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동행여부와 보행속도를 고려한 노인의 근린가로환경 이용특성 해석 : Exploring residential street environments through walking companions and walking speeds: A case study of Mang-won neighborhoods with the elderly focus group
망원동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허진아

Advisor
조항만
Major
공과대학 건축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9. 2. 조항만.
Abstract
Korea became an aged society this year and is expected to become an ultra-aged society by 2025. As such, along with studies on what age-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s are and how to create such environments, the concept of Aging in Place, which allows elderly people to live their homes instead of facilities for elderly people, has seen a rise in Korea. However, there is almost no research that identifies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 residing in neighborhoods based on empirical data. Moreover, there has not been any research on walking, and social activities that occur during walking, or on the streets as a place of walking that enables a variety of external activities.
As such, this study aims to focus on specific conditions such as the presence of a companion and the walking speeds of elderly peoples neighborhood walking activities, interpreting the characteristics of how elderly people utilize their neighborhood street environments. In this context, walking speed was used an indicator of how a pedestrian utilizes and enjoys walking environments, and the presence of a companion was used as an indicator of a condition of the social activities of elderly people.
To analyze the usage patterns of neighborhood street environments of elderly people, this study collected the location data and travel logs of 56 elderly individuals residing in Mangwon-dong and utilized the concept of special speed.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in the walking behaviors of elderly people and their usage trends of neighborhood streets based on the presence of a companion. Then,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walking speeds based on the presence of a companion and divided the streets into four types, comparatively analyzing spatial speed.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walking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 varied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a companion. With a companion, elderly people tended to display the characteristics of purposeful walking, which focused on the movement toward a destination along with the companion they had met, with the facility acting as a medium
this type of walking was focused on specific streets. On the other hand, when elderly people did not have a companion, they were observed wandering around neighborhood parks and playgrounds an engaged in leisure walking, and social activities occurred.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social activities of elderly people were not restricted to the homes of elderly people and welfare centers for elderly people.
Second, this study also not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xternal space in which the social activities of elderly people took place,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companions. These results are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existing studies, which defined vacant lots near residences, neighborhood parks, and playgrounds as being of the same hierarchy of neighborhood open spaces and displayed similar characteristics. Moreover, Jan Gehl asserted that people gather around lively and highly active places. However, in the context of relationships with neighbors that formed over a long period, the preference was toward quiet places with little traffic
this appears to be a characteristic that is unique to the neighborhood living of elderly people.
Third, elderly people interacted with each other by creating environments in which voluntary social activities could occur, such as creating spaces where they could work together.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raising interactivity by developing the street environment to ensure safe walking in neighborhood streets and small-scale open spaces was more effective in creating age-friendly neighborhood environments rather than creating designated age-friendly streets such as Rakhee Elderly Friendly Streets or Song-Hae Street or engaging in the large-scale creation of physical environments.
Fourth, the majority of existing studies have utilized Jan Gehls classification of open space activities, consisting of essential, optional, and social activities, and this was also true for studies on elderly people. However, this study identified the need to create external activity classifications appropriat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ven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activities carried out by elderly people and the fact that the majority of their daily activities belong in the leisure activity category.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is an empirical study focused on spatial speed to shed light on the walking behaviors of elderly people in small-scale open spaces including streets. Moreover, it is also significant as it is an early-stage study that quantitatively identified the usage patterns of neighborhood streets by elderly people using smartphones, and analyzed the related characteristics using walking speeds, and thus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devising methods to create age-friendly neighborhood environments.
