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인력고령화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이직률 및 인건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공공과 민간 비교 분석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혜정

Advisor
고길곤
Major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Issue Date
2018-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2018. 8. 고길곤.
Abstract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대부분 국가의 인구 및 노동력은 출산율 감소와 평균 수명의 증가로 계속적으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인구 및 노동력의 고령화는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체 인구 대비 65세 이상의 고령인구 비중이 2017년에 14%가 넘어 고령사회로 진입하였고, 2025년에 20%가 되어 초고령 사회가 될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 또한, 생산가능인구(15-64세) 중 50-64세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어, 노동력은 또한 점차 빠르게 고령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통계청 Kosis, 장래인구추계, 2016). 이처럼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적인 고령화 추세에 따라, 기업 내의 인력 고령화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데, 인력고령화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식이 대부분으로, 고령화의 급속한 진전에 따라 개인적 및 사회적 부담이 가중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고령화에 대한 막연한 부정적 인식과 우려가 아닌 좀 더 명확한 상황파악 및 대책마련이 필요한 시점에서, 기업 내 인력고령화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시작이었다. 인력고령화가 생산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공공기관과 민간기관을 분리하여 분석해보았으며, 또 우려하는 대로 인력고령화가 인건비 증가를 초래할 것인지, 그렇다면 그 인건비 변화가 생산성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분석해보았다. 또한 고령화가 진행되고 정년이 연장되는 시점에서 인력고령화는 이직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이직률의 변화는 생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데이터는 「사업체 패널조사(Workplace Panel Survey
WPS)」의 2007년, 2009년, 2011년, 2013년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분석은 SAS의 CALIS 프로시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공공기관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공공기관에서는 인력고령화가 생산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공기관의 업무 및 기관 특성상 수익성보다는 공공성을 추구하고 축적된 인적자본을 활용한 업무가 주를 이루므로 고령화가 생산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인력고령화가 이직률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인력고령화가 인건비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만 이직률은 생산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분석되었는데 이는 공공기관의 경우 강한 고용 안정성으로 이직률이 매우 낮지만, 이직이 발생하게 되면 민간부문과 같이 상시적 인력조정이 되기 어렵고 경력직 보다는 신입인력 채용 위주로 진행되기 때문에 이직에 대응하여 적정인력을 적기에 보충하기 어려운 특징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로써 공공기관 인력고령화가 인건비를 매개하여 생산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아 기각되었다. 또한 인력고령화가 이직률을 매개하여 생산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도 기각되었다.



민간기관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인력고령화가 생산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의 매개변수의 하나인 이직률의 경우, 인력고령화가 이직률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반면 이직률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은 부(-)의 방향으로 추정 되었지만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인력고령화가 인건비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인건비가 생산성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인력고령화가 인건비를 매개하여 생산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채택한다.



