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valuation of South Korea's Dealing with its Alleged War Crimes during the Vietnam War : 베트남전 참전 자국군 전쟁범죄 문제에 대한 한국의 대응과정 평가: 미국의 미라이, 노근리 학살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Based on a Comparison with U.S. Massacres in My Lai and No Gun Ri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효진

Advisor
박태균
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협력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협력전공), 2019. 2. 박태균.
Abstract
올해는 베트남 중부 하미 마을에서 136명의 민간인이 한국군에 희생당한지 50주년이 되는 해이다. 4월 서울에서는 시민단체, 민변, 학자들의 주도하에 한국 정부를 피고로 베트남 생존자들을 피고로 하는 모의 시민법정이 열렸다. 시민단체들이 베트남전 민간인 학살 문제에 대해 관심을 환기시키는 캠페인을 벌여오는 가운데, 사회적 분위기가 베트남전 파병 및 전반적 과거사에 대해 객관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변해가는 가운데, 본 이슈에 대한 한국 시민들의 문제의식은 함께 커져갔다. 베트남 언론도 이 문제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다루기 시작했는데 이는 베트남 사회에서 과거사를 바라보는 관점이 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현상들은 아래의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 논문은 한국이 전쟁범죄 혐의에 어떻게 대응해 왔는지 고찰하고 안정된 양국관계를 위해, 베트남과 역사적 화해를 가능케 하기 위해 어떤 부분에서 더 노력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베트남 중부 5개성 80여 건의 학살 사례 중에서 꽝남성에서 일어난 퐁니·퐁녓, 하미 학살 두 케이스를 집중 연구한다. 이 둘은 베트남 국외에서 가장 잘 알려진 사건이다. 퐁니·퐁녓 사건은 미국 국립문서보관소의 관련 기밀문서가 해제되면서, 하미 사건은 한국 참전용사가 위령비 건립에 관여한 최초의 케이스로서 알려지게 되었다. 본 논문은 한국이 전쟁 범죄 혐의에 대응해 온 방식을 1968년 베트남전 미라이 학살과 1950년 한국전쟁 노근리 학살문제가 제기되고 나서 미국의 취한 조치와 비교하고자 한다. 미 국립문서보관소 기밀문서에 따르면 한국군은 1968년 퐁니·퐁녓 사건에 대한 내부 조사를 실시하는 동안 방어적, 소극적인 태도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난다. 정부가 무대응으로 일관하는 사이, 시민단체가 문제 해결을 위해 일선에 나섰는데 이러한 노력은 모의법정을 시행한다든지, 국가배상소송을 준비한다든지, 관련 문서나 생존자 및 증인의 증언을 축적하는 방식으로 보여졌다.
한국과 달리 미국은 각각의 케이스에서 내부고발자에 의해, 언론 보도를 통해 전쟁범죄 혐의가 수면위로 부상하자 공식절차를 개시하며 상대적으로 재빠르게 대응했다. 미라이 학살에 가담한 가해자들은 군법재판에 회부되었고 노근리 사건에 대해서는 15개월에 이르는 공식조사가 시행됐다. 그러나 이러한 절차들은 궁국적으로는 공정성과 신뢰성 측면에서 일반적 기대에 훨씬 못 미친 상태로 진행되고 종결된다. 노근리 조사팀이 채택한 조사방식과 판단기준은 자의적이었고 결과적으로는 그 누구의 책임도 묻지 않은 채 절차가 마무리된다. 미라이 케이스에서 미국은 유죄 판결받은 가해자에 사면을 단행함으로써 징벌적 가치를 구현하려는 의지를 보이지 않는다.
미국 사례에 대한 평가는 한국이 꽝남성 학살 문제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과정의 객관성 및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과거청산 절차에 국제기구 혹은 제3자를 참여시켜야 하겠으나, 그렇다고 해서 명예회복, 피해배상, 가해자 징벌 등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과거 사례에서 보듯 그러한 작업은 결국 개별 정부의 의지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역사적 화해의 목적은 피해자들의 명예를 회복하고 그들이 어떤 형태로든 사건이 종결되었다고 느끼게 하기 위함이다. 미라이와 노근리 케이스의 경우 각각 가해당사국의 공식 사과가 결여된 형식적 조사에 그침으로써, 또한 가해자에 대한 비례적 징벌이 회피됨으로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데 실패했다.
