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용사(用事) 중심의 한국 시조 교육 연구 : A Study on Education of the Korean Sijo based on Yongsa Theor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염

Advisor
고정희
Major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Issue Date
2018-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2018. 8. 고정희.
Abstract
본 연구는 고전비평에서의 용사(用事) 개념에 주목하여, 용사가 활용된 한국 시조에 대한 중국인 학습자의 이해 양상을 밝히고, 용사가 활용된 한국 시조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 시조는 장르적으로 중국 고시사(古詩詞)와 비슷하고 한자와 전고가 포함되어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쉽게 이해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중국에서의 전통문화와 관련된 예능 프로그램의 열풍으로, 중국인의 고전시가에 대한 흥미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의 고전시가 중 하나인 시조를 교육하는 것이 앞으로 중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중요한 과제로 떠오를 것이라 말할 수 있다.

전고(典故)는 역사 이야기 및 유명인의 일화, 전인의 문학 작품 중에 있는 어구를 활용하여, 함축적인 지면에 응축된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수사법의 일종이다. 전고의 용법은 용사(用事)와 점화(點化)로 나뉘어 고전시학의 주요한 원리라고도 할 수 있다. 용사는 역사적인 사건이나 유명인의 일화나 전인(前人)의 어구를 인용함으로써 시인의 뜻을 보완하는 작법이다. 점화(點化)는 전인의 말이나 시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뜻을 가하여 글을 창작하는 작법이다.

본 연구는 용사의 내용에 따라 인명(人名) · 지명(地名) · 물명(物名)으로 유형을 나누어 그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인명 용사는 여러 가지 형식으로 나타나고 시조의 주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지명 용사는 당시 사람의 정신세계나 시대의 모습을 반영하였다. 물명 용사는 인간 감정의 상징물이며 권력자를 은유함으로써 정치적인 위험을 회피하는 역할을 했다. 또한, 용사가 활용된 한국 시조 교육의 의의를 고급 언어 능력 신장, 상호텍스트적 능력 신장, 자국 문학과 한국문학에 대한 교양 축적으로 구체화하여 살펴보았다.

중국인 학습자가 용사가 활용된 시조를 배울 때의 이해 양상을 고찰하기 위해 실험을 통해 학습자들로 하여 전고, 시어의 해독, 시인의 의도 및 시조의 주제 등을 쓰게 하였다. 학습자들의 이해 양상과 시조 내용에 따라 인명(人名) 용사가 활용된 시조의 이해 양상은 성현제자(聖賢諸子)의 인의예지신에 대한 인식, 제왕장상(帝王將相)의 중국인의 생사관에 대한 이해, 문인은사(文人隱士)의 은거생활에 대한 비판, 후궁미인(後宮美人)의 운명에 대한 숙고의 네 가지로 나누었고, 지명(地名) 용사가 활용된 시조에 대한 이해 양상은 실제적인 지명에 나타난 중국 지명 중심의 이해와 관념적인 지명에 나타난 미지의 세계에 대한 동경 및 비판으로 나누었고, 물명(物名) 용사가 활용된 시조에 대한 이해 양상은 동물의 인간 품성에 대한 재고, 식물의 인간 도덕성에 대한 이해, 기물을 통한 소유자의 생활방식에 대한 추론으로 나누었다. 이러한 이해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중국인 학습자의 독특한 사고 능력을 엿볼 수 있었던 한편, 학습자가 중국 전고에 대한 지나친 의지, 전고에 대한 이해 부족, 중세 한국어에 대한 지식 부족 등의 이유로 한계를 갖는 것 또한 볼 수 있었다.

