터 곳곳에서 서체와 마주한다. 그러므로 북한의 서체를 살펴보는 것은 북한의 일상 속 시각문화를 살펴보는 것과 같다.

북한의 서체는 김일성을 사회주의의 시조로, 항일혁명 전통을 시원으로 하는 북한 역사관을 그대로 반영해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선전·선동의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다. 북한의 서체 전문가들이 서술한 서체담론에 따르면, 북한의 주요 서체에는 백두산 명필체, 청봉체, 붉은기체, 평양체, 물결체, 궁체, 천리마체, 3.1월간체, 장식체 등이 있다. 오늘날 북한에서 만들어져 사용되고 있는 서체는 서예서체와 활자서체를 포함해 약 700여 종이 넘는다. 연구자는 북한의 주요 서체와 더불어 서체의 전반적인 지형도를 파악해 북한이 서체를 어떻게 인식하고, 활용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북한의 서체는 1980년대부터 서예 이론가와 서체 전문가들을 통해 본격적으로 분류되었고 이론이 정립되었다. 1980년대부터 북한의 서체 이론이 서예 이론서를 중심으로 정립되었던 것은 북한의 주요 핵심 사상인 조선민족제일주의가 반영된 결과로, 새로운 민족문화예술로서 서예가 주목받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서예의 부흥은 각 대학의 서예 전공 개설,

인쇄·출판 관련 기관의 서예실 개설 등의 움직임으로 이어졌다.

북한의 서체 이론가들은 북한 서체의 이론을 서술하는 동시에 손을 중심으로 서체를 나누는 분류 체계를 정립하였다. 한 번에 쓰는 서체를 붓글씨체(서사체)로, 여러 번에 걸쳐 그리는 서체를 그린글씨체(도안체)로 나누었으며, 이러한 서체 분류는 1988년 이후 활자서체와 디지털서체(font)를 분류하는 기준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서체담론에서는 손으로 쓰는

캘리그래피 서체의 중요성을 계속하여 강조하였으며, 이러한 강조는 범 체제적으로 서예 강습과 서예 소조 활동을 장려하는 정책으로 이어졌다. 필체의 중요성이 대중에게 충분히 전달된 후, 북한에서는 지도자의 필체를 지도자와 동일시하였으며, 이를 기념비화 하였다. 서체담론에서 특수한 필체로 분류되는 이른바 백두산 명필체는 김일성의 태양서체,

김정일의 백두산서체, 김정숙의 해발서체를 의미한다. 육필서체를 서사자와 동일하게 인식하는 특성은 동아시아문화권에서 계승된 필체 문화이며, 이는 남한과 중국에서도 나타났던 현상이다. 하지만 북한에서는 육필서체를 유일사상체계의 정통성을 강화하는 목적으로 활용하고, 필체의 사선적 시각성을 세습하며, 북한만의 독자적인 필체 문화를 형성하였다.

서체담론에 제시된 주요 서체들은 혁명민족 전통을 시원으로 하여 서술되었으며, 당의 목소리를 시각화하는 데 적합한 형태로 형상화되었다. 청봉체를 비롯한 북한의 주요 캘리그래피 서체들은 구호와 선전물에 사용되었고, 시각구술적인 특성을 통해 당의 사상과 이념을 대중에게 전달했다. 북한은 당의 목소리를 대중에게 인식시키기 위해 서체를 반복적으로

노출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였다.

북한의 서체담론은 분단 이후 30여 년이 흐른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몇 가지 한계점을 내포한다. 첫째는 서체담론과 서체 디자인 사이에 차이가 나타났다는 점이었으며, 둘째는 다양하게 나타난 실험적 서체들이 서체담론에서 다루어지지 않아 이론적 공백이

발생했다는 점이었다. 연구자는 북한 서체담론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캘리그래피 서체의 다양한 실험적 시도를 서예 변체, 장식체, 산업미술 도안체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변화의 움직임을 캘리그래피 서체의 또 다른 특성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북한의 서체는 이념과 사상을 구체적으로 재현하는 동시에 허용되는 범위 안에서 자유롭게 변용되며, 북한의 활자 문화경관을 조성하는 매체로 기능해 왔다. 오늘날 북한에서는 컴퓨터와 디지털 기술이 시차 없이 활용되며, 서체가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연구자는 북한의 캘리그래피 서체를 연구함으로써 북한 체제의 시각문화적 특성을 밝히고, 이를 통해 북한의 일상을 구성하는 사회와 문화의 변화를 읽어내는 단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North Korean letter style discourse and design in order to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visual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ir calligraphy letter style within a historical context. The researcher intended to better understand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North Korea through its typography.

Letter style may seem to be an insignificant consideration
-
dc.description.abstracthowever, it can aid in gaining a better grasp of understanding the visual cultural landscape of a community. Various letter styles can be seen in everyday life in North Korea, such as in books, newspapers, and publications and printed materials-
dc.description.abstractpress and various visual media-
dc.description.abstractand in slogans, quotations of leaders, and handwritten monumental calligraphy marking natural scenery. Therefore, exploring North Korean letter types can be equivalent to exploring the visual culture of North Koreans daily lives.

