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어 어미 '-ㄴ지'의 통사와 의미 연구 : A study on syntax and semantics of Korean ending -nji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진호-
dc.contributor.author김다미-
dc.date.accessioned2018-12-03T02:42:25Z-
dc.date.available2018-12-03T02:42:25Z-
dc.date.issued2018-08-
dc.identifier.other00000015350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4878-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18. 8. 박진호.-
dc.description.abstract본고의 목적은 한국어 어미 -ㄴ지의 문법적 기능이 다양함을 보이고 각각의 문법적 기능에 따른 통사·의미적 특징을 정리하는 데에 있다.

중세 한국어 시기부터 내포 의문절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었던 -ㄴ지는 기원적으로 관형사형 어미 -ㄴ과 의존명사 디(>지)가 결합한 구성이 하나의 어미로 굳어진 것이다. 이것이 중세 한국어 시기부터 현대 한국어 시기에 이르기까지 긴 세월 동안 문법화를 겪으며 내포 의문절 형성, 절 접속, 문장 종결 등으로 그 용법을 확장하게 되고, 비교적 최근에 이르러서는 계사 어간 -이-에 종결 어미 -ㄴ지가 결합한 형태인 -인지가 하나의 조사처럼 쓰이는 용법도 자리를 잡게 되었다. 본고는 내포 의문절 어미로 쓰이는 -ㄴ지가 그 외의 문법적 기능들을 파생시킨, 가장 원형적인 틀을 제공하는 용법임을 확인하고 각각의 문법적 기능을 수행하는 -ㄴ지가 보이는 주요 통사·의미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제2장에서는 내포 의문절을 형성하는 -ㄴ지에 대해서 살펴본다. -ㄴ지(< -ㄴ디)가 문증되는 가장 이른 시기인 15세기의 자료에서부터 -ㄴ지는 주로 내포 의문절을 만드는 데에 쓰였다. 이때 -ㄴ지는 결합하는 절이 명사의 성격을 띠도록 만드는 동시에, 그 절의 명제 내용이 화자나 상위문 주어의 인식 영역에서 미지(未知)나 불확실성의 위치를 차지함을 드러낸다. 이에 따라 본고는 내포 의문절 어미 -ㄴ지의 핵심 의미를 설명하는 데에는 의문보다는 불확실성이라는 인식 양태 개념이 더욱 적합하다는 견해를 제안하며, 나아가 내포 의문절을 만드는 -ㄴ지의 문법적 지위는 내포 의문절 어미 그 자체로 정의되고 검토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제3장에서는 절과 절을 접속하는 -ㄴ지에 대해서 살펴본다. 이때의 -ㄴ지는 불확실한 인과 관계를 드러내는 연결 어미로서, 후행절에 제시되는 객관적으로 관찰 가능한 사태의 원인을 화자가 추측하여 선행절에 나타낼 때 쓰인다. 이는 본래 내포 의문절 어미 -ㄴ지가 가지고 있던 인식적 불확실성이라는 양태 의미가 여전히 남아 있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ㄴ지가 내포 의문절을 형성할 때 보이는 불확실성의 양상이 단일한 것이었다면 절을 접속할 때 보이는 불확실성은 이중적인 양상을 보인다는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

제4장에서는 절대문말에 와서 문장을 끝맺는 -ㄴ지에 대해서 살펴본다. -ㄴ지로 마치는 문장들은 대개 독백이나 자문(自問)의 의미로 이해가 되는데, 이러한 의미 특성은 주로 인지 동사 및 사유 동사와 어울려 내적 의문을 나타내던 내포 의문절 어미 -ㄴ지로부터 남은 것으로 이해된다. 절대문말의 -ㄴ지가 직접 의문을 형성할 때에는 보조사 -요가 덧붙는 것이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절대문말에서 문장을 종결하는 -ㄴ지의 이러한 특징은 중세 및 근대 한국어 논의에서 반말체 어미로 언급되는 예들의 특징과 흡사한 것이다.

제5장에서는 계사 어간 -이-에 -ㄴ지가 결합한 -인지가 하나의 단위로 굳어져 조사처럼 쓰이고 있음을 보인다. 비슷한 형성 원리를 갖고 있는 -인가가 조사로서 문법화되었다는 견해가 여러 논의에서 제시되어 온 것에 비해 그간 -인지는 그러한 주목을 받지 못했던 것이 현실이었다. 본고에서는 -인지가 때로는 인식적 불확실성 혹은 무시나 비하의 의미를 표현하는 보조사로서, 때로는 제3항에 대하여 열린 이접의 의미를 나타내는 접속조사로서 기능하는 예를 보인다.

제6장에서는 논의의 내용을 요약하고 한계를 살펴보며 추후의 연구 과제를 제시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의 대상과 목적 1

1.2. 선행 연구 3

1.2.1. 중세·근대 한국어 대상 통시적 관점의 연구 3

1.2.2. 현대 한국어 대상 공시적 관점의 연구 10

1.3. 논의의 구성 13



2. 내포 의문절을 형성하는 -ㄴ지 15

2.1. 내포 의문절을 형성하는 -ㄴ지의 문법적 지위 15

2.2. 내포 의문절을 형성하는 -ㄴ지의 통사와 의미 22

2.2.1. 의문과 불확실성 22

2.2.2. 시제·상 관련 활용 양상 25

2.2.3. 상위문 서술어의 부류 34

2.3. -ㄴ지 모르- 구문과 -ㄴ지도 모르- 구문 39



3. 절 접속 기능을 하는 -ㄴ지 42

3.1. 절 접속 기능을 하는 -ㄴ지의 문법적 지위 42

3.2. 절 접속 기능을 하는 -ㄴ지의 통사와 의미 46

3.2.1. 불확실성의 이중적 양상 46

3.2.2. 시제 활용 양상 49

3.2.3. 연결 어미 결합 양상 54



4. 절대문말에 위치하는 -ㄴ지 56

4.1. 절대문말에 위치하는 -ㄴ지의 문법적 지위 56

4.2. 절대문말에 위치하는 -ㄴ지의 통사와 의미 69

4.2.1. 불확실성과 의문·의심·감탄 의미의 상관관계 69

4.2.2. 의문문을 형성할 때의 제약 양상 71



5. 조사 용법의 -인지 75

5.1. -인지의 문법적 지위 75

5.2. -인지의 통사와 의미 82

5.2.1. -인지 단독 구성의 인식적 불확실성 82

5.2.2. N1인지 N2인지 반복 구성의 특수한 이접 의미 84

5.2.3. N인지 부정대명사+인지 구성의 평가 양태적 의미 85



6. 결론 87

6.1. 논의의 정리 87

6.2. 한계 및 보완점 89



참고문헌 91

Abstract 100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10-
dc.title한국어 어미 '-ㄴ지'의 통사와 의미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syntax and semantics of Korean ending -nji-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Dami-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8-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