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국형사소송에서 압수·수색영장제도의 도입 방안 연구-한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Study on introduction of seizure and seizure system in Chinese Criminal proceeding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인섭-
dc.contributor.author이걸-
dc.date.accessioned2018-12-03T02:33:58Z-
dc.date.available2018-12-03T02:33:58Z-
dc.date.issued2018-08-
dc.identifier.other00000015314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4784-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법과대학 법학과, 2018. 8. 한인섭.-
dc.description.abstract중국 경찰 권력의 강력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막강한 권력을 행사할 수

있었던 명분은 사회적 안정의 필요성이다. 이와 같은 경찰의 역할은 공동

체 질서의 유지에 큰 기여를 하고 있는 반면에 공민의 기본권은 경찰권력

에 그대로 노출되어 침해될 가능성 또한 적지 않다. 과거 중국의 혼란스

러운 사회질서가 경찰이 막강한 권력을 행사할 수 있었던 근거였다면 이

제는 경찰자체의 역할전환도 필요한 시기라 생각된다. 지난 수십년간 경

찰의 과잉수사와 공민에 대한 과도한 간섭이 사회적 불안정 요소가 되는

사례를 수없이 겪어왔다. 경찰은 그동안 강압수사는 물론, 피의자 자백을

얻기 위해 피의자에 대한 폭행 또한 마다하지 않았다. 2012년 형사소송법

에 대한 개정으로 위법수집증거의 배제규칙을 도입하였다. 해당 규칙의

초점은 경찰의 피의자신문과정에서의 피의자에 대한 폭행을 금지하는데

있었다. 그러나 수사과정에서의 경찰의 대물처분의 권한은 그대로 유지되

고 있다. 이는 분명 법치주의를 강조하는 시대적 흐름과 어긋나는 것이다.

경찰행위의 대상은 공민이다. 대물적 강제처분으로써의 경찰의 압수와 수

색은 공민의 재산권과 신체의 자유 등 가장 기본적인 권리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그만큼 공민은 경찰의 과잉수사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

에 없다. 경찰의 과잉수사가 반복된다면 공민은 법치주의의 실질적 내용

에 대해 의심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경찰의 수사행위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발생하는 압수와 수색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중국 형사소송법에서의 압수·수색에 관한 조항의 변화를

살펴보고 현행 조문들을 소개한다. 다음 한국의 압수·수색에 관한 현행입

법 및 그 연혁, 구체적으로 압수·수색영장제도의 변화과정을 단계적으로 검토한다.

제3장에서는 중국의 압수·수색제도 개선가능성을 검토해본다. 먼저 중

국의 현행 압수·수색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원인에 대해 검토해본

다. 다음 압수와 수색과정에서 수사기관의 수사권남용 방지에 성공한 한

국의 원인을 분석하고 압수·수색영장제도의 현재의 논의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중국에로의 도입가능성을 검토해본다.

마지막으로 중국의 압수·수색제도에 대한 개선안을 검토해 보겠다. 법

관에 의한 압수·수색영장발부제도의 도입을 목적으로 이와 충돌될 수 있

는 기타 법조항에 대한 검토를 해보는 것으로 글을 마치겠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제1절 들어가기 전에 1