우리나라는 올해 고령사회에 진입하였고, 2025년이면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이라 예측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도 고령자를 시설이 아닌, 살던 곳에서 계속해서 거주할 수 있게 하는 Aging in Place의 개념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 같은 고령친화적 근린환경이란 무엇인지, 고령친화적 근린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노인의 근린생활 특성을 실증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해 행태 특성을 도출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또한 노인의 근린 생활을 연계하는 보행 활동과 보행 활동 중에 발생하는 사회적 활동, 그리고 이런 다양한 외부활동이 발생하는 보행 공간으로서의 가로에 주목한 연구는 아직까지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근린보행에 있어, 누군가의 동반 여부와 걷는 속도라는 특정 조건에 집중해 노인이 근린가로환경을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 그 특성을 해석해보는 데 있다. 여기서 보행속도는 보행자가 보행환경을 어떻게 향유하며 사용하는가를 나타내는 하나의 지표로서, 동행인 유무는 노인의 사회적 활동 조건을 표상하는 하나의 지표로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근린가로환경 이용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망원 1, 2동에 거주하는 노인 56명의 일주일간 위치데이터와 통행일지를 수집했으며 공간속도 개념을 활용하였다. 공간속도는 가로의 공간적 특징과 가로에서 발생하는 사람들의 행위를 파악할 수 있는 가로 단위의 속도개념으로, 이를 기반으로 가로의 물리적 조건과 가로에서 발생하는 노인들의 행위를 연관시켜 해석할 수 있었다. 우선 동행인 유무에 따른 노인의 보행행태 변화와 근린가로 이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동행인 유무에 따라 가로에서 보행속도에 차이가 있다는 점에 주목해 가로를 4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공간속도를 비교 분석했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의 보행은 동행인 여부에 따라 그 성격이 달라지고 있었다. 노인들은 동행인이 있을 때, 시설을 매개로 만난 동행인과 함께 목적지로의 이동에 집중하는 목적보행의 성격을 보이고 있었으며 이때의 이동은 특정한 가로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동행인이 없을 때 근린공원이나 놀이터를 중심으로 근린을 배회하거나 사회적 활동이 발생하는 여가보행의 모습을 주로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노인의 사회적 활동이 경로당이나 노인복지관 같은 실내 시설에 한정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존의 여가시설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노인의 사회적 활동 지원 방안이 근린가로를 포함한 소규모 외부공간까지 포용할 수 있는 정책으로 다변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동행인 유무에 따라 노인의 사회활동이 주로 발생하는 외부공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주거지 근처의 공터, 근린공원 및 놀이터를 모두 근린 내 오픈스페이스로 같은 위계로 보고 비슷한 성격을 보인다고 정의했던 것과는 다른 결과이다. 또한, Jan Gehl은 생기 있고 활동적인 곳에 사람들이 모인다고 주장했지만,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이웃과의 관계는 오히려 주거지 근처의 조용하고 사람들의 통행이 적은 곳을 선호하고 있었는데 이는 Aging in Place를 실현하는 데 있어 주목해야할 노인들만의 근린생활 특징으로 보인다.
셋째, Jan Gehl에서부터 일반적인 도시설계가들은 노인들의 사회적 활동이나 외부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공공공간을 설계하고 공급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노인들은 함께 일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등 자발적으로 사회적 활동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가면서 교류를 하고 있었다. 따라서 락희거리, 송해길처럼 특정 거리를 노인특화거리로 조성하거나 대대적인 물리적 환경 조성 계획을 진행하는 것보다 이미 근린에 존재하는 가로 및 소규모 오픈스페이스를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가로환경을 정비해 연계를 높이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고령친화적 근린환경 조성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외부공간에서의 활동을 이해하기 위해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오픈스페이스에서의 활동을 필수적 활동, 선택적 활동, 사회적 활동으로 나누고 있는 Jan Gehl의 구분을 인용해 왔으며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를 은퇴 이후 노인들에게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의 구분과 노인들의 실제 활동의 성격과의 차이, 노인의 일상생활 대부분이 여가활동의 범주에 속하고 있다는 점 등으로 인해 노인의 특성에 적합한 외부활동 구분을 새롭게 정의할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는 가로를 포함한 소규모 외부공간에서 나타나는 노인의 보행행태를 공간속도에 주목해 구체적으로 분석한 실증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이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보행자용 상세 도로망도를 활용한 시각화 방법, 공간속도 개념을 이용한 가로 유형화 분석 등을 기반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폰을 활용해 노인의 근린가로 이용양상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보행속도를 활용해 그 특성을 분석한 초기연구로서 이후의 고령친화적 근린환경 조성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060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