The North Korean letter style reflects historical view of "Juche"(주체), which takes Kim Il-sung as the father of socialism, and its heritage rooted in the anti-Japanese revolution. Letter style has been extensively used as a means of propaganda and instiga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North Koreans socialist regime. According to experts, the key letter styles in the North are: Paektusan myungpil-chae(백두산 명필체), Chungbong-chae(청봉체), Bulkunki-chae(붉은기체), Pyongyang-chae(평양체), Mulgyol-chae(물결체), Koong-chae(궁체), Chollima-chae(천리마체), 3.1wolgan-chae(3.1월간체), and Jangsik-chae(장식체). However, more than 700 different styles are in existence and currently in use, including calligraphy and typeface styles. The main letter styles, as well as the overall landscape of the North Korean letter styles, shall be examined in order to figure out how letter style is perceived and used in North Korea.

North Korean letter styles have been categorized and theories pertaining to them have been established by experts and calligraphy theorists since the 1980s. Letter theories have been formed within the field of calligraphy in respond to the North Koreas unique nationalism, Joseon minjok jeiljuui(조선민족제일주의), and calligraphy started to be recognized as a new national form of ethnic cultural art. The revival of calligraphy led to the creation of calligraphy departments in universities, as well as printing and publishing institutions.



North Korean letter style theorists also came up with a categorization system based on how letters are written. Letter types written in one stroke are sorted as Butgulsi-chae(붓글씨체, paintbrush writing style, or calligraphy style), and those written in multiple strokes are sorted as Gringulsi-chae(그린글씨체, drawn writing style). This system was directly applied to the categorization of typefaces and digital fonts after 1988. The importance of handwritten calligraphy letter types was constantly emphasized, and this led to the regime-wide policy implementation of teaching and promoting calligraphy.

After thoroughly conveying the importance of letter styles to the public, North Korea started to memorialize its leaders' handwriting. The practice of equating handwriting with its writer, which can also be widely seen in South Korea and China, is rooted in East Asian culture. However in North Korea, handwritten letter styles are used as a means to strengthen the legitimacy of the Monolithic Ideological System(유일사상체계). In the theoretical discourse of North Koreas letter, the Paektusan myungpil-chae, a special letter style set derived from handwritings of former leaders, includes Kim Il-sungs Taeyang-sochae(태양서체), Kim Jong-ils Paektusan-sochae(백두산서체), and Kim Jong-suks haebal-sochae(해발서체). The diagonal aesthetic features commonly found in two letters, Taeyang-sochae(태양서체) and Paektusan-sochae(백두산서체), have been passed down, thereby forming a unique letter style culture in North Korea.

Letter style discourse describes North Koreas key styles to be rooted in the tradition of revolution, and they are viewed as having been tailored to visualize the party's voice. The key calligraphy types, such as Chungbong-chae(청봉체), are used for slogans and propaganda, harnessing their visual-or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convey the ideologies of the party. Such letter styles are repeatedly used in order to instill the party's voice into the people, and given variation for efficient delivery.

There are a few limitations to the North Korean letter style discourse because it began to be formed in the 1980s, 30 years after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discourse and actual aesthetics, and second, there is a gap in the theory as the various experimental letter styles were excluded from the discourse. Thus, this research aims to further delve into these experimental types, especially focusing on Calligraphy changed-style(서예변체), Jangsik-chae(장식체), Gringulsi-chae(그린글씨체, drawn writing style) of North Korean design, etc., all of which are interpreted as exhibit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calligraphy styles.

North Korean letter styles are materializations that represent ideologies, and at the same time, are given variations, and are used as a means of forming the typeface culture landscape. Today, international standard computer and digital technology are being used in North Korea, and typography is being diversified. Therefore, in this research, the visual cultural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s regime are to be brought to light in order to provide the basis for understanding the changes occurring in society and the culture that form the daily lives of North Koreans by delving into their calligraphy letter type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머리말

1. 연구의 목적과 배경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3. 용어 정의

1) 캘리그래피 서체

2) 서체담론

3) 시원성(始原性)



Ⅱ. 관련문헌 검토

1. 북한연구방법론의 보편과 특수

2. 서체담론과 디자인의 역사·문화적 맥락

3. 북한 문화예술과 서체 연구

1) 북한 서체의 선행연구

2) 북한 문화예술(문학예술)과 서체



Ⅲ. 북한 서체담론과 디자인의 형성 과정

1. 북한 서체담론의 형성 배경

1) 분단 전후, 한글 서체의 형성과 전개

2) 혁명민족 전통의 시원성 구축과 서예의 대중화

2. 북한 서체담론의 전개와 캘리그래피 서체

1) 1980년대 이후 등장한 북한의 서체담론

2) 북한의 서체 분류와 캘리그래피 서체



Ⅳ. 캘리그래피 서체의 시각문화적 특성

1. 몸의 확장된 개념으로서 육필서체

1) 백두산 명필체의 육필성

2) 사선의 속도감과 시각연속성

2. 혁명민족의 사상을 구현하는 구호서체

1) 청봉체로 대표되는 캘리그래피 서체의 시원성

2) 음성 언어의 시각화, 시각구술성

3. 서체담론의 한계와 실험적 서체

1) 서체담론과 서체 디자인의 시각적 차이

2) 북한 서체의 실험적 시도와 변화

4. 소결: 캘리그래피 서체의 시각문화적 특성

육필성과 혁명민족 전통의 시원성 강조

구호서체의 시각구술성

서체담론의 한계와 실험적 시도



Ⅴ.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45.09-
dc.title북한 캘리그래피 서체의 형성 과정과 시각문화적 특성-
dc.title.alternativeThe Formation Process of The North Korean Calligraphy Letter Style and Its Visual Cultural Characteristic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Mi-Hye-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미술대학 디자인학부(디자인역사문화전공)-
dc.date.awarded2018-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