Ⅰ. 중국 형사소송제도의 현황 1

Ⅱ. 한국 압수수색제도 검토의 필요성 3

1. 역사적 배경과 그에 대한 반성 3

2. 그에 따른 독창적 발전 및 중국과의 유사성 4

제2절 연구방법 및 범위 5

제2장 한국 및 중국의 압수수색제도의 현황 6

제1절 중국의 압수수색제도 현황 6

Ⅰ. 연혁 6

1. 2012년 형사소송법 개정 이전 6

2. 2012년 형사소송법 개정 이후 6

Ⅱ. 현황 8

1. 공안기관 8

가. 수색 8

나. 압수 11

2. 감찰위원회 13

가. 개관 13

나. 수색 14

다. 압수 15

3. 소결 15

제2절 한국압수수색제도의 현황 18

Ⅰ. 현황 18

1. 헌법 18

2. 형사소송법 19

가. 압수와 수색에 대한 정의 19

나. 압수의 제한 20

1) 군사상 비밀과 압수 20

2) 공무상 비밀과 압수 20

3) 업무상 비밀과 압수 21

4) 정보저장매체의 압수 21

다. 수색의 목적물에 대한 규정 22

라. 압수수색의 절차 23

1) 압수수색영장의 발부 23

2) 영장의 집행기관과 집행방법 24

마. 당사자책임자 등의 참여 25

바. 야간집행의 제한 26

사. 압수수색에 있어서의 영장주의의 예외 26

1) 체포구속 목적의 피의자수사 27

가) 기존의 조항 27

나) 헌법불합치 결정 27

2) 체포현장에서의 압수수색 29

3) 피고인 구속현장에서의 압수수색 30

4) 범죄장소에서의 압수수색 30

5) 긴급체포시의 압수수색 31

6) 임의제출한 물건 및 유류한 물건의 압수 32

Ⅱ. 소결 33

제3장 중국의 압수수색제도 개선가능성 검토 34

제1절 중국압수수색제도의 문제점 34

Ⅰ. 기본권 보호근거의 부재 34

1. 기본권 조항의 문제점 34

2. 비례의 원칙 부재 35

Ⅱ. 수사기관과 영장발부기관의 동일화 37

1. 서설 37

2. 원인 37

3. 문제점 38

가. 공판중심주의와의 충돌 38

나. 인권 조항과의 충돌 40

Ⅲ. 포괄적 영장주의 41

1. 객체의 포괄성 41

가. 수색 41

나. 압수 42

2. 시기의 포괄성 43

3. 소결 44

Ⅳ. 위법수집증거 배제법칙의 한계 44

1. 위법수집증거배제 법칙 45

가. 조문 소개 45

1) 강제적 배제 46

2) 법관의 자유판단에 의한 배제 46

나. 조문에 대한 해석론 46

2. 소결 48

Ⅴ. 디지털 증거의 압수의 문제점 49

1. 판결의 현황 49

가. 사건개요 49

나. 사건의 쟁점 51

다. 증거에 관한 논쟁의 핵심 55

라. 1심 법원의 판결 55

2. 해당 판결의 평가 및 문제점 분석 56

가. 해당 판결의 평가 56

나. 문제점 분석 56

제2절 한국 압수수색제도 도입가능성 검토 58

Ⅰ. 헌법적 근거 마련 58

1. 한국 헌법의 영장주의와 관련 기본권조항에 대한 고찰 58

가. 헌법제정과정에서 영장주의와 기본권조항에 관한 논의 58

1). 각 안에 대한 소개 58

2). 제헌헌법 63

나. 한국 헌법에서 영장주의와 관련 기본권조항의 변화 64

1). 1952년 헌법에서의 영장주의와 관련 기본권조항 64

2). 1963년 헌법에서의 영장주의와 관련 기본권조항 65

3). 1972년 헌법에서의 영장주의와 관련 기본권조항 65

4). 1980년 헌법에서의 영장주의와 관련 기본권조항 66

5). 현행 헌법에서의 영장주의와 관련 기본권조항 67

다. 한국 헌법에서의 영장주의와 관련 기본권조항에 관한 검토 67

2. 중국에서의 도입가능성 검토 68

가. 문제의식의 동일성 68

나. 비례의 원칙을 통한 이중보호 69

Ⅱ. 수사기관과 영장발부기관의 분리 70

1. 한국에서의 영장발부주체에 관한 입법 70

2. 중국에서의 도입가능성 검토 70

Ⅲ. 압수수색영장에 있어서 일반영장의 금지 71

1. 한국의 포괄적 압수수색영장의 금지에 대한 규정 71

가. 객체의 구체적 명시 71

나. 시기의 구체적 제한 73

2. 중국에서의 도입가능성 검토 73

Ⅳ. 위법수집증거의 배제법칙에 대한 수정 74

1. 한국의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의 발전과정 74

2. 중국의 위법수집된 비진술증거의 배제에 주는 시사점 76

Ⅴ. 디지털 증거의 압수 77

1. 한국의 디지털 증거의 압수에 관한 규정 77

가. 일반 규정의 존재 77

나. 대법원 판례를 통한 기준 제시 79

2. 중국에 주는 시사점 83

제4장 중국 압수수색제도 개선안 검토 85

제1절 이상적인 모델 85

Ⅰ. 기본권 조항 개정 85

1. 비례의 원칙 조항 신설 85

2. 영장주의 조항 신설 86

Ⅱ. 수사기관과 영장발부기관의 분리 86

Ⅲ. 포괄적 영장주의의 금지 86

Ⅳ. 위법수집증거 배제법칙의 개정 88

Ⅴ. 디지털 증거의 압수에 관한 입법적 개선 88

제2절 점진적 대안 제시 90

Ⅰ. 기본권 조항 개정 90

Ⅱ. 수사기관과 영장발부기관의 분리 90

Ⅲ. 포괄적 영장주의의 금지 91

Ⅳ. 위법수집증거 배제법칙의 개정 91

Ⅴ. 디지털 증거의 압수에 관한 입법적 개선 92

제5장 결론 94

참 고 문 헌 95

Abstract 99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40-
dc.title중국형사소송에서 압수·수색영장제도의 도입 방안 연구-한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Study on introduction of seizure and seizure system in Chinese Criminal proceeding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I JIE-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법과대학 법학과-
dc.date.awarded2018-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