전체기관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공공과 민간의 분석결과를 종합한 결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인력 고령화는 생산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인력고령화에 대한 이론적 설명 중 인적자본이론 등과 같은 긍정적인 측면의 이론 보다 노화이론 등의 부정적인 측면의 이론이 현실을 더 잘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인력고령화가 이직률을 매개하여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해본 결과, 인력고령화는 이직률에 부(-)의 관계를 가지며, 이직률은 생산성에 부(-)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인력고령화율이 높은 직장이 상대적으로 정년보장 및 고용안정성이 확보된 기업일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어, 직장의 안정성이 높을수록 이직의사가 낮아지는 이론과 연결된다. 또한 이직률과 생산성의 관계에서 보듯, 이직률이 높아지면 생산성이 낮아진다고 나타났는데, 이는 이직이 주는 부정적 영향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인력고령화가 인건비를 매개하여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본 결과, 인력고령화는 인건비와 부(-)의 관계를 가지며, 인건비는 생산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고령인력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인건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건비 상승에 부담을 느낀 기업들이 고령인력을 계약직이나 파트타임으로 대체하여 채우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고령인력의 인건비를 줄여온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또한 인건비와 생산성은 정(+)의 관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분석되었으며 이는 인건비 상승이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인력투입을 의미하며 그러한 인적자본 활용을 통해 생산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는 사업체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인력고령화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인력고령화가 인건비, 이직률을 매개하여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인력고령화가 생산성에 미치는 여러 가지 경로모형 분석을 시도하여 생산성 저하의 원인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공공기관과 민간기관 비교를 통해 각각의 인력고령화 상황을 분석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Population aging and labor shortages due to declining birthrate and increasing life expectancy have already become global phenomena. In particular, the aging of Korea's working population is proceeding sharply compared to other advanced countries. The proportion of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compared to the total population is expected to exceed 14% in 2017 and entered the aging society, and Korea is predicted to become a super-aged society in 2025 with a level of 20%. It is also expected that as the proportion of the aged 50-64 of the producible population(15-64) will increase rapidly, the aging of the workforce is expected to accelerate gradually(Statistical Office Kosis, Future Population Estimation, 2016). As a result, the aging of the workforce within the enterprise has been raised as the workforce ages around the world. Recognition of the problem of aging workforce is generally negative. This is because the idea that the personal and social burdens are increased due to the rapid progress of aging is domin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aging of the workforce on the productivity at the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situation more clearly and to take countermeasures rather than the vague negative perceptions and concerns about aging. First,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were analyzed separately on how workforce aging affects productivity. And The media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indirect effects of labor aging on productivity by using the labor cost and the turnover rate as parameters. In the case of labor costs as a mediator, we analyzed whether the aging manpower would lead to an increase in labor costs, and if so, how such a change in labor costs would affect productivity. In addition, when the turnover rate is used as a mediator, the effect of the aging of manpower on the turnover rate and the change of turnover rate on the productivity are examined at the point of aging and the retirement age. The 2007, 2009, 2011 and 2013 data from the Workplace Panel Survey (WPS) were utilized. The SAS CALIS procedure was used as the statistical program.

Fir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public institutions showed that the aging of the workfor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ductivity in public institutions. It is estimated that aging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oductivity as a result of the fact that due to the nature of work and institutions of public institutions, there is a tendency to pursue publicness rather than profitability and the use of accumulated human capital. Also, the aging of the workfor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urnover rate, and the aging of the workforc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labor cost. However, it is statistically analyzed that the turnover rate has a negative effect on productivity. In the case of public institutions, the turnover rate is very low due to strong employment stability, but if job turnover occurs, it will be difficult to adjust personnel regularly like the private sector and recruitment is mainly focused on new recruits rather than experienced ones.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this is due to the difficulty of supplementing adequate manpower in time to respond to turnover. As a result, the hypothesis that the aging of the public sector personnel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roductivity through mediation of labor cost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was rejected. The hypothesis that aging manpower will affect productivity by mediating turnover rate was also rejected.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private institutions shows that the aging of the workforc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productivity.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turnover rate, which is one of the parameters of this study,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manpower aging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turnover rate. On the other hand, the impact of turnover on productivity was negative (-),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Lastly, aging of manpower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labor cost,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Labor cost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roductivit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the hypothesis that aging manpower will affect productivity through mediation of labor costs was adopted.

Finally, comprehensive analysis was conducted by combining data from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In detail, the results show that aging manpower affects productivity(-). This indicates that aging theory explains reality better, which emphasizes negative aspects of aging rather than human capital theory, which emphasizes positively on aging manpower.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 aging of manpower affects the productivity by mediating the turnover rate in the indirect effect analysis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s, The aging of manpower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turnover rate, which also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productivity. As we have seen in the previous theories, the higher the stability of the workplace, the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This is because the workforce with a high workforce aging rate is likely to be a company with relatively stable retirement and employment security. In addition,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urnover and productivity shows, the higher the turnover rate, the lower the productivity, which is related to the negative impact of turnover.

Next, we analyzed the effects of aging on labor productivity through mediation of labor costs. As a result, The aging of the manpower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labor cost and the labor cos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roductiv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higher the ratio of the older workforce, the lower the labor cost of the enterpri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firms that have been burdened by rising labor costs have reduced the labor costs of older workers by replacing older workers with contract workers or part-time workers. In addition, the labor cost and productivit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positive (+) relationship. This means that the increase in the labor cost implies the input of people with experience and expertise, and this positively affects the productivity through the utilization of human capital.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ging on productivity using the panel data of the business, and examines the effect of aging on labor productivity through mediation of labor cost and turnover rat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auses and problems of productivity deterioration by analyzing the path model using these mediators and analyzed the situations each of them has been confronting through the comparison of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of whic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4469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