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Beauty, a Capital or a Corset?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Time Investment in Appearance by Females in South Korea : 자본 혹은 코르셋: 한국 여성의 외모 시간 투자에 대한 양적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주현

Advisor
은기수
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지역학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지역학전공), 2019. 2. 은기수.
Abstract
The importance of beauty h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continues to rise in the 21st century, its influence reaching across all social contexts and stages of life. Sociologist Catherine Hakim, building on Pierre Bourdieus theory of capital, presents erotic capital as the fourth personal asset, which is useful in conceptualizing beauty as a broader notion of attractiveness that is not only endowed but also actively cultivated. This study seeks to empirically verify Hakims theory with respect to the marriage and labour markets in South Korea using time use survey data, the application of which is unconventional in beauty-related research. The population-based Korean Time Use Survey data from 2014 is analyzed using Stata 13 with a focus on women and special attention given to mothers. Results find meaningful variations in the time spent on an average day toward beauty across the categories of sex, marital status, employment status, and motherhood that corroborate the erotic capital theory. Time differentials are found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for age, age squared, educational attainment, income, urban residence, number of unmarried children in the household, measures of subjective personal conditions including perceived time shortage, self-reported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paid and unpaid work times. However, the analysis also sheds light on how the beauty capital serves not as a means of empowerment but rather as a corset for working mothers who must manage work, childrearing, and a well-groomed appearance.
미의 중요성은 21세기 현대 사회에서 거듭 높아지고 있으며, 모든 사회적 맥락과 생애주기 단계에 이르러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회학자 캐서린 하킴(Catherine Hakim)이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의 자본론에 기반하여 제 4의 자산으로 주장하는 매력 자본(erotic capital)은 미에 대한 개념을 선천적으로 타고 나는 외모를 넘어 후천적인 노력으로도 가꾸어질 수 있는 개념으로 확장시킨다. 본 연구는 미와 관련된 기존 연구에서 활용되지 않았던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하킴의 이론을 결혼 및 고용 측면에서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통계청의 2014년 생활시간조사자료를 여성에 초점을 맞추어 Stata 13으로 분석한다. 분석 결과, 외모에 들어가는 하루 평균 시간은 성별, 결혼, 고용, 및 10세 이하 자녀 유무의 구분에 따라 유의한 편차가 발생하였으며 전반적으로 매력 자본 이론을 뒷받침한다. 그러나 직장일과 육아에 더해 외모까지 관리해야 하는 유자녀 직장여성(워킹맘)의 경우, 매력 자본에 대한 시간 투자가 권익 향상이 아닌 코르셋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090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