역사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이러한 제도적 제약을 고려하면, 꽝남성 학살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려는 한국 시민단체의 활동이 보다 나은 접근방식일 수 있다. 저자가 인터뷰한 학살 생존자들 및 유가족은 무엇보다 본인들이 겪은 역사에 대해 가해 당사국이 일치된 내러티브를 해주길 바란다. 그리고 이는 시민단체의 문제의식 및 활동방향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이다.
This year marks 50 years since Korean troops allegedly killed 136 civilians in Ha My village, Quang Nam Province, Central Vietnam. Organized by civic activists, lawyers and academics, a mock trial agains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ok place in Seoul in April 2018, with Vietnamese victims participating as the plaintiff.
Public awareness of the issue has grown thanks to campaigning by civic groups, and the social atmosphere in South Korea has developed in such a way that the public can objectively look back at the countrys history and its deployment of troops in the Vietnam War. Vietnamese media have also started more openly covering the issue, reflecting a change in the countrys attitude towards historical matters. These points provide the trigger for some significant questions: This thesis aims to explore how South Korea has responded to the war crime allegations, and what aspects could still be improved, in the interest of stable bilateral relations, reconciliation with an important trading partner, and primarily, in the interests of justice for the victims.
Of the roughly 80 alleged cases of civilian killings by South Korean troops in five provinces of Vietnam, this thesis focuses on two alleged massacres: Phong Nhi·Phong Nhat and Ha My, both in Quang Nam Province. The two cases are perhaps the most well-known outside Vietnam due to the declassification of U.S. documents and the engagement of a South Korean veterans attempts to build a memorial to the killings. The thesis compares the manner in which South Korea handled these war crime allegations with the actions taken by the United States after the 1968 massacre at My Lai, and the 1950 killing of civilians during the Korean War at No Gun Ri.
Declassified documents in the U.S. National Archive show that while the South Korean Army once launched an internal investigation on the Phong Nhi·Phong Nhat massacre in 1968, the government has remained otherwise inactive in dealing with the issue. In its place, South Korean civic groups have become a main actor in pursuing truth and reconciliation, whether it be by organizing a mock trial, preparing a legal suit, or by collecting and archiving historical materials and testimonies of eyewitness to the massacres.
Contrary to actions taken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he U.S. was in general seemingly responsive when war crime allegations emerged, initiating an official investigation soon after revelations by whistle-blowers or by media coverage of each case. Those involved in the mass murder at My Lai were subsequently brought to prosecution, and a 15-month probe was launched in the No Gun Ri case. Such processes ultimately fell far short of expected standards of impartiality and credibility, however. The methods and criteria followed by the inquiry into the No Gun Ri incident were arbitrary and yielded a fruitless outcome for which no one was held accountable. For My Lai, the U.S. showed little intent to realize retributive justice, and issued a presidential pardon to the convicted.
An assessment of these U.S. case studies raises important questions related to South Koreas potential options to meet the demands of massacre survivors. While an international body should be involved in the historical reconciliation process in order to promote better objectivity and confidence in the result, doing so does not necessarily guarantee the implementation of restorative or retributive actions for victims because, as previous cases have shown, that process is left in the hands of individual governments.
The objective of historical reconciliation is to restore the dignity of the victims and offer them a form of closure. The My Lai and No Gun Ri cases failed to achieve this because they adopted a perfunctory procedure that neglected to offer an official apology to the victims or proportionately punish the perpetrators.
Considering the systemic limitations in dealing with historical issues, the movement by South Korean civic groups to cultivate public awareness in the Quang Nam case could be a better approach. Victims interviewed by the author wished to share a common narrative on the tragic event with South Korea, the perpetrator country, which is an interest shared by the civic groups.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092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