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아동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은영

Advisor
방경숙
Major
간호대학 간호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대학 간호학과, 2019. 2. 방경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knowledge, perception of the Hospice·Palliative care and terminal care str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ledge and perception of the Hospice·Palliative care and terminal care stress.
Thus, this study may provide fundamental data to the pediatric nurse in the establishment of appropriate Hospice·Palliative care intervention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of 154 pediatric nurses who were exposed to nursing care for terminal care more than once. Data collection took place from June 11, 2018 to July 13, 2018. This study us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format. This questionnaire included the Palliative Care Quiz for Nursing(PCQN) asking knowledge of Hospice·Palliative care. Furthermore the questionnaire assesses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and terminal care stress using a tool revised and developed by existing literatur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Mann Whitney U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Knowledge of Hospice·Palliative care was 9.83±2.45 points (range 2-14 points) out of 20 total points. The difference exists related to which department subjects were currently working (t=2.689, p=.008) and whether Hospice·Palliative care education were completed or not(t=3.592, p<.001).
2) The average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was 3.22±0.31 out of 4 points.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marriage status(t=-2.769, p=.008), academic background(F=4.380, p=.014), Hospice·Palliative care education(t=4.850, p<.001).
3) Terminal care stress was 4.07±0.44 points out of 5, and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sex(Z=-2.236, p=.025) and current department(t=2.161, p=.032).
4) Perceptions of Hospice·Palliative car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s age(r=.248, p<.001), overall nurse career(r=.280, p<.001), and career of children hospital(r=.190, p=.018).
5) Terminal care str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ge(r=.214, p=.008), overall nurse career(r=.208, p=.009), and career of children hospital(r=.271, p=.001).
6) Among knowledge of Hospice·Palliative care,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and terminal care stress, only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and terminal care stress(r=.300, p<.001)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7)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factors affecting the terminal care stres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R2) 13.8%.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β=.258, p=<.01), and career of children hospital(β=.222, p=<.01)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erminal care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tress experienced by the pediatric nurses in the terminal car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In addition, the knowledge and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of the subjects increased with completion of the Hospice·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and the longer the career of the nurse,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and the degree of terminal care stress.
Thus, in order to effectively provide pediatric Hospice·Palliative ca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continuously manage the Hospice·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s for pediatric nurses as well as the management program for terminal care stress management. In addition, as there are not many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diatric nurse Hospice·Palliative care knowledge, perception, and terminal care stress, further research will be necessary.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 및 이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영향 요인을 규명하여, 아동간호사가 적절한 호스피스·완화의료 중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임종간호를 1회 이상 수행한 아동간호사 중 편의 표출된 154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8년 6월 11일부터 2018년 7월 13일까지 이루어졌다.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은 The Palliative Care Quiz for Nursing(PCQN)으로 측정하였고,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기존 문헌 및 측정 도구를 수정 및 보완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Mann Whitney U 검정,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은 총점 20점 중 평균 9.83±2.45점(범위 2-14점)이었으며 현재 근무 부서(t=2.689, p=.008),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 이수 여부(t=3.592, p<.001)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2)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은 4점 중 평균 3.22±0.31점이었으며 대상자의 결혼 여부(t=-2.769, p=.008), 최종 학력(F=4.380, p=.014),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 이수 여부(t=4.850, p<.001)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3)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5점 중 평균 4.07±0.44점이었으며 성별(Z=-2.236, p=.025), 현재 근무 부서(t=2.161, p=.032)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4)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은 대상자의 연령(r=.248, p<.001), 전체 간호사 경력 기간(r=.280, p<.001), 어린이병원 경력 기간(r=.190, p=.018)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대상자의 연령(r=.214, p=.008), 전체 간호사 경력 기간(r=.208, p=.009), 어린이병원 경력 기간(r=.271,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6)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r=.300, p <.001)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7) 회귀분석 결과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은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β=.258, p <.01), 어린이병원 간호사 경력 기간(β=.222, p <.01)이었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R2) 13.8%이였다.

본 연구 결과 아동간호사가 임종간호 수행 시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그리고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 경우와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과 인식이 높았으며, 간호사 경력 기간이 길수록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 호스피스·완화의료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아동간호사 대상의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 프로그램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대처 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지속적 운영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054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