학습자의 한계점을 보완하도록 본 연구는 전고 해독 능력 함양, 학습자의 문학 지식 확장, 고전시가 감상 능력 신장을 교육 목표로 하여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설계하였다. 수업 효과를 보증하기 위해 시조 정전 목록, 용사 사용 빈도표와 한 · 중 용사 변용 비교표를 만들었다. 마지막으로 시조 교육의 구체적인 방법을 시청각 자료를 통한 동기 유발, 전고 설명을 통한 상상력 함양, 협동 학습을 통한 참여의식 강화로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특성 및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등을 고려하여 한문학비평 이론인 용사를 핵심이론으로 삼아 중국인 학습자에 맞춘 교수-학습 방법을 도출하였다. 또한, 수업 과정에서 학습자의 주체적 학습, 문학 능력 및 참여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의의를 갖는다.



핵심어 : 한국 시조, 중국 고시사, 중국인 학습자, 전고, 용사, 점화, 이해 양상, 정전 목록
This study is based on the theory of yongsa, and it analyzes the Chinese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use of Korean classical poetry sijo, and then aims to prepare contents and methods of Korean sijo education.

The Korean sijo is similar to Chinese classic poetry in the genre, and includes Chinese characters and allusions in contents, so i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Chinese learners. In addition, due to the craze of variety shows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e in China, Chinese people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traditional Chinese culture. If this trend continues, it will be an important task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each Korean sijo to Chinese learners.

Allusion means quoting yongsa and seongsa, it is a rhetorical device that cites historical stories, celebrity anecdotes, or statements in previous literary works, and effectively conveys content in a limited space. The usage of the allusion is divided into yongsa and jeomhwa and it can be said as a main principle of classical poetry. Yongsa is a method of supplementing the will of a poet by quoting an historical event, an anthology of a celebrity, or a phrase of a former person. Jeomhwa is a method of writing a new meaning based on the words and poems of people in the past.

In this study, yongsa can be divided human names, geographical names, and object name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yongsa, their respective roles are analyzed. human names, geographical names, and object names. The yongsa of human names appears in various forms and closely related to the subject of sijo. The yongsa of geographical names are related to the spiritual world and the style of the people of that era. The yongsa of object names is a symbol of human feelings, and through it to metaphor the authorities can circumvent possible political risks. In addition, the meaning of Korea sijo education using yongsa can be specifically divided into improving high-level language ability, improving intertextual ability and acquiring the ability to accumulate national and Korean literacy skill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level of comprehension when the Chinese learners study the sijo used yongsa, the lecture instructed the learners to write the comprehension of the allusions, the interpretation of the verse, the intention of the poet, and the theme of the sijo. According to the learners' understanding and the contents of the sijo, the understanding of sijo using human names was divided into four sections, the understanding of the kindness, justice, good manners, wisdom and honesty(the five basic virtues of Confucianism) of the saints, the comprehension of the life and death of the emperors and nobles, the critique of seclusion of the hermits, the contemplation of the destiny of the concubines of a monarch. The understanding of sijo using geographical names was divided into actual geographical names, which is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geographical names, and conceptual geographical names, which is the criticism and criticism of the unknown world. And understanding of sijo using object names was divided into animal of rethinking the human character, plant of understanding of human morality, and object of inference of the lifestyle of the owner. By analyzing these understanding patterns, we can see the unique thinking ability of Chinese learners and see limitations of learners' overly dependent on Chinese allusions, lack of understanding of allusions, and lack of knowledge of medieval Korean.

In order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learners, this study designed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plan with the aim of cultivating the ability to decipher the whole sentence, expanding literary knowledge of learners, and enhancing appreciation ability of classical poetry. To ensure the effects of the class, literary canons that can be used for Korean sijo and frequency of yongsa use tables were established. Lastly, specific methods for sijo education were provided as inducing motivation through audiovisual materials, developing imagination through explaining the concept of allusions, and reinforcing participation consciousness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ethod suitable for Chinese learners by using the theory of Chinese literary criticism of yongsa as a core theory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Chinese learners and the status of Korean education in China. It also has the significance of developing the learners' own learning, literary skills, and sense of participation in the class.



Keywords: Korean sijo, Chinese classic poetry, Chinese leaners, allusion, yongsa, jeomhwa, understanding aspect, literary canon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4464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